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학교 유형의 새로운 시도들
1) 자유학교
2. 닐의 아동과 교육의 원칙
3. 서머힐의 구체적인 내용
4. 서머힐 학교의 네 가지 목적
5. 서머힐 학교 정책의 기본 노선
2) 개방학교
3) 학교 해체론- 탈학교론
개요
2. 갈등론적 관점
3. 탈학교론이란 무엇인가?
4. 탈학교론의 비판(G.F. 넬러)
5. 탈학교론의 발전 -> 대안학교
4) 지역사회통제학교
5) 홈 스쿨링
3. 우리나라의 대안교육
대안학교의 유형
1) 자유학교
2. 닐의 아동과 교육의 원칙
3. 서머힐의 구체적인 내용
4. 서머힐 학교의 네 가지 목적
5. 서머힐 학교 정책의 기본 노선
2) 개방학교
3) 학교 해체론- 탈학교론
개요
2. 갈등론적 관점
3. 탈학교론이란 무엇인가?
4. 탈학교론의 비판(G.F. 넬러)
5. 탈학교론의 발전 -> 대안학교
4) 지역사회통제학교
5) 홈 스쿨링
3. 우리나라의 대안교육
대안학교의 유형
본문내용
인 것은 서울 지역 공부방 연합회, 여럿이 함께 만드는 학교 등이 있고, 유아 교육 프로그램형은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하는 형태이다.
대안학교의 운영방식은 크게 자유학교형 대안학교와 생태학교형 대안학교, 그리고 재적응 학교형 대안학교, 고유 이념 추구형 대안학교로 분류하고 있는데 자유학교형 대안학교는 1970년대 미국, 독일 등지에서 등장한 이후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학교 설립의 주된 동기가 종래의 학교 교육이 지나치게 아이들을 통제, 억압하며 교사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음을 비판하고, 아이들의 무한한 잠재 가능성에 대한 굳은 신념을 기처로 하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영국의 "썸머 힐", 독일의 "자유 대안 학교", 일본의 "기노쿠니 아이들의 마을" 그리고 우리 나라의 "자유학교 물꼬"(2000년대 초반 상설 학교설립 예정)가 가장 가까운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생태 학교형 대안 학교의 전형은 1982년에 설립된 영국의 하트랜드 지방의 "작은 학교"라 할 수 있다. 이 학교는 마을 안에서 소규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식교육 뿐만 아니라 의·식·주에 관련된 기본적인 활동들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고, 마을의 다양한 생산자들이 교사로 봉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학교에서는 주로 생태와 노작, 지역 사회와 학교의 결합을 중요시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1997년 개교한 간디 청소년 학교가 교육이념이나 방식에서 가장 유사하다. 재 적응 학교형 대안학교는 일반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한 학생을 주된 대상으로 하는 학교로서, 우리 나라영광의 "성지 고등학교", 일본의 "생활 학교"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성지 고등학교의 경우 조로 일반 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거나 도저히 적응하기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헌신 적인 노력을 통하여 교육적 결실을 맺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유 이념 추구형 대안학교가 있는데, 이 유형의 학교는 매우 독특한 교육 이념과 방식을 바탕으로 대안 교육을 실천한다. 대표적인 예로 독일의 발도르프 학교가 있는데, 여기서는 인지학 이라는 독특한 철학을 체계화한 르돌프 슈타이너 사상을 기반으로 1919년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꾸준히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와 일체화된 교육을 지향하는 풀무 농업 고등 기술학교 역시 이 유형에 속한다. 이외에 나름대로의 이상을 가지고 대안적인 교육을 추구하는 많은 학교들이 있다.
대안학교의 운영방식은 크게 자유학교형 대안학교와 생태학교형 대안학교, 그리고 재적응 학교형 대안학교, 고유 이념 추구형 대안학교로 분류하고 있는데 자유학교형 대안학교는 1970년대 미국, 독일 등지에서 등장한 이후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학교 설립의 주된 동기가 종래의 학교 교육이 지나치게 아이들을 통제, 억압하며 교사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음을 비판하고, 아이들의 무한한 잠재 가능성에 대한 굳은 신념을 기처로 하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영국의 "썸머 힐", 독일의 "자유 대안 학교", 일본의 "기노쿠니 아이들의 마을" 그리고 우리 나라의 "자유학교 물꼬"(2000년대 초반 상설 학교설립 예정)가 가장 가까운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생태 학교형 대안 학교의 전형은 1982년에 설립된 영국의 하트랜드 지방의 "작은 학교"라 할 수 있다. 이 학교는 마을 안에서 소규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식교육 뿐만 아니라 의·식·주에 관련된 기본적인 활동들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고, 마을의 다양한 생산자들이 교사로 봉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학교에서는 주로 생태와 노작, 지역 사회와 학교의 결합을 중요시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1997년 개교한 간디 청소년 학교가 교육이념이나 방식에서 가장 유사하다. 재 적응 학교형 대안학교는 일반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한 학생을 주된 대상으로 하는 학교로서, 우리 나라영광의 "성지 고등학교", 일본의 "생활 학교"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성지 고등학교의 경우 조로 일반 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거나 도저히 적응하기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헌신 적인 노력을 통하여 교육적 결실을 맺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유 이념 추구형 대안학교가 있는데, 이 유형의 학교는 매우 독특한 교육 이념과 방식을 바탕으로 대안 교육을 실천한다. 대표적인 예로 독일의 발도르프 학교가 있는데, 여기서는 인지학 이라는 독특한 철학을 체계화한 르돌프 슈타이너 사상을 기반으로 1919년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꾸준히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와 일체화된 교육을 지향하는 풀무 농업 고등 기술학교 역시 이 유형에 속한다. 이외에 나름대로의 이상을 가지고 대안적인 교육을 추구하는 많은 학교들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