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법의 두 분야는 무엇인가?
2. 형태소의 정의를 제시하라
3 .형태소의 분석 절차를 설명하라.
4 .음운론적으로 조건화된 변이 형태와 어휘론적으로 조건화된 변이 형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7.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의 차이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라.
9. 굴절과 파생,파생과 합성의 차이는 각각 무엇인가?
■ 연습문제
2. 형태소의 정의를 제시하라
3 .형태소의 분석 절차를 설명하라.
4 .음운론적으로 조건화된 변이 형태와 어휘론적으로 조건화된 변이 형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7.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의 차이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라.
9. 굴절과 파생,파생과 합성의 차이는 각각 무엇인가?
■ 연습문제
본문내용
terryfying= terryfy(어근) +ing(접사):파생 형태소.
2)hospitalised=hospital(어근) +lise(접사) +ed():파생 형태소
3)reviewers=re(접사)+view(어근)+ er(접사)+ s(접사):파생 형태소
4)prewiewed=pre(접사)+view(어근) +ed(접사): 굴절 형태소
4.다음 단어를 자립/의존 형태소로 분석하고, 품사 변경 여부를 지적하라.
1)unhearable=un(의존형태소)+hear(자립형태소)+able(의존형태소),동사 -> 형용사
2)moralised=moral(자립형태소)+ise(의존 형태소)+ed(의존 형태소),형용사->동사(과거형)
3)width= wide(자립 형태소)+th(의존 형태소) 형용사->명사
4)tranquiliseurs=tranquilness(자립 형태소) +eurs(의존 형태소) 형용사->명사
5)delighted= delight(자립 형태소) +ed(의존 형태소):동사->동사(과거형)
6.다음 예들을 분석하여 형태소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굴절, 파생, 합성의 세 가지 부류로 분류하라.
짓누르다: 짓(파생접사)+누르다(어근)
먹이다:먹다(어근)+-이-(굴절접사)
얕보다:얕(파생접사)+보다(어근)
깨뜨리다:깨(파생접사)+뜨리다(어근)
길이:길(굴절접사)+이(어근)
늘어놓다:늘어(파생접사)+놓다(어근)
덮개:덮다(어근) +개(굴절접사)
값지다:값(파생접사)+지다(어근)
냇가:냇(파생접사)+가(어근)
보이다:보(파생접사)+이다(어근)
구경하다:구경(어근)+하다(굴절접사)
등불:등(파생접사)+불(어근)
2)hospitalised=hospital(어근) +lise(접사) +ed():파생 형태소
3)reviewers=re(접사)+view(어근)+ er(접사)+ s(접사):파생 형태소
4)prewiewed=pre(접사)+view(어근) +ed(접사): 굴절 형태소
4.다음 단어를 자립/의존 형태소로 분석하고, 품사 변경 여부를 지적하라.
1)unhearable=un(의존형태소)+hear(자립형태소)+able(의존형태소),동사 -> 형용사
2)moralised=moral(자립형태소)+ise(의존 형태소)+ed(의존 형태소),형용사->동사(과거형)
3)width= wide(자립 형태소)+th(의존 형태소) 형용사->명사
4)tranquiliseurs=tranquilness(자립 형태소) +eurs(의존 형태소) 형용사->명사
5)delighted= delight(자립 형태소) +ed(의존 형태소):동사->동사(과거형)
6.다음 예들을 분석하여 형태소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굴절, 파생, 합성의 세 가지 부류로 분류하라.
짓누르다: 짓(파생접사)+누르다(어근)
먹이다:먹다(어근)+-이-(굴절접사)
얕보다:얕(파생접사)+보다(어근)
깨뜨리다:깨(파생접사)+뜨리다(어근)
길이:길(굴절접사)+이(어근)
늘어놓다:늘어(파생접사)+놓다(어근)
덮개:덮다(어근) +개(굴절접사)
값지다:값(파생접사)+지다(어근)
냇가:냇(파생접사)+가(어근)
보이다:보(파생접사)+이다(어근)
구경하다:구경(어근)+하다(굴절접사)
등불:등(파생접사)+불(어근)
추천자료
통신언어 사용에 관한 표현상 어휘상 문법상의 실태에 관한 보고서
문법은 언어에 대한 가설이다
문법화론의 원리 및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의 언어변화 기제
[인지문법]언어구조 범주에서 본 원형효과 및 사례들
[중국어문법][중국문법]중국어문법(중국문법)의 어순과 허사, 중국어문법(중국문법)의 언어단...
북한의언어관과 문법
[광고언어와 광고][광고언어의 특징][광고언어의 텍스트수용론][실제표현법][문법파괴현상]광...
제 2언어 문법 학습은 언제 시작되어야 하는가?
제 2언어 학습에 있어 명시적 문법 지식(Explicit Grammatical Knowledge)의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