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적 문제들
2. 신학적 의도
2. 신학적 의도
본문내용
상황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는다. 이 말은 야위스트가 다윗-솔로몬 시대의 정치적 현실 자체와 일치되지 않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한 미래를 약속한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다른 문서 자료들처럼 아주 신중하게 종말론적인 진술을 하고 있다.
(4) 야위스트 자신의 의도는 출애굽기 5-14장의 커다란 기승전결을 서술하는 곳에서 한 번 더 나타난다. 주제는 야웨에게 도전하는 바로의 질문에 의해 도입된다. 바로의 질문 다음에 이어지는 사건들은 야웨가 참된 하나님임을 바로가 ‘알 수 있도록’ 강요한다(7:17; 8:10,22; 참조 10:3등). 바로가 죄를 고백하고(9:27; 10:16) 모세에게 야웨께 중보기도 해 줄 것을 간청함으로써(8:8,28; 9:28; 10:17; 12:32)야웨를 승인한다. 파멸 가운데서 그는 야웨의 우위(14:25)를 알아차리고 경험해야 했다.
야위스트는 또한 다른 전승자료와 함께 인간을 구원하시고, 인간의 삶에 개입하셔서 홀로 그리고 스스로 역사하시는 야웨의 초월성을 강조한다. 원역사에서 야위스트는 인간의 운명을 인간의 상반된 모습 속에서, 즉 은혜와 심판 가운데서 힘과 무기력을 포함한 번성과 쇠퇴로써 서술하고 있다.
(4) 야위스트 자신의 의도는 출애굽기 5-14장의 커다란 기승전결을 서술하는 곳에서 한 번 더 나타난다. 주제는 야웨에게 도전하는 바로의 질문에 의해 도입된다. 바로의 질문 다음에 이어지는 사건들은 야웨가 참된 하나님임을 바로가 ‘알 수 있도록’ 강요한다(7:17; 8:10,22; 참조 10:3등). 바로가 죄를 고백하고(9:27; 10:16) 모세에게 야웨께 중보기도 해 줄 것을 간청함으로써(8:8,28; 9:28; 10:17; 12:32)야웨를 승인한다. 파멸 가운데서 그는 야웨의 우위(14:25)를 알아차리고 경험해야 했다.
야위스트는 또한 다른 전승자료와 함께 인간을 구원하시고, 인간의 삶에 개입하셔서 홀로 그리고 스스로 역사하시는 야웨의 초월성을 강조한다. 원역사에서 야위스트는 인간의 운명을 인간의 상반된 모습 속에서, 즉 은혜와 심판 가운데서 힘과 무기력을 포함한 번성과 쇠퇴로써 서술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