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초상화에 대한 자료 활용 계획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초상화에 대한 자료 활용 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원 설정이유

2. 성취기준

3. 평가기준

4. 학습 지도 계획

5. 자료 활용 계획

6. 우리나라의 초상화 참고작품

본문내용

시각(韓時覺), 변상벽(卞相壁), 이명기(李命基), 김홍도(金弘道), 이재관(李在寬),
채용신(蔡龍臣)
5). 초상화의 사실성을 중시하던 성격을 알 수 있는 문헌
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卷19
“人寫父母之眞 一毫一髮不似 非父母矣”- 사람이 부모의 초상화를 그림에 있어서 털오라기 하나라도 닮지 않으면 부모가 아니라는 뜻
② 傳神寫照- 인간은 외모와 함께 내면세계를 지니고 있는데 피사 인물의 외모를 사실적으 로 그려야 할 뿐만 아니라 내면의 정신적 측면도 표출해야 한다.
6). 슬라이드 목차- 대표적인 초상화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1. 안 향 (1243~1306)
조선초기 2. 이태조 (1335~1406)
3. 황 희 (1363~1452)
4. 신숙주 (1417~1475)
조선중기 5. 장말손 (1431~1486)
6. 허 목 (1595~1682)
7. 이항복 (1556~1618)
조선후기 8. 이 재 (1668~1715)
9. 윤두서 (1668~1715)
10. 강세황 (1713~1791)
조선말기 11. 강이오 (1788~ ? )
12. 최익현 (1833~1906)
13. 황 현 (1855~1910)
7). 초상화 제작 기법의 특징
강세황 자화상
y

키워드

초상화,   단원,   성취,   학습,   지도,   지도안,   참고,   작품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4.13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