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운환경변화와 부산항개발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해운환경변화와 부산항개발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제해운환경과 상해항의 부상
1. 세계 경제력의 아시아권 집중
2. 상하이항의 부상

Ⅲ. 부산항의 현황과 문제점
1. 부산항의 특성
2. 부산항의 문제점

Ⅳ.부산항의 개발의 전략과제
1. 부산항과 상하이항의 우위요인 비교
2. 부산항 신항만 개발과제

Ⅴ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적당
처리시적에서는 우수
환적비용비교
물류비(기타비용포함):100
물류비(기타비용포함제외):100
물류비(기타비용포함):100
물류비(기타비용포함제외:106
소요일수
LA항수송: 상하이에서 직기항 수송보다는 광양항에서 환적되는 경우, 0.5∼1.3일정도 단축
유럽항로: 상해이북 항만의 직기항 수송이 유리
물류서비스 환경비교
물류센터 유치 배후부지가 전혀 없고, 현황 관세자유지역은 면피성 행정에 불과 함
-푸동지구를 자유무역지대로 지정 <- 다국적 물류센터로 운영중
-최근 완전자유항 개념 도입
항만개발계획
기간: 1995∼2011년(16년)
총사업비: 9조 1542억원
내용; 컨테이너부두 30서석 항만 및 배후부지 324만평
기간: 2002∼2020년(20년)
총사업비: 60억불
내용:
-컨테이너항, 동해해상대교, 노조항 3개 공사로 대별
-2010년까지 선석 52개 세계최대 규모로 개발
2. 부산항 신항만 개발과제
부산항은 여러 가지 낙후된 시설문제와 배후부지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부산항 신항만 계획이 대두되었다.
개발방향으로는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물류중심의 항만의 개발과 국제 컨테이너 주항로 상의 중심항(Hub-Port)위상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 동북아 경제권의 관문 항으로서의 국제 환적항 기능을 제고하는 것 이다.
<표 6 > 부산항의 사업계획
구분
전체
(1995 ∼2011)
제 1단계
(1995∼2008)
제 2단계
(2009∼2011)

사업비(억원)
91,542
55,519
36,032
사업량(선석)
30
18
12
효과(만TEU)
804
443
361
정부
사업비(억원)
41,739
28,012
13.712
사업량(선석)
방파제 1.49Km
1.49Km
-
투기장호안 20.8Km
20.8Km
-
어업보상 등 1식
1식
1식
민자
사업비(억원)
49.803
27.502
22,2k96
사업량(선석)
6.05Km(18)
안벽 4.3Km(13)
1,75Km(5)
출처: 부산항만공사
-출처: 부산항만공사
<그림 5> 부산신항만의 개발 계획
< 표 6 >에서 전체적인 사업 계획안을 보면, 1995년에서, 2011년 까지 16년동안 사업비 9조 1542억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30선적으로 804만 TEU를 처리 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항만 조성에 따른 효과로는 수출입화물의 원활한 처리로 물류비용 절감되고, 국가경쟁력 제고에 따른 하역시설의 확충 및 하역능력 향상되어, 접안능력 30선석 (최대 5만톤급), 하역능력 804만 TEU/년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부산항 신항만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항만 인프라만 구축한다고 해서 상하이항과의 경쟁에서 이길수 없다는 의견이 분분한 것이다. 상하이, 가오슝, 홍콩 등 경쟁 항들도 대대적인 항만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인프라에 더해 기존 운영 효율성을 대폭 제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Ⅴ. 요약 및 결론
동북아시아 주요 항만 간에 중심항의 지위를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동북아 지역 내 주요항만들의 현황과 경쟁여건 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이 동북아의 중심 항으로서 역할획득이 가능한 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부산항의 발전 전략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우리는 부산항과 상하이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해운환경이 세계 각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무역규모도 점차 늘어나서 2015년에 이르면 화물에 대한 컨테이너화율도 현재의 60%대에서 80%에 이르게 되고, 물동량 규모에 있어서도 두 배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OSC 2003년 보고서) 이는 최근 차이나쉬핑, 한진 등을 비롯한 주요 국제 선사들의 경쟁적인 선대확충에서도 볼 수 있듯이 막대한 자금투입의 결론 뒤에는 확실한 물량확보가 선행되어 있다는 점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향후 후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으로 각 국가 간 무역규모가 점차 증대됨에 따라 해상무역의 비중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늘어나는 화물의 대부분은 세계 주요 간선망에 위치한 항만에서 흡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부산항은 상하이항에 비해 경쟁력 있는 부분을 모색해야 변화하는 세계해운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우리나라 항만은 동북아사이의 중심항만으로서의 입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 상하이 항의 항만개발이 우리에게 잠재적인 위협요인으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는 시설부족과 배후지 확보가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남아 있다, 현재와 같이 낙후된 시설로는 원활한 수출물량 처리에 장애를 입을 수 밖에 없다.
신 항만이 개장되어도 부산항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의견이 분분한건 사실이고, 인프라만 구축한다고 해서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부산항의 운영 효율성을 대폭 제고해야 하고 , 양보다는 질 우선으로 신속한 화물처리로 21세기 항만물류산업의 변화 조류에 맞추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즉, 세계 해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하며, Lead time에 맞추어 발전해 나가야 함은 물론, 적극적이고 유치가능성이 높은 개발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 web자료 >
부산항-http://www.portbusan.or.kr/
부산지방해양수산청-http://www.portbusan.go.kr/
부산항만공사-http://www.pba.or.kr/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http://www.kca.or.kr/
AJSGL-http://www.hanjinlogistics.com/Kr/Home/index.jsp
해양수산부-http://www.momaf.go.kr
< 논문자료 >
장세거 이종인 . 부산항의 환적화물유치 전략에 관한 연구
조 경우 이종인. 동북아시아 중심항으로서의 부산항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신항만을 중심으로. Mega Hub Port로서의 부산항 발전방안 1998.1
한국해양 개발원 -한국 중국의 항만 물동량 수급 현황 및 전망과 환적화물 유치 가능성 및 전략 2004 . 4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조사기획팀) -세계 주요항만 현황 및 보고서 2004. 8.16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4.03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