목차
Ⅰ. 계획
Ⅱ. 머리말
Ⅲ. 해녀의 의미와 기원
Ⅳ. 한 할머니가 겪은 해녀로서의 삶
Ⅴ. 맺음말
Ⅱ. 머리말
Ⅲ. 해녀의 의미와 기원
Ⅳ. 한 할머니가 겪은 해녀로서의 삶
Ⅴ. 맺음말
본문내용
~그 뒤로는 어떻게 사셨어요? 아까 말씀하신 이후에요
그냥 똑같지 뭐. 물질하고 살림하고 자식 키우고.
~뭐 달라졌다거나, 경험한 거 없어요?
없어 그 뒤로는 매일매일 같지 다를 게 뭐 있겠어.
~그럼 할어버지는 정정하세요?
할아버지 63살에 돌아가셨어. 11년 됐어.
~남편분이 돌아가셨을 때 생활이 어렵지 않았나요?
그래도 가장 잘 벌 때라 그날 벌고 생활할 수 있어서 힘든 것은 없었어. 혼자 벌어도 충분했어. 근데 지금은 혼자 벌어서는 불가능이야 생활 할 수가 없어.
~해녀복장이 지금처럼(고무복) 바뀐 것은 언제쯤 되셨나요?
한 20년쯤 됐지
~고무복과 무명옷 입었을 때의 차이점이 있나요?
무명옷 입었을 때는 너무 추워서 작업시간이 30~40분밖에 안됐어 지금은 고무복이 따뜻해서 평균 5~6시간 작업할 수 있지 많게는 7시간까지 하는 사람도 있어.
~작업량이 많이 늘었을 테니 수확량도 늘었겠네요?
오래하기는 하지만 그렇지만도 않아. 이제는 잡을 것이 별로 없어.
~바다가 오염은 많이 되었나요?
많이 되기는 되었지. 공장도 별로 없고 횟집은 있는데 그런 것보다는 양어장 때문이 크지. 하지만 여기는 별로 오염이 되지는 않았어.
~한번 잠수하면 얼마나 바다 속에 있어요?
몰라도 2~3분 까지는 있을 수 있을 거야. 젊었을 때는 더 오래 있었는데 이제는 나이가 많아서 오래 못 있어.
~해녀도 잠수하는 것에 따라 상 중 하로 등급이 나뉜다는데 어떠한가요?
깊은데 얕은데에 따라 달라. 얕은데는 2미터만 들어가도 몸이 떠버려서 오래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어. 깊은데 들어가는 사람이 오래 참지.
~해녀복에 들어가는 납의 무게는 얼마나 되나요?
1관 500백(?) 정도 15근(?)이지. 300그램이 1다근(?)이니까 계산해봐. 무겁지만 납을 안차면 떠버려서 바다에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려면 납이 있어야 해. 그래서 힘이 많을수록 적게 차고 없을수록 많이 차.
~몇 미터까지 들어갈 수 있어요?
나 같은 경우에는 아직까지 10미터까지 갈 수 있지.
~조사한 걸론 20미터까지 가능하다던데?
20미터까지는 무리야.
~아픈 곳은 없나요?
어께도 쑤시고 머리도 아프고 무릎, 허리, 관절 다 아파. 안 아픈 곳이 없어.
~귀도 많이 안 좋다던데요?
가끔 귀에 이상한 소리가 나기도 하지. 귀에 물에 많이 들어가다 보니, 물에 깊이 들어갈 수록 수압 때문에 귀고막이 아프고 환청도 들려. 지금도 들리고 있는데 젊었을 때는 하루 종일 해도 다음 날 되면 괜찮았는데 이제는 나이 때문에 너무 힘들어.
~해녀회, 어촌계 같은 모임은 언제부터 생긴 것인가요?
조합이 생긴지는 오래되었어. 우리 어릴 적부터, 해방되기 전부터 있었으니까 오래됐지. 해녀하려면 감찰폐가 있어야 하고 그래야 조업이 가능해. 나무 조각에 이름을 쓰고 묶고 다녔는데 그게 없으면 통과시키지 않았지.
~세금은 얼마나 내셨어요? 정부에서 많이 때지는 않았어요?
그런 건 없었어. 일제시대는 우리 어릴 적에는 대동아 전쟁할 때는 여러 해물을 말려서 일본에 공출했다 부락마다 할당량 배분했지.
