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아르누보의 발생시점 및 배경
3. 아르누보의 개념
4. 아르누보 특성 및 사용범주
5. 현대의 아르누보
6. 복식에 미친 영향
7. 마무리
2. 아르누보의 발생시점 및 배경
3. 아르누보의 개념
4. 아르누보 특성 및 사용범주
5. 현대의 아르누보
6. 복식에 미친 영향
7. 마무리
본문내용
통해 주체인 인물의 순수한 미를 표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게 되었다. 즉 상의의 hem line의 자수와 belt 외에는 이체의 장식을 하지 않아 단순함가운데 강조라는 효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장식의 단순화 경향에서 20세기초 의상의 현대적 성격을 찾아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물문양 및 장신구 디자인의 변화이다. 먼저 직물에서는 Art Nouveau 양식과 복식과의 가장 큰 공감은 직물 및 장신구의 문양에서 찾을 수 있고 가장 먼저 나타났다. Art Nouveau양식은 직물자체의 도안뿐만 아니라 색깔, 양어깨, 앞 뒤의 동체, 소매, 스커트 등의 자수에 주로 응용되었다. 이러한 자수는 거의 모든 여자나 여아의복에서 발견되어 Art Nouveau 양식이 의상에 미친 영향의 정도를 알 수 있게 한다. 장신구는 미적감각이 예민한 여성들의 장신구에 Art Nouveau풍의 문양이 새겨지게 되었다. 머리핀이나 빗, 목걸이, 브로치 등 금속을 사용한 것과 손수건 등 헝겊에 자수를 놓은 것이 있다 그 모양은 Art Nouveau의 특징인 조그만 곤충이나 새, 꽃 등의 주위의 자연물을 소재로 하여 유기적 구성을 한 것이다. 종래의 거대한 스타일이 이와 같이 조촐하고 친근한 느낌으로 변하여 상류층 및 일반 서민들의 복식 및 장신구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7. 마무리
어느 시대건 그시대의 예술양식은 그 시대적 문화를 구석구석 반영한다. 신의 영역이라 생각했던 중세시대에서, 부활의 시대인 르네상스를 지나 산업혁명을 전환점으로 일어났던 아르누보와 기능주의, 입체주의를 지나 70년대 유행했던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어느곳으로 튈지 모르는 현재의 21세기까지.
예술과 복식의 흐름은 그 나라와 민족의 시대적 환경요인과 민족특성으로 형성되었던 각시대의 생활양식의 내용을 들여다 볼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보아온 아르누보 예술양식은 예술의 모든 영역이 더 이상 상인들의 영역이 아닌 예술가의 영역으로 자리매김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아르누보는 19세기 급변하는 대량생산속에서 인간에게 질적인 면을 가르쳐주었다. 또한 경제적 박탈감과 생활의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서민들에게는 옷으로나마 생동감을 느끼게끔 해주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19세기에 나타난 아르누보 양식은 필연적이 아닌가 한다. 수공업에서 기계공업으로 발전해가면서 자연이 파괴되고, 인간의 양심이 엷게 사라지는 사회에 이러한 자연물의 양식은 어쩌면 필연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르누보는 그 대상 자체가 자연물이기 때문에 19세기 공업화의 발달속에서 인간에게 늘 입는 옷으로 자연을 대신하기도 하였고, 모든 도구에 응용되기도 하였다. 즉 그 시대적 환경적인 요인과 일탈적인 요인이 거꾸로 자연을 가까이 하게끔 한건 아닐까..
요즘 웰빙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그동안 자연을 너무 소모적으로 사용한 인간에게 웰빙의 바람은 자연의 채찍질이라 생각한다.
그 웰빙의 바람을 타고 다시금 아르누보가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연속에 있다는 진리와 함께..
마지막으로 직물문양 및 장신구 디자인의 변화이다. 먼저 직물에서는 Art Nouveau 양식과 복식과의 가장 큰 공감은 직물 및 장신구의 문양에서 찾을 수 있고 가장 먼저 나타났다. Art Nouveau양식은 직물자체의 도안뿐만 아니라 색깔, 양어깨, 앞 뒤의 동체, 소매, 스커트 등의 자수에 주로 응용되었다. 이러한 자수는 거의 모든 여자나 여아의복에서 발견되어 Art Nouveau 양식이 의상에 미친 영향의 정도를 알 수 있게 한다. 장신구는 미적감각이 예민한 여성들의 장신구에 Art Nouveau풍의 문양이 새겨지게 되었다. 머리핀이나 빗, 목걸이, 브로치 등 금속을 사용한 것과 손수건 등 헝겊에 자수를 놓은 것이 있다 그 모양은 Art Nouveau의 특징인 조그만 곤충이나 새, 꽃 등의 주위의 자연물을 소재로 하여 유기적 구성을 한 것이다. 종래의 거대한 스타일이 이와 같이 조촐하고 친근한 느낌으로 변하여 상류층 및 일반 서민들의 복식 및 장신구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7. 마무리
어느 시대건 그시대의 예술양식은 그 시대적 문화를 구석구석 반영한다. 신의 영역이라 생각했던 중세시대에서, 부활의 시대인 르네상스를 지나 산업혁명을 전환점으로 일어났던 아르누보와 기능주의, 입체주의를 지나 70년대 유행했던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어느곳으로 튈지 모르는 현재의 21세기까지.
예술과 복식의 흐름은 그 나라와 민족의 시대적 환경요인과 민족특성으로 형성되었던 각시대의 생활양식의 내용을 들여다 볼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보아온 아르누보 예술양식은 예술의 모든 영역이 더 이상 상인들의 영역이 아닌 예술가의 영역으로 자리매김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아르누보는 19세기 급변하는 대량생산속에서 인간에게 질적인 면을 가르쳐주었다. 또한 경제적 박탈감과 생활의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서민들에게는 옷으로나마 생동감을 느끼게끔 해주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19세기에 나타난 아르누보 양식은 필연적이 아닌가 한다. 수공업에서 기계공업으로 발전해가면서 자연이 파괴되고, 인간의 양심이 엷게 사라지는 사회에 이러한 자연물의 양식은 어쩌면 필연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르누보는 그 대상 자체가 자연물이기 때문에 19세기 공업화의 발달속에서 인간에게 늘 입는 옷으로 자연을 대신하기도 하였고, 모든 도구에 응용되기도 하였다. 즉 그 시대적 환경적인 요인과 일탈적인 요인이 거꾸로 자연을 가까이 하게끔 한건 아닐까..
요즘 웰빙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그동안 자연을 너무 소모적으로 사용한 인간에게 웰빙의 바람은 자연의 채찍질이라 생각한다.
그 웰빙의 바람을 타고 다시금 아르누보가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연속에 있다는 진리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