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정철문학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송강 정철
1.1 송강의 삶의 전체적 조명
1.2 강직한 성품의 송강
1.3 송강의 세속지향 의식
1.4 송강 문학의 기반
2. 가사에 대한 개관(槪觀)
2.1 가사의 개념
2.2 가사의 기원
2.3 가사의 형식
2.4 가사의 구분
3. 전라도 창평과 정철
3.1 창평과의 인연과 문학에의 영향
3.2 송강정과 <思美人曲>
3.2.1 송강정
3.2.2 <사미인곡>
3.2.2.1 사미인곡 서사
3.2.2.2 <사미인곡>에 나타나는 전라도 창평
3.3 식영정과 성산별곡
3.3.1 식영정(息影亭)
3.3.2 <星山別曲>
4. 송강 가사의 사상적 측면
4.1 유교 사상 - 연군(戀君)
4.1.1 <관동별곡>
4.1.2 <속미인곡>
4.1.3 <사미인곡>
4.2 도교 사상
4.2.1 <성산별곡>
4.2.2 <관동별곡>
4.2.3 <속미인곡>
4.2.4 <성산별곡>
5. 정철 시의 특징
6. 정철의 자연관
7. 송강 시문학에 대한 평가와 의의
7.1 역대 송강 가사에 대한 평가
7.2 송강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8. 송강 문학 교육의 필요성
9. 맺음말

본문내용

임금의 호출을 간접적이면서도 지독히 표나게 요청하는 것에서 그의 자연관을 짐작하게 한다. 막상 머무는 곳이므로 사랑한다고 한 아름 껴안은 속에서만 자연을 놓을 만반의 준비를 하였고, 단지 환경으로서 생존수단으로서의 자연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16C의 조선조 사대부들의 전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모습은 즉 동화되는 자연이 아닌 힘든 정사를 위한 여분의 휴식처로서 다가간 것이다.
마치 부끄럼 많은 문예소녀 같은 문체의 한용운이 곧은 성미와 강한 남성적 의지로 독립을 위해 애쓰는 이중성과 같이, 그가 여성적인 아름다운 기교로 문장을 쓰고 그 속에 자연을 묘사했지만 불칼 같은 성미와 위정가의 번뜩이는 야심은 항상 그 위에 서 있었던 것이다.
7. 송강 시문학에 대한 평가와 의의
7.1 역대 송강 가사에 대한 평가
■ 속미인곡은 역시 송강이 지은 것으로, 앞의 노래가 다하지 못한 말을 다시 펴서 꾸밈이 더욱 공교하고 뜻이 더욱 간절하여 가치 제갈공명의 <출사표>와 맞먹는다. - 홍만종의 <순오지>
■ 송강의 관동별곡과 전후 미인곡은 우리나라의 <이소(離騷)>이다.
옛날부터 우리나라의 참된 문장은 오직 이 세 편뿐인데, 다시 이 세 편에 대하여 논할 것 같으면 그 중에서 속미인곡이 더욱 뛰어났다. 관동별곡과 사미인곡은 오히려 한자음을 빌어서 그 가사 내용을 꾸민 데 지나지 않는다. - 김만중의 <서포만필>
■ 송강의 전후 사미인의 가사는 속된 말로 된 것인데 정계에서 밀려나 우울한 마음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남녀의 관계로 비유한 이 가사는, 그 중심은 충성되고, 그 뜻은 깨끗하며, 그 절개는 곧고, 그 말은 우아하고 곡진하며 그 가락은 슬프나 순순하여 거의 굴평의 <이소(離騷)>에 필적할만하다. - 김춘택 <북헌집>
■ 우리나라 노래 중 정철이 지은 것이 가장 훌륭하여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이 후세에 성행하였다. - 이수광의 <지봉유설>
7.2 송강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 송강은 한문학과 국문학 모두에 통달한 문인이었다. 가사, 시조, 한시 등에서 보여준 그의 문학적 성과는 어느 한 개인이 어느 특정한 분야에서 독보적으로 보여준 문학적 성과 이상으로 성공적이었다.
■ 송강 문학은 문학적 개성이나 독창성이 뛰어난 창조적 산물이다.