~예전에는 어장이 마을 공동어장이었나요?
그런 것 없었어 그때 니것 내것의 구분이 어딨어.
~그래도 예전에는 자기네 마을에서 어장 관리를 하지 않았어요?
마을에서 바다 어장 관리를 못하면 다른 마을에서 대신 관리하면서 가져가 버리기는 했지.
~영업증은 어떻게 받아요?
3년 이상 물질하면 어촌계에서 해녀라고 인정해서 해녀증을 줘.
~시대에 따라 조합의 차이는 있나요?
20년 정도 전부터 조합이 어려워 돈을 냈지. 운용금낸 것은 나중에 받아. 3만원 씩 낸 것이 100만원이 넘었으니까.
~자식들에게 해녀를 시키고 싶은세요?
3대째 해녀를 하는데 4대까지는 안 시켜. 너무 힘들어서 죽어도 안 시켜.
~자식들이 해녀를 하지 말라고는 안하세요?
하지 말라고 하지만 그냥 하지. 어디 자식들 말을 듣겠어? 내가 하고 싶은데로 하는 거지.
~해녀의 수는 변화가 있나요?
많이 줄었지만 우리는 예전의 사람 그대로이기는 해.
~그럼 나이가 고령화 되었는데 어떻게 생각해요?
고령화되면 못 하지. 나중에는 결국 없어질 거야. 일찍부터 양성화해야 하는데 아무도 안하려고 하니까 너무 힘들어서 누가 하려고 하겠어? 육지에서는 숨을 마음대로 쉴 수 있는데 바다에 들어가면 숨을 제대로 쉬기가 힘들자나. 폐가 터질 것 같아. 해녀들이 바다에 들어갔다 오면 호이~하는 소리를 내는데 이걸 숨비소리라고 해. 폐안의 숨을 내 보내는 건데 숨을 꽉 참았다고 힘껏 내 보내지.
~현재 가장 젊으신 분과 많으신 분은 어떤가요?
35세가 가장 어리고, 내가 제일 많아
~병원은 자주 가시는 편인가요?
물리치료도 받고, 머리아파서 신경과에 많이 다녀.
~어느 순간 아픈 것을 알았나요? 처음 병원 간 것이 언제인가요?
크게 아픈 것은 없었고 머리 아파서 병원 간 것은 3년밖에 안됐다
~참은 것이었나요?
참은 것은 없었어. 감기 때문에 꾸준히는 다녔는데 딴 건 없었어.
~해녀 생활이 많이 어려운데 정부에서 관심이나 도와주는 것은 없나요?
해녀는 병원가면 무료진료 해줘.
~언제부터 그랬나요?
한 3~4년부터 그랬지.
~딴 것은 없나요? 해녀용 보안경을 맞춰준다던가?
그런 것 없어. 무료진료 해주는 것 밖에는 없어. 고무 옷은 이제까지 딱 한번 지원해줬는데, 20만원 짜리인데 6만원 냈어.
~전해져 내려오는 해녀 노래는 없어요?
딱 하나 내려오는 것은 있어.
~불러주실 수 있나요?
잘 몰라. 가사를 기억 못 해.
~그럼 전설이나 설화는 있나요?
그런 것 몰라.
~아침에 물질은 언제 하세요?
이제? 이제? 오늘은 장사하면은 낼은 파도 잔잔하면은 작업나가구. 오늘 교대로 들어가고.
하루는 장사하고 이틀은 작업하구. 그때는 이렇게 하지는 않았지. 그때는 가고 싶으면 가구 실프면 말구 그랬지. 그때는 장사가 없으니깐. 이런 장사가 없으니깐 집에 있다가 바당에 가자구 하면 가구 그랬지.
~며칠에 한번하세요?
3일에 한번 나와. 3일교대로 해. 안나오면 벌금도 내지.
~마지막으로 해줄 말이나 궁금한 것은 없나요?
가시밭길을 살아서 몰라. 너네들이 공부 열심히 해서 잘 살아라. 공부는 때가 있어. 나중에 후회해.
그냥 똑같지 뭐. 물질하고 살림하고 자식 키우고.
~뭐 달라졌다거나, 경험한 거 없어요?
없어 그 뒤로는 매일매일 같지 다를 게 뭐 있겠어.
~그럼 할어버지는 정정하세요?
