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라스파이레스(Laspeyres)
2.파셰(Paasche)
3.연쇄(chain)
4.물가지수의 유용성과 한계
2.파셰(Paasche)
3.연쇄(chain)
4.물가지수의 유용성과 한계
본문내용
문별 상품수급동향의 분석도 가능하다.
이와 반면에 물가지수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각종 지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물가판단에 혼란을 줄 수 있다. 그것은 각종 지수의 대상품목과 가중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계는 주로 소비자물가지수에, 기업은 생산자물가지수에 주로 관심을 보인다. 두 물가지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면 소비자와 생산자의 후생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둘째, 개별상품의 가격이 상품의 질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만약 제품의 질이 상승하여 가격이 상승한다면 물가지수가 상승한다 해도 별 문제 가 없다. 그러나 가격이 일정하더라도 상품의 질이 떨어진다면 물가가 오른 셈이지만, 물가지수는 그러한 후생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
셋째, 물가지수는 소비자의 소비패턴이나 소비성향이 바뀌는 것을 시기적으로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상품의 제품사이클이 점점 짧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5년마다의 개편은 현장감이 결여되기 때문이다. 넷째, 지수에 따라 그 지수의 성격상 물가의 변화를 과다 추정하거나 과소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물가지수는 여러 경제적 이점이 있는 동시에 한계를 같이 내포하고 있다.
이와 반면에 물가지수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각종 지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물가판단에 혼란을 줄 수 있다. 그것은 각종 지수의 대상품목과 가중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계는 주로 소비자물가지수에, 기업은 생산자물가지수에 주로 관심을 보인다. 두 물가지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면 소비자와 생산자의 후생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둘째, 개별상품의 가격이 상품의 질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만약 제품의 질이 상승하여 가격이 상승한다면 물가지수가 상승한다 해도 별 문제 가 없다. 그러나 가격이 일정하더라도 상품의 질이 떨어진다면 물가가 오른 셈이지만, 물가지수는 그러한 후생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
셋째, 물가지수는 소비자의 소비패턴이나 소비성향이 바뀌는 것을 시기적으로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상품의 제품사이클이 점점 짧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5년마다의 개편은 현장감이 결여되기 때문이다. 넷째, 지수에 따라 그 지수의 성격상 물가의 변화를 과다 추정하거나 과소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물가지수는 여러 경제적 이점이 있는 동시에 한계를 같이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