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의 문화에 대하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떡의 유래

2. 떡의 종류

3. 시대별 떡문화

4.지역별 떡의 종류

본문내용

글게 빚어 잣베 개 모서리 만들 듯 집어 준다.
#찹쌀부치기
부꾸미의 일종으로,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번철에 지지다가 팥고물을 넣고 반달 모양으로 접은 떡이다.
#잡곡부치기
멥쌀가루에 흰콩을 갈아서 섞거나, 찰수숫가루에 녹두즙을 섞어서 김치와 고기로 만든 소를 넣고 지진 부꾸미이다. 또는 녹두지지미처럼 고기와 김치를 붙여 가며 둥 글넓적하게 지지기도 한다.
#장떡
여러 가지 양념을 넣어 치댄 된장을 동글납작하게 빚어 말려 지진 떡이다
#꿀물경단
찹쌀가루와 멥쌀가루를 합쳐 익반죽하여 둥글게 빚은 다음, 끓는 물에 삶아 건져 꿀물에 담근 것이다. 이 떡은 찹쌀로 만들어 각종 고물을 묻히는 일반 경단과 달리 멥쌀을 섞어 만 들어서 꿀물에 담가 먹는 점이 특이하다.
#닭알떡
물에 담갔던 쌀을 맷돌에 갈아 보자기에 담아서 물기를 뺀 다음, 팥소를 넣고 닭알처럼 빚 어 끓는 물에 삶아 건져서 팥고물을 묻힌 떡이다.
#수제비떡
밀가루를 반죽하여 끓는 팥고물 위에 뜯어 놓고 그 위에 다시 팥고물을 얹어 익힌 떡이다.
평안도 떡
평안도는 우리 나라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안남도와 평안북도로 나누어진다. 이 중 평안남도는 대동강 유역을 포함하면서 북쪽은 묘향 산맥, 남쪽은 언진 산맥, 동쪽은 낭림 산맥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평안북도는 동쪽은 낭림 산맥을 경계로 함경남도와 접하 고, 서쪽은 황해, 북쪽은 압록강을 건너 중국의 만주와 마주 대하고 있다. 이렇듯 평안도는 대체로 서쪽을 제외하고는 산세가 험한 편이다. 그래서 경작지 중 논은 바다에 면한 서쪽에 20% 가량 차지하고, 나머지 70% 가량은 밭이다. 그러나 적은 논 면적 에 비해 곡식은 비교적 잘 되는 편이다. 특히 평북의 황해 연안과 청천강 유역에 넓게 분포 되어 있는 논은 수리 시설이 잘 되어 있기로 유명하다. 그리고 평남의 경우도 경의선(경의 선)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서부 평야 지대는 '건답 재배(건답재배)'라는 독특한 미작법 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산물은 쌀을 비롯하여 조촹수수촹기장촹옥수수촹감자촹대두촹보리촹 팥촹녹두 등의 잡곡과 사과촹밤 등의 과일이 있다. 떡은 주로 이들 농산물을 재료로 하여 만드는데, 대륙적이고 진취적인 이 지방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어 매우 크고 소담스럽다.
#감자시루떡
감자를 갈아 건더기와 앙금을 익반죽한 뒤, 막팥고물을 얹어 가며 시루에 안쳐 찐 떡이다.
#노티
노티는 찹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엿기름에 삭혀서 번철에 지진 독특한 떡이다. 이 떡은 찹쌀 대신 이 지방에서 많이 생산되는 찰기장과 찰수수만으로 만들기도 하는데, 추석에 만들어 다음 해 여름철까지 그대로 두고 먹을 수 있는 간식이다. 그 맛의 특징은 달고도 새콤하며 쫄깃쫄깃하다.
[참고] * 노티는 찹쌀 대신 기장쌀로 만들기도 한다. * 노티의 반죽을 삭힐 때 자주 반죽해서 잘 섞어야 딱딱한 멍울이 생기지 않는다. * 평안도 사람들은 이 노티를 명절 때 많이 만들어 명절 음식상에 푸짐하게 놓는다.
#녹두지짐
