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정착과 성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조의 정착과 성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초기 시조와 서정시의 방향

2. 강호로 물러나는 전환기의 작품

3. 영남가단과 강호가도

4. 호남가단과 풍류정신

5. 기녀시조의 충격

본문내용

리하게 전개되어 정철이 밀려나면서 안타까운 심정을 나타내었고, 임금을 생각하는 마음을 전하자는 것보다는 생동하는 느낌을 살려서 얻을 공감에 더욱 관심을 두었다고 할 수 있음.
- 재 너머 成勸農 집의 ~ : 조용히 관조하는 시에 그치지 않고 넘치는 흥취를 움직임으로 살렸으며, 천진스럽고 분망한 생각을 거침없이 엮어냄.
임제(林悌) : 벼슬을 버린 채 명산을 찾아 기개를 토로하면서 호남가단의 맥을 이었다. 한문, 한시, 시조를 모두 지었는데 시조에서 강호가도 구현과는 거리가 먼 기생과 관련한 사연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명분에 얽매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 북천이 다커늘 ~ : 한우(寒雨)라는 기생을 만나 지은 것으로 궁상맞고 처절한 느낌을 잘 나타냄.
- 靑草 우거진 골에 ~ : 황진이의 무덤 앞에서 지었다는 시조로 청홍백의 강렬한 색채 대조로 삶이 허망하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강조하는 효과를 거둠.
5. 기녀시조의 충격
임제가 기생을 상대로 시조를 지어 희롱거리로 삼았던 것은 기생이 시조를 이해했던 사정을 말해준다. 제대로 자격을 갖춘 기생이라면 가무음률을 두루 익히고 한시, 시조에도 능숙해야했다. 기녀시조를 통해 사대부문학이었던 시조의 작자층이 확대되는 전환이 이루어졌다.
소춘풍(笑春風) : 성종이 신하들과 함께 잔치를 벌이면서 불러 술을 따르게 했더니, 소춘풍은 영의정 앞에 나아가서 문반을 칭송하는 시조를 불렀는데(1수), 거기에 문신을 추켜올리고 무신을 낮추는 구절이 있어 다시 무신 앞에 가서 앞의 말이 희언이고 문무가 일체이며, 오히려 용맹스러운 무인이 좋다고 하였다(2수). 이에 시비가 일어나자 큰 나라들끼리 다투는데 조그마한 나라야 양쪽을 다 섬겨야 한다는 내용(3수)의 시조를 지었다. 이러한 시조 자체보다는 거기 따르는 일화가 재미있어 누가 기록해 두었을 것이며, 형식이 안정되지 못하고 상투적인 문구의 연결 정도로 나타난다.(358쪽)
황진이(黃眞伊)이계랑(李桂娘)홍랑(洪娘) : 사대부 시조의 품격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애정을 다루며 이별을 노래하는 방향에서 각기 다른 작품 세계를 이룩하여 서정시에서 가능한 영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 황진이 : 송도의 명기로 시조 창작의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359쪽)
- 이계랑: 전라도 부안 기생으로 매창(梅窓)이라고도 함.(360쪽)
- 홍랑 : 함경도 경성 기생으로 최경창이 서울로 돌아가게 되어 이별할 때 지은 노래가 전한다.(360쪽)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4.0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