할아버지 63살에 돌아가셨어. 11년 됐어.
~남편분이 돌아가셨을 때 생활이 어렵지 않았나요?
그래도 가장 잘 벌 때라 그날 벌고 생활할 수 있어서 힘든 것은 없었어. 혼자 벌어도 충분했어. 근데 지금은 혼자 벌어서는 불가능이야 생활 할 수가 없어.
~해녀복장이 지금처럼(고무복) 바뀐 것은 언제쯤 되셨나요?
한 20년쯤 됐지
~고무복과 무명옷 입었을 때의 차이점이 있나요?
무명옷 입었을 때는 너무 추워서 작업시간이 30~40분밖에 안됐어 지금은 고무복이 따뜻해서 평균 5~6시간 작업할 수 있지 많게는 7시간까지 하는 사람도 있어.
~작업량이 많이 늘었을 테니 수확량도 늘었겠네요?
오래하기는 하지만 그렇지만도 않아. 이제는 잡을 것이 별로 없어.
~바다가 오염은 많이 되었나요?
많이 되기는 되었지. 공장도 별로 없고 횟집은 있는데 그런 것보다는 양어장 때문이 크지. 하지만 여기는 별로 오염이 되지는 않았어.
~한번 잠수하면 얼마나 바다 속에 있어요?
몰라도 2~3분 까지는 있을 수 있을 거야. 젊었을 때는 더 오래 있었는데 이제는 나이가 많아서 오래 못 있어.
~해녀도 잠수하는 것에 따라 상 중 하로 등급이 나뉜다는데 어떠한가요?
깊은데 얕은데에 따라 달라. 얕은데는 2미터만 들어가도 몸이 떠버려서 오래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어. 깊은데 들어가는 사람이 오래 참지.
~해녀복에 들어가는 납의 무게는 얼마나 되나요?
1관 500백(?) 정도 15근(?)이지. 300그램이 1다근(?)이니까 계산해봐. 무겁지만 납을 안차면 떠버려서 바다에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려면 납이 있어야 해. 그래서 힘이 많을수록 적게 차고 없을수록 많이 차.
~몇 미터까지 들어갈 수 있어요?
나 같은 경우에는 아직까지 10미터까지 갈 수 있지.
~조사한 걸론 20미터까지 가능하다던데?
20미터까지는 무리야.
~아픈 곳은 없나요?
어께도 쑤시고 머리도 아프고 무릎, 허리, 관절 다 아파. 안 아픈 곳이 없어.
~귀도 많이 안 좋다던데요?
가끔 귀에 이상한 소리가 나기도 하지. 귀에 물에 많이 들어가다 보니, 물에 깊이 들어갈 수록 수압 때문에 귀고막이 아프고 환청도 들려. 지금도 들리고 있는데 젊었을 때는 하루 종일 해도 다음 날 되면 괜찮았는데 이제는 나이 때문에 너무 힘들어.
~해녀회, 어촌계 같은 모임은 언제부터 생긴 것인가요?
조합이 생긴지는 오래되었어. 우리 어릴 적부터, 해방되기 전부터 있었으니까 오래됐지. 해녀하려면 감찰폐가 있어야 하고 그래야 조업이 가능해. 나무 조각에 이름을 쓰고 묶고 다녔는데 그게 없으면 통과시키지 않았지.
~세금은 얼마나 내셨어요? 정부에서 많이 때지는 않았어요?
그런 건 없었어. 일제시대는 우리 어릴 적에는 대동아 전쟁할 때는 여러 해물을 말려서 일본에 공출했다 부락마다 할당량 배분했지.
~예전에는 어장이 마을 공동어장이었나요?
그런 것 없었어 그때 니것 내것의 구분이 어딨어.
~그래도 예전에는 자기네 마을에서 어장 관리를 하지 않았어요?
마을에서 바다 어장 관리를 못하면 다른 마을에서 대신 관리하면서 가져가 버리기는 했지.
~영업증은 어떻게 받아요?
3년 이상 물질하면 어촌계에서 해녀라고 인정해서 해녀증을 줘.
~시대에 따라 조합의 차이는 있나요?
20년 정도 전부터 조합이 어려워 돈을 냈지. 운용금낸 것은 나중에 받아. 3만원 씩 낸 것이 100만원이 넘었으니까.