■ 송강이 남긴 국문 노래의 장르들은 국문학의 노래 장르를 체계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표본 내지 단서 역할을 하고 있다.
■ 한문학을 독점하던 대표적 식자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 노래 문학에 대한 조예가 깊었다는 점은 장르 의식의 진보성을 입증한다. 장르의식과 기법상의 진보성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송강 문학은 탁월한 언어의 조탁, 조어의 아름다움, 표현의 참신성, 격조의 우아함, 작품의 언어, 형식, 내용, 표현, 기법, 구조, 시풍에 있어 단연 국문학의 최고 수준이다.
후대의 비평가들은 그의 시문학에서, 17세기 이후 대중적인 시가 형태로 나온 서민가사의 연원을 보고 있다. 그를 높이 찬양한 박인로, 김만중, 허균, 김춘택 등은 그의 가사문학에서 소박성, 진보성을 배웠으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배웠을 것이다.
그의 가사문학은 풍부한 생활적 국문 시어의 세련된 묘사와 표현 수법들에 의하여 조선어의 시어적 가치를 획기적인 단계로 제고시켰으며 국어국문 시가의 원류를 가일층 뚜렷하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8. 송강 문학 교육의 필요성
송강은 성장 환경 기질과 품성 작품 경향 삶에 대한 지향 의식 등의 면에서 퍽이나 대조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어느 국면에 이르러서는 이런 대조적 측면들이 특유의 개성과 더불어 조화 통일된 형상으로 우리 앞에 그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그만큼 다채로우면서도 복합적인 형상을 지닌 인물이 바로 송강이다.
송강에게서 역사 격변기를 헤쳐나간 문인 지식인의 한 전형을 본다. 그는 강렬하게 느끼고 주체적으로 사고했으며, 지식인다운 의지와 용기로써 행동했다. 그리하여 자신의 시대가 제기하는 삶과 사회 문제들에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갔다. 특히 그는 아름다운 언어를 사용하여 참신하고 우아하게 시작(詩作)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자신이 겪어 온 삶의 기록이자, 공감의 지평을 열어 준 사유와 감성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또 다른 격변의 시대에, 우리가 송강의 생애와 문학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9. 맺음말
지금까지 많은 것을 담기엔 짧은 지면에 개략적(槪略的)으로 정철의 삶과 가사 문학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다. 이제 답사(踏査)에서 우리가 해 볼 일은 무엇이겠는가. 한 시대를 믿는 바에 따라 굽힘없이 온 몸으로 힘겹게 밀고 나가며 살아간 한 꿈 많은 시인(詩人)이, 머물며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바라보면서 시를 읊었을 송강정, 식영정, 그리고 그 주변을 밟으며, 시인이 보고 꿈꾸었을 것을 생각하는 답사(踏思)를 해 보는 것이 괜찮지 않을까
그가 살았던 때에서 400여년이 넘게 지난 지금 그는 없고, 그의 시와 송강정, 식영정만이 남아 있다. 주변도 달라진 송강정 식영정 또한 그 때와 많이 다를 것이다. 아마도 그와 우리 사이에는 송강정, 식영정 주위에 명멸(明滅)하는 햇빛만이 송강이 보았던 것과 비슷한
질감과 형상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지금까지의 살펴봄에도 불구하고 송강의 내면에 완전히 가 닿을 수 없음을 절감한다.
글을 맺는다.
< 참고 문헌 >
박영주, 송강 정철 평전, 중앙 M&B, 199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1998
현종호, 국어고전시가사연구, 보고출판사, 1996
아상보, 한국 가사 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9
김갑기, 송강 정철 연구, 이우출판사, 1985
한국 고전 연구회, 가사문학정해, 정동출판사, 1983
김명제, 송강가사연구, 성균관대학교, 1984
김종석, 송강문학형성의 배경고, 동국대학교, 1994
김상조, 송강정철연구, 고려대학교, 1981
이봉철, 송강 문학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려대학교, 1986
강기묘, 정철 문학의 교육방법 연구, 국민대학교, 2000
최태호, 송강가사 연구의 문제점, 대전대학교, 1999
이아경, 송강 정철과 그의 작품 세계, 서울교육대학교,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3.25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