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교육학의 오고 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 교육학의 오고 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학교를 지배하는 담론 체제에서 교육을 할 수 있을까?

2. 교육자에게 교육학의 과제는 불필요한 것일까?

3. 교육학자에게도 교육은 근원적인 祈願기원 아닐까?

4. 왜 교육자는 교육 이론 구성에 관심이 적을까?

5. 교육학자에게 교육 체험은 교육 이론 구성에 어떻게 기여할까?

6. 교육의 개선은 교육관의 개선과 무관한 과정일까?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해하도록 교육 실재와 인식, 어휘를 소개하곤 했다. 요즘은 담임인 내가 “조용히 책 보자.” 할 때, 학생들은 농담 삼아 “자! 상구하자!”, “샘이 우릴 조건화시키고 있어.”, “아냐, 샘이 우릴 통제시키고 있어.”, “원래 독서시간이니까 사회화하라는 거야.” 학생 각자의 수준에서 제각각 다르게 받아들이기도 한다.
나와 인연이 닿은 학생들이 교사들보다 교육관이 훨씬 높은데, 앞으로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도 매우 중요한 과제다. 나 역시 학교 체제에서 마냥 이상한 교사가 되지 않도록 타협과 위장하는 방법도 익혀야한다. 인식의 개선과 생활의 타협이 해결의 방도다. 그러고 보니 淸澗 선생님께서 늘 말씀하신 대로다.
교육관의 개선이 교육의 개선으로 변화되기 위한 조건으로 이용가능성(손안에 있음, Zuhandenheit)을 추가하였다. “이용가능성은 그 자체 존재하는 그대로 존재자들을 존재론적으로 범주론적으로 규정하는 방식이다.”(이기상. p. 69) 내가 이해한 바로는 이용가능성은 존재론적 차원과 범주론적 차원의 이중성을 지니는 영역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대상가능성(눈앞에 있음, Vorhandenheit)은 완전히 범주론적 차원으로 전락하여 도구적 가치로 쓰이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교육관의 개선에서 교육의 개선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인식론적 차원에서 뭔가 추가되어야할 외재적 요인을 지칭하기 위해 하이데거의 이용가능성을 끌어 왔을 뿐이다. 교육자가 거주하는 인격의 기초적 토대는 교육학자의 인식론적 토대를 전제한다.
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교육의 개선은 일어나지 않는다.
교육의 개선은 인격의 기초적 토대가 전면적으로 갈등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가능하다. 이 경우 매개상구와 독행상구가 가능하다. 매개상구의 경우 교육관 개선을 돕는 하화자의 생활 속 교육의 면모와의 대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독행상구의 경우, 자신의 현품을 대상화시켜 반성하며 자기 성장의 밑거름으로 삼아야하는 인식의 개선이 도사리고 있다. 교육자의 면모 중, 전자의 경우는 스승을 통한 모방에 그칠 수 있기에 교육관의 개선을 보장할 수 없을 것이나, 후자의 경우는 교육관 개선을 도모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이 잘못된 인식체제와 어휘의 범람이 교육관 개선을 방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교육의 개선은 교육관의 개선을 전제한다. 교육이 보편화되기 위해서는 메타교육이 전제되는 것이다. 메타교육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학 교육의 활성화는 교육의 개선을 확보하는 교육학 연구의 외재적 가치인 셈이다. 교육 실재는 저절로 드러나지 않는다. 교육학자의 교육 실재를 향한 지식과 언어의 구성적 작업을 통해서 교육 실재의 싹이 틔워지고, 교육자의 관심(Sorge)에 따라 세상에 펼쳐진다. 교육 실재가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은 교육이 펼쳐지는 세상이다. 교육 실재와 교육의 세상성은 교육자와 교육학자가 근거하는 존재론적 기반이다. 교육계가 의지하는 존재론적 기반을 확보할 때,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기에 인간 존재와 교육 현상을 탐구하는 교육학자가 되는 길에 인식의 모험과 수행의 난관이 겹쳐진다.
7. 참고 문헌
Heidegger, M. (1927/1998). Sein und Zeit. (이기상 역, 존재와 시간, 서울: 까치글방).
김형효(2001). 하이데거와 마음의 철학. 서울: 청계.
장상호(1997). 학문과 교육(상권):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상호(2009). 학문과 교육(중권 II): 교육 본위의 삶.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상호(2000). 학문과 교육(하권):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0.14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