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금속과 나무의 문화
(2) 국물과 건더기
(3) 복합과 단일의 미각
(4) 접촉과 차단
(2) 국물과 건더기
(3) 복합과 단일의 미각
(4) 접촉과 차단
본문내용
수 없도록 손님이 자기가 사용한 와리바시를 부러뜨려 버리는 풍습마저 있었다. 이것 또한 자신의 혼이 남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이처럼 일본인들의 식생활에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꺼려하는 차단의 문호가 자리잡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의 식생활은 한 마디로 접촉의 문화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즉, 반찬과 찌개는 물론, 그 집에서 특별히 만든 요리가 담긴 그릇에도 각 개인의 젓가락과 숟가락을 사용하여 함께 먹는 것이 보통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식생활을 보고 일본인들은 비위생적이고 예의가 바르지 못하다고 평할지 모르지만 한국인에게 있어서 한 상에서 직접 숟가락과 젓가락을 서로 부딪치면서 먹는 것은 ‘정’이라는 말에 의해 풀이될 수 있다. 우리 속담에도 있듯이 ‘비빔밥을 먹을 때 촌수가 나온다’ 는 말처럼 한 그릇에 비벼서 각자의 숟가락을 함께 넣어 먹는 데서 우리는 정을 느끼는 것이다. 이는 곧 동질의식과도 통한다.
다시 말해, 한국은 서로 접촉하고 또 폐를 끼치면서 상호 동질성을 심화해 가는 정의 문화구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일본은 서로 폐를 끼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인간관계를 유지하려는 경계와 긴장의 문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우리의 식생활은 한 마디로 접촉의 문화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즉, 반찬과 찌개는 물론, 그 집에서 특별히 만든 요리가 담긴 그릇에도 각 개인의 젓가락과 숟가락을 사용하여 함께 먹는 것이 보통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식생활을 보고 일본인들은 비위생적이고 예의가 바르지 못하다고 평할지 모르지만 한국인에게 있어서 한 상에서 직접 숟가락과 젓가락을 서로 부딪치면서 먹는 것은 ‘정’이라는 말에 의해 풀이될 수 있다. 우리 속담에도 있듯이 ‘비빔밥을 먹을 때 촌수가 나온다’ 는 말처럼 한 그릇에 비벼서 각자의 숟가락을 함께 넣어 먹는 데서 우리는 정을 느끼는 것이다. 이는 곧 동질의식과도 통한다.
다시 말해, 한국은 서로 접촉하고 또 폐를 끼치면서 상호 동질성을 심화해 가는 정의 문화구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일본은 서로 폐를 끼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인간관계를 유지하려는 경계와 긴장의 문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일본의 식생활 문화
한국 식생활 문화 해부
1950~1960년대의 한국인의 식생활을 구체적으로 조사해보자.
일본의 식생활(식사예절)
[신화][일본 신화][이집트 신화][인도 신화][중국 신화][한국 신화][신화 사례]일본의 신화, ...
일본 SPA 브랜드 유니크로의 한국진출 전략
[한국 의식주생활][의식주생활][의생활][식생활][주생활]한국 의식주생활의 의의와 한국 의식...
[한국 의식주생활][의생활][식생활][주생활]우리나라 한국의 기원과 우리나라 한국의 형성 및...
우리나라 식생활의 개선점) 한국 식생활문화의 특징과 문제점
한국의 식생활의 역사(고려,조선,1900년대)
일본의 식생활 문화
[일본기업, 경제시스템, 인터넷경영, 임금피크제도, 한국투자]일본기업의 경제시스템, 일본기...
[폐기물재활용]한국의 폐기물재활용정책, 미국의 폐기물재활용정책, 일본의 폐기물재활용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