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최근의 원/엔 환율과 수출 동향
2. 원/엔 환율 변동과 산업별 영향
2. 원/엔 환율 변동과 산업별 영향
본문내용
경합도가 하락하는 품목도 있으나,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인 컴퓨터, 조선, 자동차, 기계류 등의 경합도는 높은 수준2)
□ 전자부품, 정밀기계부품 등에 대일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원/엔 환율 하락은 주력 수출산업에 부정적
- 반도체 및 반도체 제조장비 등 전자부품, 정밀기계의 對日수입비중이 對美보다 높아짐에 따라 원/엔 환율이 중요성 증대
ㆍ전자부품의 대일 수입비중은 대미 비중의 4배 정도이며, 정밀기계의 대일 수입 역시 2003년 이후 미국을 추월하기 시작함
ㆍ엔화 대비 원화강세는 일본으로부터 부품 및 기계를 수입하는 국내기업의 비용부담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면도 존재
- 수입부품의 높은 대일의존도는 외화가득률을 하락시킬 뿐 아니라 수출시장에서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킴
ㆍ전기전자 산업의 경우, 제품과 기술의 융·복합화로 외화가득률이 40%정도이며 국산화율이 높은 자동차산업 등의 수송기계산업은 70%정도
ㆍ일본부품의 수급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주력산업의 수출에 차질 우려
-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첨단분야로의 이행시기에 부적절한 대응으로 외화 가득률이 하락했다는 의견도 존재
ㆍ일본,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의 외화가득률은 80∼90%대 (90년대 기준)
□ 전자부품, 정밀기계부품 등에 대일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원/엔 환율 하락은 주력 수출산업에 부정적
- 반도체 및 반도체 제조장비 등 전자부품, 정밀기계의 對日수입비중이 對美보다 높아짐에 따라 원/엔 환율이 중요성 증대
ㆍ전자부품의 대일 수입비중은 대미 비중의 4배 정도이며, 정밀기계의 대일 수입 역시 2003년 이후 미국을 추월하기 시작함
ㆍ엔화 대비 원화강세는 일본으로부터 부품 및 기계를 수입하는 국내기업의 비용부담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면도 존재
- 수입부품의 높은 대일의존도는 외화가득률을 하락시킬 뿐 아니라 수출시장에서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킴
ㆍ전기전자 산업의 경우, 제품과 기술의 융·복합화로 외화가득률이 40%정도이며 국산화율이 높은 자동차산업 등의 수송기계산업은 70%정도
ㆍ일본부품의 수급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주력산업의 수출에 차질 우려
-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첨단분야로의 이행시기에 부적절한 대응으로 외화 가득률이 하락했다는 의견도 존재
ㆍ일본,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의 외화가득률은 80∼90%대 (90년대 기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