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분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책의 분류
1) 내용에 따른 분류
2) 겉모양에 따른 분류
3) 역사나 지역에 따른 분류

1. 책 발달에 따른 종류
1. 사 본 (寫 本)
2. 간인본(刊印本)
3. 목판본(木版本)
4. 활자본(活字本)
5. 석인본(石印本)
6. 탁인본(拓印本)
7. 검인본(鈐印本)
8. 기타 인본

본문내용

을 보면 글자 획이 부분적으로 여러 군데 끊어지고 글자체도 정연하지 못한 편이지만 백랍을 두껍게 칠하여 구웠기 때문에 칼로 깎아도 잘 깎아지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 편이다.
4) 포활자본(活字本)
바가지의 견고한 외피 에 글자를 새긴다음 실톱으로 잘라 네면을 손질하여 만든 활자를 포활자 또는 바가지 활자라 일컫고 그 활자로 찍은 책을 <포활자본>또는 <바가지 활자본>이라 일컫는다.
이 바가지 활자에 대하여 시인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부인하는 이가 있어 그 견해가 분분하였다.
포활자본의 특징은 바가지의 외피 펴면은 견고하고 속이 부드러워 글자 새기기가 쉽기 때분에 아주 작은 활자까지 손쉽게 잘 새겨 책자를 찍어낼수 있고 표면의 재질이 곱고 치밀하기 때문에 바가지 활자는 나무 활자와 달리 인쇄가 깨끗한 것이 특징이다.
5) 한글활자본
우리나라의 글자를 <한글훈민정음> 또는 <정음>이라 일컬으며 세종대왕이 동왕 25년(1443) 12월에 제정해서 동왕 28년 (1446) 10월에 반포한 훈민정음각판(목판본)에서 그 원형을 볼 수 있다. 활자인쇄에서 나무 또는 쇠붙이 등으로 만든 활자를 <한글활>자 또는 <정음 활자>라 이르고 그 활자를 찍은 책을 <한글 활자본> 또는 <정음 활자본>이라 일컫고 있다.
5. 석인본(石印本)
석회석 위에서 물과 기름이 혼합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판판한 돌의 표면위에 비누와 지방을 섞은 재료로 글자와 그림 따위를 제판하여 찍어낸 책을 석인본 또는 석판본이라고 한다.
평판인쇄의 가장 초기의 형태로서 그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설비가 적게 들어 우리나라에서 19세기 말부터 쓰기 시작하였다.
6.탁인본(拓印本)
돌 또는 쇠붙이로 된 비와 기물에 새긴 글, 글씨, 그림을 종이에 그대로 박아낸 것을 탁인본이라한다.
탁인본은 주로 먹물을 사용하여 박아냈다.
석비의 탁인본은 세월이 오래 된 후대에 이루어지면 글자와 그림이 마멸되어 판독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그 탁인 시기를 매우 중요시한다 처음에 박아 낸 것을 초탁본이라 하고, 비교적 초기에 박아낸 것을 초기탁본이라 한다. 이에 대해 후기에 박아낸 것을 후기탁본이라 한다.
탁인 방법은 목판본의 인쇄 방법과 다르다 먼저 박아내고자 하는 부분을 깨끗이 훔치거나 씻거나 닦아 낸 다음 화선지와 같은 종이를 그곳에 대고 부드러운 물질에 물을 축여 종이 위에 쳐서 종이가 옴폭 들어가도록 한다. 물기가 마르면 부드러운 질에 먹물을 칠하여 고르게 두드려서 박아낸다. 이때 박아낸 탁본은 대체로 문자가 된다.
전래되고 있는 것으로는 비문을 박아낸 탁인본이 가장 많다. 그중 신라와 고려의 석비에서 박아낸 초기탁본은 모두 귀중한 자료들이다.
7.검인본(鈐印本)
명가의 인장 또는 도장을 찍어 엮거나, 책 글씨 그림에 찍힌 인장 또는 도장을 모아 엮어낸 책을 <검인본>이라 한다.
이 검인본은 희귀서의 전래내력을 비롯하여 명가의 글씨와 그림을 감정하고 연구하는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8. 기타 인본
1) 유인본(油印本)
기름먹인 등사원지(謄寫原紙)를 줄판 위에 놓고 글, 글씨, 그림을 철필로 긁거나 그린 다음 이를 등사기의 틀에 끼워 그 위를 등사 잉크를 바른 롤러로 밀어서 박아낸 책을 <유인본>이라 한다.
일제시대부터 광복 후 1960년대까지 성행하였던 가장 간편한 인쇄 수단이었다. 그 인본으로는 전통문화에 관한 자료가 적지않게 전래되고있다.
2)영인본(影印本)
원본을 사진이나 기타 과학적 방법으로 복제한 책을 <영인본>이라 한다.
3)복사본
고문서 서화등을 복사한 것을 <복사본>이라 총칭한다. 이것은 도서관 또는 다른 이의 소장본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여러 장 복제하여 이용하는데 편리하여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