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거한다.
특히 경동맥이 천자부위였다면 호흡양상 또는 지남력의 변화를 보기 위해 침상 안정을 하 는 동안 1시간마다 4번, 다음 24시간 동안은 4시간마다 신경학적 검사와 활력징후를 계 속 관찰한다.
머리를 약간 높이고 시각, 안면, 언어의 변화 등 일시적 허혈성 발작의 징후가 있는지를 유심히 관찰하여 이에 따를 적절한 조처를 해야 한다.
◐ 대퇴동맥 경유 뇌혈관 조영술의 과정과 환자간호
절 차
이론적 근거/논의
1. 환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검사중의 적절한 체위 유지와 부동, 머리 고정, 조영제 주입시에 머리에 강한 압박 함이 동반되고, 불꽃이 번쩍 하는 느낌이 있음을 설명한다.
2. 카테터 삽입부위(서혜부)를 면도한다.
3. 족배맥박을 확인하고 잉크나 매직으로 표 시하여 둔다.
4. 검사 전 6~8시간 동안 금식한다.
정맥 주입로를 마들어 수액을 주입한다.
5. 처방된 진정제를 투여한다.
6. 환자에게 배뇨하도록 한다.
필요시 유치 도뇨관을 삽입한다.
7. 콘택트 렌즈, 안경, 머리핀, 귀걸이 등 기 타 장식물을 제거한다.
8. 의무기록, 방사선 필름, 검사용지와 함께 환자를 검사실로 보낸다.
9. 검사과정
⑴ 환자를 X선 촬영 테이블에 눕힌다.
⑵ 환자에게 검사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협조를 당부한다. 그 외에 머리의 어떤 특정 부위가 아프거나 다리가 아프면 즉시 알리도록 한다.
⑶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⑷ 천자부위(서혜부)를 소독한 후 소독방포 로 덮고 천자할 부위만 노출시킨다.
⑸ 2% 리도카인으로 천자부위를 국소마취 한 후 천자부위를 0.5~0.7cm 정도 피부 절개 한다.
⑹ 대퇴동맥으로 seldinger needle을 삽입한
후 와이어를 빼고 sheath내로 헤파린 용 액(5.000unit/500cc)을 10cc정도 주사한다.
⑺ Sheath가 대퇴동맥에 들어갔음이 확인되 면 sheath 안으로 긴 와이어를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하고 위치를 확인한 후 카 테터 내로 와이어가 들어가도록 카테터 를 삽입한다.
⑻ 원하는 위치에서 카테터가 이동되면 환 자의 체위를 고정시키고 작동시켜 조영 제가 주입되게 한다. AOT programer를 사용하여 다양한 속도로 촬영한다.
주로 사용하는 부위와 조영제의 양은 다 음과 같다.
① common carotid artery: 13cc
② int. carotid artery: 9cc
③ ext. carotid artery: 6cc
④ vertebral artery: 6~7cc
⑼ 촬영이 모두 끝나면 카테터를 제거하고 needle의 약간 위쪽을 강하게 누르면서 sheath를 제거한다. 5~10분 동안 강하게 지압한다. 지혈이 되면 거즈를 덮고 모 래 주머니를 올려놓는다.
⑽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검사 전과 비교한 후 환자상태가 안정되면 병실로 보낸다.
10. 환자가 돌아오면 검사한 쪽 다리를 똑바 로 펴도록 하며 천자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리고 8시간 동안 절대 안정시킨다.
11. 활력증상은 15분마다 4회, 안정될 때까지 1시간마다, 그 이후는 6시간마다 측정한다. 족배맥박은 반드시 측정한다.
12. 말단부위의 색, 온도변화와 천자부위의 출혈, 혈종이 있는지 자주 관찰한다.
13. 환자의 의식이 정상이면 즉시 음식섭취와 경구약을 투여하고 30~60분마다 수액섭취 를 권장한다.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 하게 측정하여 신장기능을 평가한다.
14. 검사시간, 환자상태 및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검사 후에 말초순환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검사 전, 중, 후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응급처치, 응급수술 등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조영제는 신장에서 배설되어 탈수 환자는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검사 전과 후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여야 한다.
검사도중 방광팽창을 예방하고 검사 후 침 상안정기간 동안 배뇨를 용이하게 하기 위 함이다.
seldinger needle의 삽입을 위함이다.
천자부위의 출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색전이나 혈종형성 여부를 사정하기 위함 이다.
조영제의 배설이 용이하게 하고 급성신부 전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 비정상 검사결과, 합병증, 경고
검사 결과가 나오면 대상자에게 잘 설명한다. 의사가 준 정보를 보충해 주거나 적절한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 동맥경화성 혈전이 카테터 조작에 의해 색전증을 초래한 경우
활력징후의 변화나 신경학적 손상 징후를 기록하고 보고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응급 혈관 중재술을 준비한다.
특히 경동맥이 천자부위였다면 호흡양상 또는 지남력의 변화를 보기 위해 침상 안정을 하 는 동안 1시간마다 4번, 다음 24시간 동안은 4시간마다 신경학적 검사와 활력징후를 계 속 관찰한다.
