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愛情類 時調(443首)
(2) 醉樂類 時調
(3) 閑精類 時調
(4) 自然類 時調
(5) 道德類 時調
(6) 懷古類 時調
(2) 醉樂類 時調
(3) 閑精類 時調
(4) 自然類 時調
(5) 道德類 時調
(6) 懷古類 時調
본문내용
시조에서는 두드러지게 중국의 인물, 지명, 산명 등을 즐겨서 인용하였으니 이는 유교관념이 점차 깊어져가면서 빚어진 현상이라고 본다. 회고시조는 160수인데 93수가 有名氏 작품이다. 壬辰亂 이후부터 널리 인용되었으니 마치 고대소설에서의 소설의 배경을 중국으로 잡은 것이 많듯이 임진란 이후에는 중국에 대한 모화의 念이 더욱 두터워졌던 것으로 믿어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