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경궁 홍씨의 일대기 『한중록(閑中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혜경궁 홍씨의 일대기 『한중록(閑中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론

2. 한중록(閑中錄, 恨中錄)

3. 한중록의 구조

4. 명칭론 - 閑中錄이냐, 恨中錄이냐, 泣血錄이냐?

5. 장르의 재고 - 소설이냐, 일기냐, 수필이냐?

6. 한중록의 문예적 가치
⑴ 국문학사적 가치
⑵ 문학적 가치

본문내용

때 작자의 문학 실력도 우연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또 한중록의 또다른 가치는 문장의 우려만이 아니라, 그 저류에 흐르고 있는 한의 미학이다. 정조 승하 직후 목적의식을 가지고 쓴 궁중계 2편 「기이(其二)」,「기삼(其三)」은 분노와 짙은 슬픔으로 감정의 격한이 문장 표면에 출렁이고 있지만, 회갑 때 쓴 이 글은 한중록 4편 중에서 문자 그대로 여유 있는 마음의 표현이다. 왕년의 설움은 잊을 수 없지만 현재의 왕모로서 지극한 요도와 영광을 누리고 있는 처지니 사위스러워서라도 옛 상처는 다칠새라 건드리지 않으려 했다.
마지막으로 한중록의 귀중성은 고어와 궁중용어의 보유이다. 높은 궁중 출신으로 말미암아 또 선왕조의 전열을 미덕으로 고수(固守)하고 궁녀들도 3, 4대를 모시고 내려온 원로급이 수두룩했으니 궁중이라는 집단 사회가 용어·풍속의 전통성을 유지하는 것은 외계(外界)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을 정도이다.
중세어로서 이미 자취를 감춘 고어라든가 음운의 변화, 특수한 궁중용어는 「한중록」에서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그 가치가 더 빛난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한중록 연구』, 김용숙, 숙명여자대학교, 1981.
『한중록』, 혜경궁 홍씨, 2001.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8.09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