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교육의 실태와 그 대안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안교육의 정의

2. 현 교육 방식의 문제점

3. 대안교육의 교육 이념과 유형

4. 국내외의 사례

6. 맺음말

본문내용

고, 마을의 다양한 생산자들이 교사로 봉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학교에서는 주로 생태와 노작, 지역 사회와 학교의 결합을 중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개교한 간디 청소년학교가 교육이념이나 방식에서 유사하다.
-재적응 학교 형 대안학교 : 부적응 학생을 주된 대상으로 하는 학교로서, 영광의 "성지고등학교", 일본의 "생활학교"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성지고등학교의 경우 주로 일반 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거나 도저히 적응하기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하여 교육적 결실을 맺고 있다.
-고유 이념추구 형 대안학교 : 이 유형의 학교는 매우 독특한 교육 이념과 방식을 바탕으로 대안 교육을 실천한다. 대표적인 예로 독일의 발도르프 학교인데, 여기서는 인지학이라는 독특한 철학을 체계화한 르돌프 슈타이너 사상을 기반으로 1919년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꾸준히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와 일체화된 교육을 지향하는 풀무 농업 고등 기술학교 역시 이 유형에 속한다. 이외에 나름대로의 이상을 가지고 대안적인 교육을 추구하는 많은 학교들이 있다.
6. 맺음말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인재양성이야 말로 국가와 사회발전의 근본초석이고 그 영향이 심원하기 때문에 '백년 앞을 내다보는 큰 계획'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현재의 교육이 가고 있는 길은 오히려 많은 학생들을 ‘권의지계(백년대계에 반대되는 뜻으로서 아침, 저녁으로 뒤바뀌며 시류에 야합하는 즉흥적이고 편의적인 계획을 뜻함.)’의 낭떠러지로 모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된다. 보고서의 제목을 ‘과연 대안일 뿐인가?’로 정한 것은 이미 현 교육의 문제점이 한계를 넘었다는 생각에서이다. 조속한 시간 내에 문제를 고치고 해결하지 못한다면 교육이 주는 참의미를 완전히 잃어버릴 지도 모른다.
참고 자료
부끄러운 교육, 이헌동, 2002, 해성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이종태, 2001, 민들레
새로운 학교 큰 교육이야기, 대안교육을 생각하는 모임 저, 1997, 내일을 여는 책
참고 웹 사이트
야호! 대안교육 : http://www.educyber.org/school/yaho/index.shtml
교육저널 : http://edue.breaknews.com/
교육인적 자원부 : http://www.moe.go.kr/
교육 마당 : http://www.madang21.or.kr/

키워드

대안,   교육,   실태,   교육학,   대안교육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6.26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8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