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외국인 노동자의 건강과 질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에 대한 절대 의료 서비스량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 의료보험제도의 혜택을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으려면 노동환경개선이라는 또 다른 이슈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처우개선책이 제시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인 노동자의 의료 및 사회보장문제의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노동허가를 실시하여 불법신분의 외국인 노동자를 합법적인 신분으로 안정적인 노동 및 생활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되겠으나, 현실적으로 여러 난관에 봉착해 있다. 노동허가제가 법제화되어 실행되기 전까지 마냥 자원봉사나 소수 뜻있는 사람의 물적 지원에 의존하는 것으로는 증가하는 의료요구도와 그에 상응하는 비용의 문제를 감당할 수 없으며 상담소에서도 업무 과부하로 한계상황까지 도달하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정부는 외국인 노동자의 문제에 한해 딱딱한 법과 제도만으로 산업연수생 제도를 1+2로 변형한다든가, 고용허가제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빈약한 원칙만을 되풀이할 것이 아니라, 상담소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최소한의 인권보호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적 방안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Reference
① 김미선 外 4, 외국인 노동자 의료 백서, 청년의사, 2001
② http://www.amwc.org
③ http://www.mumk.org/
④ http://migrant.peacenet.or.kr/library/labor/korea2-12.htm
⑤ http://migrant.peacenet.or.kr/library/mission/mission.2-1.htm
그러므로 정부는 외국인 노동자의 문제에 한해 딱딱한 법과 제도만으로 산업연수생 제도를 1+2로 변형한다든가, 고용허가제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빈약한 원칙만을 되풀이할 것이 아니라, 상담소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최소한의 인권보호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적 방안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Reference
① 김미선 外 4, 외국인 노동자 의료 백서, 청년의사, 2001
② http://www.amwc.org
③ http://www.mumk.org/
④ http://migrant.peacenet.or.kr/library/labor/korea2-12.htm
⑤ http://migrant.peacenet.or.kr/library/mission/mission.2-1.htm
추천자료
[사상의학]사상의학의 정의 및 분류
[중국 의학서][상한론][내경][중국 의학서 상한론 15자항][중국 의학서 상한론 내용][제가학...
[이제마 사상의학]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의의와 배경, 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
[이제마][사상의학]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정의, 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개념과 특성, 이제마 사상의학(사...
노인의학기초지식 활용과 의학기초의 필요성
의학의 발달과 다양성 & 인터넷 발달과 사회의 다양성
[윤리][신문윤리][기업윤리][의학윤리][환경윤리][행정윤리][광고윤리][경제윤리][시민윤리]...
[법의학 감상문] ‘검시와 죽음의 의학적 진단’을 읽고
[정신의학, 동서의학, 종교의학, 교육, 치료, 프로이드, 프로이트, 종교, 동양, 서양]정신의...
[의사소통론]환자와의 의사소통 - 질병에 앓게 되었을 때 심리적 반응에 대한 이해, 의학적 ...
신라 의학 발달의 토대가 된 신라의 군진의학 - ‘몸, 질병, 권력: 통일전쟁기 신라의 군진의...
생명공학의 발달과 의학의 변화 - 의학에서 활용될 생명공학 기술의 재조명과 전망에 대해 -
대체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