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교육의 개념
제2절 교육의 목적
제3절 교육의 정당화
제4절 교양교육
제5절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제2절 교육의 목적
제3절 교육의 정당화
제4절 교양교육
제5절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본문내용
논쟁으로는 국내에서의 논쟁과 외국에서의 논쟁으로 크게 나눌수 있다. 먼저, 국내에서의 교육학에 성격에 대한 논쟁은 정범모와 이규호 두학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정범모와 이규호는 서로 다른 주장을 보였는데 정범모는 교육학은 경험과학으로서의 지위를 가질수 있다고 주장한반면, 이규호는교육학을 과학 내지 행동과학으로 규정하려는 것은 위험하다고 주장했다.이들은 교육학은 철학과 과학이 가지고 있는 성격과 장점을 통합적 관점에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외국에서의 교육학논쟁을 살펴보자면 실제적 활동으로서의 교육과 학문으로서의 교육학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주를 이룬다고 볼수있다. 교육학은 교육이라는 실제적 활동을 하는 데 응용되는 이론을 말한다. 이관점에서, 교육은 실제를 가리키는 반면에 교육학은 이론을 가리킨다고 할수 있다. 이입장에대해 오코너와 허스트는 서로 다른 견해를 나타낸다. 오코너는 형이상학적이고 가치판단적인 진술들은 과학적으로 도저히 증명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론으로서 자격을 갖지못한다고 주장한 반면 허스트는 오코너가 형이상학적 신념이나 도덕적 가치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했다고 비판하고,교육이론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추천자료
[교육학개론]입시의 기능에 대해 논하시오.
[교육학개론] 고교평준화논쟁
[특수교육학개론] 13장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교육학개론] 팬덤 문화, 청소년문화,
[교육학개론] 철학의 연구영역의 이해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가치론(axi...
[교육학개론] 사회의 기능과 교육 (사회의 기능과 교육의 관계가 어떤 것인가?)
[교육학개론] 블룸(B. S. Bloom)의 완전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교육학개론] 잠재적 교육과정(manifest curriculum)의 이해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실존주의 교육 - 실존주의의 철학적 배경, 실존주의의 인간관, ...
[교육학개론] 캐롤의 학교학습모형의 이해(학습자의 적성, 학습자의 수업 이해력, 학습자의 ...
[교육학개론] 삶에 대한 성찰 - 행복을 누리는 삶
[교육학개론] 삶에 대한 성찰 - 그 이념과 목적과 방법 등에 대하여 -
[교육학개론] 삶에 대한 성찰
[교육학개론] 삶에 대한 성찰 그 이념과 목적 방법 등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