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성동이론 (이간, 한원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물성동이론 (이간, 한원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人物性同異論의 논쟁
▶본격적 발단
1. 외암의 인물성동이론
2. 남당의 인물성동이론
3.未發心體의 선악에 대하여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의 개념은 이와 기의 합으로써 말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性은 理이지만 그 理가 氣中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性은 同一개념이라고 할 수가 없게 된다. 남당은 그 性은 形而上으로 말한 것이지만 다만 形而下와 不離할뿐이라고 한다. 즉, 性卽理는 되어도 理卽性은 안된다고 하는 것이다. 그 이유로서 제시된 것이 性字와 理字의 개념의 차이이며, 이것을 통해서 性의 개념을 분명히 하고 있다.
※ 未發心體의 선악에 대하여
호락논쟁의 또 다른 문제중의 하나는 아직 발하지 않은 마음의 본체가 선한가 아니면 선악을 겸비하는가 하는 것이다.
美發의 논쟁은 그 이전에 외암과 남당의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의 의미 차이로부터 비롯된다. 이러한 논의가 있기 전, 최성중은 그의 어록에서 未發상태는 本然之性이고 已發상태는 氣質之性이라고 파악한 적이 있었다. 여기에 대하여 외암은 性이 이렇게 두 가지가 있는 것이 아니고 하나만 말하는가, 겸하여 말하는가의 차이에 의하여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의 구별이 있을 뿐이고, 특별히 깊은 未發때는 氣가 활동하지 않으므로(氣用不事) 활동하지 않는 氣는 겸하여 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本然之性이라고 할뿐이라고 하였다. 외암에게 있어서 氣用不事의 의미는 혼요가 없는 상태로 깊은 未發의 상태이다.
반면 남당은 사람이 태어나면서 이미 육체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性은 氣質之性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인간은 未發 때의 性으로 氣質之性을 가지고 있고 理發때의 氣質之性을 가지고 있다. 단지 未發때는 성(氣質之性)이고 已發때는 情이 된다. 그래서 남당은 최성중이 性(氣質之性)을 本然之性으로 파악하고 情을 氣質之性으로 파악한다고 주장한다.
외암은 본연지성의 순수한 선을 주장하며 아직 발하기 전에는 성의 상대적 有善惡이란 있을 수 없다하고 본체론적으로 보면 사람과 사람이 모두 본연지성의 純善을 받음으로써 같고 나아가 物도 그 본체론적 性에 있어서는 사람과 같다고 한다. 다만 이미 발하여 생각함에 이르러 선하고 선하지 않음이 있게 된다하였다. 따라서 외암은 본래의 심체는 기질이 아니고 명덕이면서 수선하다고 보는 반면에 남당은 기질과 심은 기라는 측면에서 구별되지 않는 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로 인하여 외암은 본연의 심은 확충되어야 한다고 하여 본연지기의 능동성을 강조한다. 반면에 남당은 심은 어디까지나 기질이고 만약 기질인 심이 선하다면 수양의 필요가 없다고 하면서 성에 의해 심이나 기는 제약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론】
호락 양론은 궁극적으로, 인간이 物보다 고귀하다는 전제 아래, ‘인간의 우월설과 존엄성’의 근거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논리를 전개하였으며, 物에 대한 인간성의 고유한 가치를 추구하여 주체성과 권위를 확립하는데 귀일하고, 또 그것을 ‘氣’의 차원에서 탐색하고 있는 점이 일치된다. 이 호락논쟁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문제를 주체화하고, 더욱이 인간에 있어서도 心性의 未發處를 깊이 성찰하는 등 선악의 문제를 중요시하였기 때문에, 유가적 도덕의식을 심화, 구현하는 데 큰 기능을 하였다. 또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대전제에 대한 확신의 단계에서 나아가 현실적으로 인간의 마음에 깃든 선악의 모순대립적 요소가 직시되고 있는 점에서, 인물성동론은 하나의 自然反省的이론 내지 현실긍정의 이론이라 할 것이다. 유봉학, 「北學思想의 形式과 그 性格」, 『韓國史論』제8집 (서울대 국사학과, 1982), pp. 194~206
참고문헌
崔恨德, 韓國 儒學 思想 硏究 (철학과 현실사)
崔英成, 韓國儒學思想史Ⅳ (아세아문학사)
한국사상사연구회, 人性物性論 (한길사)
李相益, 機湖性理學硏究 (한올 아카데미)
김형찬,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예문서원)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1.1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