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보면 역사가 보인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신문화사가 걸어온 길
제 2 장 두껍게 읽기
제 3 장 다르게 읽기
제 4 장 작은 것을 통해 읽기
제 5 장 깨뜨리기

본문내용

때문이다. 이걸 확대하면 역사를 누구의 시점에서 봐야 할 것인가 하는 것까지 확대 가능하고, 책에서도 말했지만 이 때까지의 역사를 왕 등 권력자 중심에서 본 것을 아무 힘없는 민중의 시점에서 보면 과연 똑같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이렇게 생각은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왕 같은 권력자가 있어야 역사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패자는 말이 없다’ 는 말이 있듯이 권력을 잡은 자는 자신을 모든 것의 중심으로 여길 것이고, 설사 민중들의 관점에서 역사를 쓴다고 해도 그 많은 민중들 중 누구의 관점을 선택할 것인가와 민중들의 관점이 전부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책의 크기는 작지만 내용은 너무나 충실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에게 생소했던 신문화사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게 해주었고 삶에 대한 인식에 있어 또 하나의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 역사라는 것은 임진왜란이 동북아 정세에 미친 영향처럼 절대로 단순치 않다. 후금에게는 희망을, 우리에게는 좌절을 준 임진왜란과 같이 역사는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그 시점의 주인공은 역사교과서의 페이지를 장식하는 영웅이 아닌 평범한 인간 혹은 사물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영화 ‘블랙호크다운’ 은 미국과 소말리아의 한 집단 사이에 존재했던 실제의 사건을 영화화 한 것이다. 그 영화는 다른 영화와는 달리 영웅을 내세우지 않는다. 이 영화에는 ‘람보’ 는 없다. 모두 하나의 인간이고, 한 명의 군인이고, 총알을 맞지 않는 불사신이 아니다. 즉 영웅을 설정하지 않고 그냥 그들 자체의 시각으로 그 사건을 바라보게 함으로써 또 다른 매력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보자는 이 책의 주지와 비슷한 영화인 것 같아 예로 들었다. 이 책을 읽고 나도 모르게 깊이 빠진 것 같다. 그리고 이 책에서 소개된 책들 중 몇 권은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이 책은 항상 내 옆에 있을 것이다. 나에게 모자라던 부분이 채워진 듯한 느낌이다.
엄청나게 방대한 역사에 비해 우리가 알아 낼 수 있는 것은 극히 일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자유로운 시각을 가진다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재에 이르는 개념과 사물들의 올바른 의미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나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만 이 책을 덮고 있다.....
★ 미흡한 내용 읽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이 책을 일게 해주신 계기도 감사 드립니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3.12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