~자식들에게 해녀를 시키고 싶은세요?
3대째 해녀를 하는데 4대까지는 안 시켜. 너무 힘들어서 죽어도 안 시켜.
~자식들이 해녀를 하지 말라고는 안하세요?
하지 말라고 하지만 그냥 하지. 어디 자식들 말을 듣겠어? 내가 하고 싶은데로 하는 거지.
~해녀의 수는 변화가 있나요?
많이 줄었지만 우리는 예전의 사람 그대로이기는 해.
~그럼 나이가 고령화 되었는데 어떻게 생각해요?
고령화되면 못 하지. 나중에는 결국 없어질 거야. 일찍부터 양성화해야 하는데 아무도 안하려고 하니까 너무 힘들어서 누가 하려고 하겠어? 육지에서는 숨을 마음대로 쉴 수 있는데 바다에 들어가면 숨을 제대로 쉬기가 힘들자나. 폐가 터질 것 같아. 해녀들이 바다에 들어갔다 오면 호이~하는 소리를 내는데 이걸 숨비소리라고 해. 폐안의 숨을 내 보내는 건데 숨을 꽉 참았다고 힘껏 내 보내지.
~현재 가장 젊으신 분과 많으신 분은 어떤가요?
35세가 가장 어리고, 내가 제일 많아
~병원은 자주 가시는 편인가요?
물리치료도 받고, 머리아파서 신경과에 많이 다녀.
~어느 순간 아픈 것을 알았나요? 처음 병원 간 것이 언제인가요?
크게 아픈 것은 없었고 머리 아파서 병원 간 것은 3년밖에 안됐다
~참은 것이었나요?
참은 것은 없었어. 감기 때문에 꾸준히는 다녔는데 딴 건 없었어.
~해녀 생활이 많이 어려운데 정부에서 관심이나 도와주는 것은 없나요?
해녀는 병원가면 무료진료 해줘.
~언제부터 그랬나요?
한 3~4년부터 그랬지.
~딴 것은 없나요? 해녀용 보안경을 맞춰준다던가?
그런 것 없어. 무료진료 해주는 것 밖에는 없어. 고무 옷은 이제까지 딱 한번 지원해줬는데, 20만원 짜리인데 6만원 냈어.
~전해져 내려오는 해녀 노래는 없어요?
딱 하나 내려오는 것은 있어.
~불러주실 수 있나요?
잘 몰라. 가사를 기억 못 해.
~그럼 전설이나 설화는 있나요?
그런 것 몰라.
~아침에 물질은 언제 하세요?
이제? 이제? 오늘은 장사하면은 낼은 파도 잔잔하면은 작업나가구. 오늘 교대로 들어가고.
하루는 장사하고 이틀은 작업하구. 그때는 이렇게 하지는 않았지. 그때는 가고 싶으면 가구 실프면 말구 그랬지. 그때는 장사가 없으니깐. 이런 장사가 없으니깐 집에 있다가 바당에 가자구 하면 가구 그랬지.
~며칠에 한번하세요?
3일에 한번 나와. 3일교대로 해. 안나오면 벌금도 내지.
~마지막으로 해줄 말이나 궁금한 것은 없나요?
가시밭길을 살아서 몰라. 너네들이 공부 열심히 해서 잘 살아라. 공부는 때가 있어. 나중에 후회해.
키워드
추천자료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사회학의 기원, 발달, 정의 및 연구방법
전경린의 소설[남자의기원]을 읽고 작성한 독서감상문
루소의 에밀과 인간 불평등 기원론
웰빙이란 무엇인가? - 기원, 의의
장원제에 대하여.. 기원, 구조, 경영방식, 해체원인 등..
유치원 역사와 유치원의 기원 및 유치원의 변천사에 대한 연구
[문화의 개념] 문화의 기원과 특성, 요소, 구조, 변화, 개념정립
스페인 투우의 역사와 기원
신라, 백제라는 이름의 기원은
창조록적 관점에서 본 생명체와 인간의 기원
[일반생물학ii과제] 「종의 기원」보고서 _ 다윈 저 - 1~13장
탈춤과 경극 - 탈춤과경극의 기원과 발전과정, 탈춤분장의상징성, 탈춤과 경극분석
[한국사] 한국전쟁의 기원에 대해서
매춘의 정의, 기원, 역사, 매춘의 유형, 성매매 금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