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이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율곡이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애와 저서 및 사상

2. 정치사상

3. 율곡의 교육사상과 그 현대적 이해

본문내용

체성이라는 것도 인격의 주체성을 통하여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그 이유는 주체라는 것은 개인의 올바른 생명력이기 때문이다.
율곡의 교육목적은 첫째로 성인(聖人)이 되는 것이며, 둘째로 오륜과 오상「五常(仁 義 禮 智 信)」의 도를 행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이미 살핀 것처럼 율곡은 사람의 기질에는 그 차이가 없지 않으나, 중인(衆人)이나 성인(聖人)이나 그 본성은 마찬가지이라 고 했다.
그러기에 성인과 중인은 모두 교육 여하에 달려 있다고 본 것이다.
율곡의 교육과정은 『소학』을 먼저 배워 그 근본을 배양하고, 다음에는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시경』 『예경』(禮經) 『서경』『역경』 『춘추』의 순서로 학습하여 4서 5경의 뜻과 이치를 통한 다음에는 『근사록』(近思錄) 『가례』(家禮) 『심경』(心經) 『이정전서』(二程全書) 『주자대전』(朱子大全) 『어류』(語類) 및 기타의 성리학설을 읽고, 그 다음에는 사서(史書)를 읽어야 한다고 했다.
율곡의 교육방법은 궁리 거경(居敬) 역행(力行)에 두었는데, 특히 역행--실천을 위주했다. 새벽에 일어나서 아침에 할 일을 생각하고, 식사 후에는 낮에 할 일을 생각하고, 취침할 때에는 내일 할 일을 생각하여, 할 일이 없으면 마음을 놓고, 할 일이 있으면 반드시 적당한 처리 방도를 생각해 내어야 하며 그 다음에 독서할 것인데, 독서란 것은 시비를 가려내
가지고 일을 하는 데 필요한 것이다.
인간의 성장은 일생 동안 계속되기 때문에 특히 청소년에게는 계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따라서 교육의 임무는 학습자로 하여금 끊임없는 성장자로 만드는 데 기여해야 한다. 성장의 참된 뜻은 자아실현에 있다. 제한된 학교교육으로써 성장이 완성되었다고 생각하면 큰 잘못이다.
교육은 본래가 평생교육인 것이다. 그러나 현대교육이 말하는 평생교육도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율곡의 청소년 교육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적 전통의 진가를 모르고 살아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율곡은 비록 49세에 천명을 다하였으나, 그가 교육사상에 끼친 공적은 실로 컸다. 그의 문하에는 김장생(金長生) 조헌(趙憲) 등이 배출되었다. 그의 학통은 기호학은 물론, 실학파의 교육과도 사상적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그는 또한 위대한 덕인(德人)이었다. 그의 제자 이윤우(李潤宇)는 그의 온화한 성품을 봄바람에 비유하면서 어리석고 철없는 자들이라고 한 번 선생의 안색을 보면 진심으로 흡족해서 복종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고 하였다.
http://korea.insights.co.kr/korean/fmp/index.html
http://vision434.wo.to/
http://www.shinbiro.com/@tao/man/leelee.htm
http://my.netian.com/~jomak/jo70.htm
http://user.chollian.net/~tnsl/html/d28-2.htm
http://kr.encycl.yahoo.com/search.html?p=%C0%CC%C0%CC&option=all
이이 / 불함문화사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3.13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