녹두를 갈아서 지진 지짐이다. 녹두지짐은 녹두의 비릿한 맛과 씹으면 약간 타박타박한 것 같으면서도 구수한 맛이 나는데, 평안도에서는 특히 돼지비계를 넣고 지진 녹두지짐을 제일 로 친다.
그밖의 평안도 떡
#조개송편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깨소(깨를 볶아 찧어 설탕과 간장에 버무려 만듦)를 넣고 조개 모양으로 빚어 찐 떡이다.
#무지개떡
찹쌀가루와 멥쌀가루를 섞어 3등분하여 각각 치자물촹쑥물촹팥물을 들여 고 물 없이 켜로 안쳐 찐 떡이다.
#골미떡
멥쌀가루를 3등분하여 각각 빨강촹노랑촹파랑의 물을 들여 만든 절편으로, 아기 의 돌 때 주로 만든다.
#니도래미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그랗게 빚어서, 끓는 물에 삶아 건져 팥고물에 묻힌 떡이다.
#송기절편
멥쌀가루에 송기를 섞어 만든 절편인데 평안도에서는 단옷날에 많이 만든다.
#뽕떡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갸름하면서 납작하게 빚어 뽕잎을 맞붙여 찐 떡이다. 이 떡은 잘 변하지 않으므로 여름철에 많이 해 먹으며, 또한 농가의 부업으로 양잠이 성한 영변을 중심 으로 한 청천강 유역에서 많이 해 먹는다.
#찰부꾸미
찹쌀가류를 익반죽하여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부치다가 녹두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만들 어 밤채촹대추채촹석이채를 붙인 다음 꿀물에 잰 떡이다.
#강냉이골무떡
강냉잇가루를 익반죽하여 충분히 치댄 다음 골무 모양으로 빚어 찐 떡이다
#꼬장떡
멥쌀가루나 좁쌀가루를 익반죽하여 동그랗게 빚은 뒤 끓는 물에 삶아 건져서 고물(콩고물 이나 팥고물)을 묻힌 떡이다 .
함경도 떡
함경도는 우리 나라 동북부에 위치한 곳으로, 북관도(북관도)라 일컬어지기도 하며 기후가 가장 추운 산간 벽지이다. 함경남도는 낭림 산맥과 마천령 산맥을 경계로 인접 지역과 구분 되는데, 동쪽은 동해, 서쪽은 평안도, 남쪽은 철령을 경계로 강원도, 북쪽은 압록강을 국경으 로 중국의 만주와 각각 맞닿아 있다. 또한 함경북도는 백두산에서 뻗어 내린 마천령 산맥을 경계로 삼각형 모양을 이루면서 동쪽은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트크와 서쪽은 함남, 남동쪽은 동해, 북쪽은 중국의 길림성과 각각 접하고 있다. 이렇듯 함경도는 대체로 지형적 여건이 험준한 산악 지대여서 잡곡 중심의 빈약한 농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함남의 경우를 보더라도 함흥촹영흥촹안변촹북청 평야 등 비교적 넓은 평야가 있음에도 산악 지대가 넓어 경지율은 10%를 겨우 웃돈다. 주요 농작물은 동해 안 지방에서 쌀촹조촹콩이 생산되고 산간 고원 지대에서는 감자촹귀리 등이 생산된다. 이 밖에 수수촹피촹메밀촹옥수수 등도 생산된다. 이지방의 떡 또한 수수촹귀리촹메밀촹옥수수촹감자 등 이들 농작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 며, 북쪽 지방 대부분의 떡이 대개 그렇듯이 장식이나 기교가 없이 소박하며 구수한 것이 특징이다.
#깻잎떡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들깻잎에 싸서 찐 떡으로, 들깻잎 향이 떡에 배어 맛이 좋다.
#언감자송편
언감자로 가루를 만들어 익반죽하여 치댄 다음, 팥소를 넣고 송편처럼 빚어 찐 떡이다. 함 경도는 가장 추운 산간 벽지이므로 특작물인 감자가 쉽게 얼게 되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만 든 떡이 언감자송편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