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신문화사가 걸어온 길
제 2 장 두껍게 읽기
제 3 장 다르게 읽기
제 4 장 작은 것을 통해 읽기
제 5 장 깨뜨리기
제 2 장 두껍게 읽기
제 3 장 다르게 읽기
제 4 장 작은 것을 통해 읽기
제 5 장 깨뜨리기
본문내용
때문이다. 이걸 확대하면 역사를 누구의 시점에서 봐야 할 것인가 하는 것까지 확대 가능하고, 책에서도 말했지만 이 때까지의 역사를 왕 등 권력자 중심에서 본 것을 아무 힘없는 민중의 시점에서 보면 과연 똑같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이렇게 생각은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왕 같은 권력자가 있어야 역사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패자는 말이 없다’ 는 말이 있듯이 권력을 잡은 자는 자신을 모든 것의 중심으로 여길 것이고, 설사 민중들의 관점에서 역사를 쓴다고 해도 그 많은 민중들 중 누구의 관점을 선택할 것인가와 민중들의 관점이 전부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책의 크기는 작지만 내용은 너무나 충실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에게 생소했던 신문화사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게 해주었고 삶에 대한 인식에 있어 또 하나의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 역사라는 것은 임진왜란이 동북아 정세에 미친 영향처럼 절대로 단순치 않다. 후금에게는 희망을, 우리에게는 좌절을 준 임진왜란과 같이 역사는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그 시점의 주인공은 역사교과서의 페이지를 장식하는 영웅이 아닌 평범한 인간 혹은 사물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영화 ‘블랙호크다운’ 은 미국과 소말리아의 한 집단 사이에 존재했던 실제의 사건을 영화화 한 것이다. 그 영화는 다른 영화와는 달리 영웅을 내세우지 않는다. 이 영화에는 ‘람보’ 는 없다. 모두 하나의 인간이고, 한 명의 군인이고, 총알을 맞지 않는 불사신이 아니다. 즉 영웅을 설정하지 않고 그냥 그들 자체의 시각으로 그 사건을 바라보게 함으로써 또 다른 매력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보자는 이 책의 주지와 비슷한 영화인 것 같아 예로 들었다. 이 책을 읽고 나도 모르게 깊이 빠진 것 같다. 그리고 이 책에서 소개된 책들 중 몇 권은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이 책은 항상 내 옆에 있을 것이다. 나에게 모자라던 부분이 채워진 듯한 느낌이다.
엄청나게 방대한 역사에 비해 우리가 알아 낼 수 있는 것은 극히 일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자유로운 시각을 가진다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재에 이르는 개념과 사물들의 올바른 의미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나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만 이 책을 덮고 있다.....
★ 미흡한 내용 읽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이 책을 일게 해주신 계기도 감사 드립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책의 크기는 작지만 내용은 너무나 충실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에게 생소했던 신문화사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게 해주었고 삶에 대한 인식에 있어 또 하나의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 역사라는 것은 임진왜란이 동북아 정세에 미친 영향처럼 절대로 단순치 않다. 후금에게는 희망을, 우리에게는 좌절을 준 임진왜란과 같이 역사는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그 시점의 주인공은 역사교과서의 페이지를 장식하는 영웅이 아닌 평범한 인간 혹은 사물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영화 ‘블랙호크다운’ 은 미국과 소말리아의 한 집단 사이에 존재했던 실제의 사건을 영화화 한 것이다. 그 영화는 다른 영화와는 달리 영웅을 내세우지 않는다. 이 영화에는 ‘람보’ 는 없다. 모두 하나의 인간이고, 한 명의 군인이고, 총알을 맞지 않는 불사신이 아니다. 즉 영웅을 설정하지 않고 그냥 그들 자체의 시각으로 그 사건을 바라보게 함으로써 또 다른 매력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보자는 이 책의 주지와 비슷한 영화인 것 같아 예로 들었다. 이 책을 읽고 나도 모르게 깊이 빠진 것 같다. 그리고 이 책에서 소개된 책들 중 몇 권은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이 책은 항상 내 옆에 있을 것이다. 나에게 모자라던 부분이 채워진 듯한 느낌이다.
엄청나게 방대한 역사에 비해 우리가 알아 낼 수 있는 것은 극히 일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자유로운 시각을 가진다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재에 이르는 개념과 사물들의 올바른 의미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나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만 이 책을 덮고 있다.....
★ 미흡한 내용 읽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이 책을 일게 해주신 계기도 감사 드립니다.
추천자료
[문화][술문화][음주문화]문화의 정의, 문화의 특성, 문화와 역사, 독일의 술문화(음주문화),...
[모나코][모나코 역사][모나코 수도 모나코][모나코 경제][모나코 문화][모나코 생활상][모나...
[중국][중국문화][중국의 차문화][중국의 결혼문화][중국의 성문화][중국의 식인문화]중국문...
[페루][페루문화][잉카문명][페루 수도][잉카]페루의 신화, 페루의 역사, 페루의 지리, 페루...
[판소리][판소리 정의][판소리 분류][판소리 역사][판소리 장단][판소리 명창][민화][광대문...
[중국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 지리
[진화주의 기능주의 역사주의와 문화변동] 진화주의, 기능주의, 역사주의와 문화변동
[독일테마기행] 독일의 음식문화 - 독일음식문화의 역사부터 소시지 까지.ppt
[중국역사와 문화] 문화대혁명.ppt
[일본음식문화][음식문화 특징][식사예절][라면][우동][초밥(스시)]일본음식문화의 특징, 일...
동양문화의 사적 이해 : 송나라, 남송과 북송의 역사 (송나라 역사의 흐름 , 송의 건국, 북송...
[한국문화사] <차 (茶)> 우리나라 차의 역사 - 우리나라 차의 전래(인도차 전래설, 중국차종 ...
[한국문화사] <차(茶)의 역사> 차란 무엇인가 - 차의 기원과 어원, 차가들어 온 시기와 차의 ...
[중국문화론] 불상문화에 관해서 (불교 전파, 불교 미술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