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북방식․남방식․개석식 지석묘
1) 북방식 지석묘
2) 남방식 지석묘
3) 개석식 지석묘
3. 지상형․지하형 지석묘
1) 지상형 지석묘
2) 지하형 지석묘
4. 맺음말
2. 북방식․남방식․개석식 지석묘
1) 북방식 지석묘
2) 남방식 지석묘
3) 개석식 지석묘
3. 지상형․지하형 지석묘
1) 지상형 지석묘
2) 지하형 지석묘
4. 맺음말
본문내용
과시하고 있다. 이것은 대개 1기만 단독으로 존재하든가 군집지역의 한쪽이나 중앙에 치우쳐 나타나고 있다.
이런 배치는 무덤으로 보다는 집단 묘역의 상징적인 기념물로서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또 상석의 규모가 큰 지석묘는 외형상 무덤의 봉분의 역할, 즉 묘표를 한 것으로도 보여져 소형의 상석과는 다른 신분이나 힘을 가진 자의 무덤으로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② 지하Ⅰb 형
이 형식은 괴석형과 장타원형 상석아래에 석실이 있는 것으로 괴석형의 경우 석실이 없는 것보다 규모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2) 지하Ⅱ형
이 형식은 소형 지석이 고이고 있는 것인데, 대개 지석이 외형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뚜껑돌이나 적석위에 올려져 상석을 받치고 있는 형식이다. 상석이 장방형이거나 판석형인 경우도 지석이 고이고 있지만 상석 자체가 웅장한 면을 보이지 않고 모두 석실이 나타나고 있어 무덤으로서 기능에 충실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3) 지하Ⅲ형
상석 아래에 지석이 없이 바로 매장주체부에 올려진 형식으로, 대부분의 지석묘가 이 유형에 해당한다. 이 형식도 지하Ⅱ형과 같이 장방형이나 판석형 상석으로 규모면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 이 유형도 적석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4. 맺음말
지금까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인 지석묘의 형식에 대해 살펴보았다.그러나, 강봉원은 지석묘의 이러한 분류 자체가 아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즉, 이러한 형식분류는 형식분류를 시도하는 연구 당사자는 아주 명료하게 잘 파악하고 있을 지 몰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분류되는지 명확하게 잘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지석묘들을 대표적인 지석묘의 형식이 발견된 지명을 따서 침촌리식, 오덕리식, 황석리식, 혹은 적량동식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고 개념파악이 쉬울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요컨대, 지석묘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전되었지만, 지석묘의 형식분류는 학자들의 다양한 분류기준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참 고 문 헌
김재원윤무병 , 『한국 지석묘 연구』, 국립박물관, 1986
최몽룡김선우 외, 『한국 지석묘 연구 이론과 방법』, 주류성, 2000
전라남도목포대학교 박물관, 『전남의 고대 묘제』, 1996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의 반세기』, 1995
이런 배치는 무덤으로 보다는 집단 묘역의 상징적인 기념물로서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또 상석의 규모가 큰 지석묘는 외형상 무덤의 봉분의 역할, 즉 묘표를 한 것으로도 보여져 소형의 상석과는 다른 신분이나 힘을 가진 자의 무덤으로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② 지하Ⅰb 형
이 형식은 괴석형과 장타원형 상석아래에 석실이 있는 것으로 괴석형의 경우 석실이 없는 것보다 규모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2) 지하Ⅱ형
이 형식은 소형 지석이 고이고 있는 것인데, 대개 지석이 외형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뚜껑돌이나 적석위에 올려져 상석을 받치고 있는 형식이다. 상석이 장방형이거나 판석형인 경우도 지석이 고이고 있지만 상석 자체가 웅장한 면을 보이지 않고 모두 석실이 나타나고 있어 무덤으로서 기능에 충실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3) 지하Ⅲ형
상석 아래에 지석이 없이 바로 매장주체부에 올려진 형식으로, 대부분의 지석묘가 이 유형에 해당한다. 이 형식도 지하Ⅱ형과 같이 장방형이나 판석형 상석으로 규모면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 이 유형도 적석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4. 맺음말
지금까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인 지석묘의 형식에 대해 살펴보았다.그러나, 강봉원은 지석묘의 이러한 분류 자체가 아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즉, 이러한 형식분류는 형식분류를 시도하는 연구 당사자는 아주 명료하게 잘 파악하고 있을 지 몰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분류되는지 명확하게 잘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지석묘들을 대표적인 지석묘의 형식이 발견된 지명을 따서 침촌리식, 오덕리식, 황석리식, 혹은 적량동식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고 개념파악이 쉬울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요컨대, 지석묘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전되었지만, 지석묘의 형식분류는 학자들의 다양한 분류기준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참 고 문 헌
김재원윤무병 , 『한국 지석묘 연구』, 국립박물관, 1986
최몽룡김선우 외, 『한국 지석묘 연구 이론과 방법』, 주류성, 2000
전라남도목포대학교 박물관, 『전남의 고대 묘제』, 1996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의 반세기』,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