머리를 약간 높이고 시각, 안면, 언어의 변화 등 일시적 허혈성 발작의 징후가 있는지를 유심히 관찰하여 이에 따를 적절한 조처를 해야 한다.
◐ 대퇴동맥 경유 뇌혈관 조영술의 과정과 환자간호
절 차
이론적 근거/논의
1. 환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검사중의 적절한 체위 유지와 부동, 머리 고정, 조영제 주입시에 머리에 강한 압박 함이 동반되고, 불꽃이 번쩍 하는 느낌이 있음을 설명한다.
2. 카테터 삽입부위(서혜부)를 면도한다.
3. 족배맥박을 확인하고 잉크나 매직으로 표 시하여 둔다.
4. 검사 전 6~8시간 동안 금식한다.
정맥 주입로를 마들어 수액을 주입한다.
5. 처방된 진정제를 투여한다.
6. 환자에게 배뇨하도록 한다.
필요시 유치 도뇨관을 삽입한다.
7. 콘택트 렌즈, 안경, 머리핀, 귀걸이 등 기 타 장식물을 제거한다.
8. 의무기록, 방사선 필름, 검사용지와 함께 환자를 검사실로 보낸다.
9. 검사과정
⑴ 환자를 X선 촬영 테이블에 눕힌다.
⑵ 환자에게 검사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협조를 당부한다. 그 외에 머리의 어떤 특정 부위가 아프거나 다리가 아프면 즉시 알리도록 한다.
⑶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⑷ 천자부위(서혜부)를 소독한 후 소독방포 로 덮고 천자할 부위만 노출시킨다.
⑸ 2% 리도카인으로 천자부위를 국소마취 한 후 천자부위를 0.5~0.7cm 정도 피부 절개 한다.
⑹ 대퇴동맥으로 seldinger needle을 삽입한
후 와이어를 빼고 sheath내로 헤파린 용 액(5.000unit/500cc)을 10cc정도 주사한다.
⑺ Sheath가 대퇴동맥에 들어갔음이 확인되 면 sheath 안으로 긴 와이어를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하고 위치를 확인한 후 카 테터 내로 와이어가 들어가도록 카테터 를 삽입한다.
⑻ 원하는 위치에서 카테터가 이동되면 환 자의 체위를 고정시키고 작동시켜 조영 제가 주입되게 한다. AOT programer를 사용하여 다양한 속도로 촬영한다.
주로 사용하는 부위와 조영제의 양은 다 음과 같다.
① common carotid artery: 13cc
② int. carotid artery: 9cc
③ ext. carotid artery: 6cc
④ vertebral artery: 6~7cc
⑼ 촬영이 모두 끝나면 카테터를 제거하고 needle의 약간 위쪽을 강하게 누르면서 sheath를 제거한다. 5~10분 동안 강하게 지압한다. 지혈이 되면 거즈를 덮고 모 래 주머니를 올려놓는다.
⑽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검사 전과 비교한 후 환자상태가 안정되면 병실로 보낸다.
10. 환자가 돌아오면 검사한 쪽 다리를 똑바 로 펴도록 하며 천자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리고 8시간 동안 절대 안정시킨다.
11. 활력증상은 15분마다 4회, 안정될 때까지 1시간마다, 그 이후는 6시간마다 측정한다. 족배맥박은 반드시 측정한다.
12. 말단부위의 색, 온도변화와 천자부위의 출혈, 혈종이 있는지 자주 관찰한다.
13. 환자의 의식이 정상이면 즉시 음식섭취와 경구약을 투여하고 30~60분마다 수액섭취 를 권장한다.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 하게 측정하여 신장기능을 평가한다.
14. 검사시간, 환자상태 및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검사 후에 말초순환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검사 전, 중, 후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응급처치, 응급수술 등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조영제는 신장에서 배설되어 탈수 환자는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검사 전과 후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여야 한다.
검사도중 방광팽창을 예방하고 검사 후 침 상안정기간 동안 배뇨를 용이하게 하기 위 함이다.
seldinger needle의 삽입을 위함이다.
천자부위의 출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색전이나 혈종형성 여부를 사정하기 위함 이다.
조영제의 배설이 용이하게 하고 급성신부 전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 비정상 검사결과, 합병증, 경고
검사 결과가 나오면 대상자에게 잘 설명한다. 의사가 준 정보를 보충해 주거나 적절한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 동맥경화성 혈전이 카테터 조작에 의해 색전증을 초래한 경우
활력징후의 변화나 신경학적 손상 징후를 기록하고 보고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응급 혈관 중재술을 준비한다.
추천자료
암의 면역치료
성인간호학 case (대동맥판협착증)
CVA[뇌졸증]환자 자료 수집과 분석 간호진단
응급실 케이스
북대 63병동 뇌줄중 케이스
뇌종양 레포트
자궁근종 간호사례연구 (케이스 스터디)
림프의 구성과 기능
[성인간호학][Osteomyelitis][골수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육종][Sarcoma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심근경색증
case study 골종양(Bone tumor)
두부손상 Head injury (두부손상 정의, 두부손상 국소손상, 두부손상 손상에 따른 병태생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