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태도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작품배경

Ⅱ. 작품개요

Ⅲ. 《한중록》의 역사적 배경

Ⅳ. 《한중록》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태도
1. 孝와 忠
2. 예와 연민, 두려움과 체념의 복합성
3. 애정과 모정의 갈등

Ⅴ. 《한중록》의 의의

Ⅵ. 결론

본문내용

지 않도록 孝行을 强調한다. 《閑中錄》의 곳곳에서 혜경궁 홍씨는 자신의 孝가 윤리에 어긋남이 없음을 강조했고, 또 자신의 孝와 忠이 일치함을 거듭 강조했다.
惠慶宮 洪氏는 병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思悼世子에게 憐憫의 情을 느끼고 부왕에게 자애를 받지 못하여 괴로워하는 남편에게 同情心을 느껴 禮를 다하여 아내로서의 도리를 행한다. 반면에 거침없이 포악한 행위를 자행하는 남편에게 두려움을 느낀 나머지 결국 敬遠하게 되고, 남편의 부재를 다행으로 여기며 남편의 모든 것을 諦念하는 複合性을 보여주고 있다.
惠慶宮 洪氏의 남편인 思悼世子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과 이해와 동정은 壬午禍變 직후 世子를 따르고자 자살 기도로 나타난다. 그러나 惠慶宮 洪氏는 어린 아들 世孫의 성취를 위하여 母情에 끌려 죽지 못하고 未亡之人의 가책은 후일 世孫을 왕위에 오르게 한 것으로 스스로 합리화시켰다.
〈참고문헌〉
金用淑, 閑中錄硏究, 정음사, 1988
소재영, 조선조 문학의 탐구, 아세아문화사, 1997
신병주·노대환, 고전 소설 속 역사 여행, 돌베개, 2003
이금희, 한중록(상), 국학자료원, 2001
정은임, 朝鮮朝 宮中 文學의 特質, 한국 문명학회, 문명연지, 2003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3.21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