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배설장애
Ⅱ. 유뇨증과 유분증
Ⅲ. 요약 및 결론
* 배변지도를 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
Ⅱ. 유뇨증과 유분증
Ⅲ. 요약 및 결론
* 배변지도를 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
본문내용
전, 상황에 따라서 악화와 호전이 되풀이되기도 하지만, 만성적으로 이행되는 경우는 드문 편으로 중기 청소년 이후까지 지속되는 경우는 아주 드뭄. 원인으로 가족문제가 심각한 경우 모자관계에 이상이 잇는 경우에는 예후가 아주 나쁨.
Ⅲ. 요약 및 결론
보통 18-24개월경 방광과 괄약근이 조절될 때 배변지도가 가능.
대소변을 조절하는 능력에는 개인차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남아보다는 여아가 배변 습관이 빠르게 형성, 괄약근의 성숙에 따라서도 배변지도 시기가 달라짐.
배변 지도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양육자의 태도와 양육방식. 배변 지도 시 양육자가 취하는 태도나 방식에 따라서 영아의 대소변 가리기는 효과적일 수도, 비효과적일 수도 있음. 또한 배변 지도 시 양육자가 보이는 태도와 방식은 영아의 자아 발달 및 자아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여유를 가지고 아이의 입장을 배려하면서 아이의 속도에 맞혀 배변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
* 배변지도를 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
①기저귀를 차고 있을 때부터 배변지도를 시작.
예를 들어 기저귀를 갈아줄 때마다 "쉬- "와 같은 말을 반복하여 배변과 연결하도록 함.
②배변지도에서는 영아가 용변 배출의 욕구를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소 변을 적정 시간 동안 참고 올바른 방법으로 용변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일러주어야 함.
③영아가 변기에 앉으면 간단한 이야기나 동요를 부르며 즐거운 마음으로 용변 보도록 함. 영아의 곁에 있다가 용변을 보고 난 후에는 칭찬을 해주며 용변 본 것을 보여줌.
④변기에 앉은 후 5분 정도가 지나도 용변을 보지 않으면 변기에서 내리게 함.
용변을 보지 못 하는 경우 수돗물을 틀어 물이 나오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변기에 앉아 있는 동안 음료수를 마시게 하면 소변보기를 자극할 수 있음.
⑤영아가 변기에 앉는 것에 대해 거부 반응을 보이면 며칠 중지했다가 다시 시작하도록 하 고 꾸짖거나 벌을 주는 일은 삼가.
⑥배변지도는 영아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방법이어야 하고 동시에 흥미로워야함.
인형을 사용하여 영아에게 대소변 가리는 방법을 가르쳐 보는 기회를 주거나 영아가 변 기에 충분히 앉아 있도록 작은 장난감을 줄 수도 있다.
⑦엄격한 훈련과 심리적인 부담감은 좌절과 반항심을 일으킬 뿐 아니라 영아의 자아 개념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영아가 자연스럽게 배변을 조절할 수 있도록 부모는 인내심을 가지고 서서히 지도해야 함.
Ⅲ. 요약 및 결론
보통 18-24개월경 방광과 괄약근이 조절될 때 배변지도가 가능.
대소변을 조절하는 능력에는 개인차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남아보다는 여아가 배변 습관이 빠르게 형성, 괄약근의 성숙에 따라서도 배변지도 시기가 달라짐.
배변 지도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양육자의 태도와 양육방식. 배변 지도 시 양육자가 취하는 태도나 방식에 따라서 영아의 대소변 가리기는 효과적일 수도, 비효과적일 수도 있음. 또한 배변 지도 시 양육자가 보이는 태도와 방식은 영아의 자아 발달 및 자아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여유를 가지고 아이의 입장을 배려하면서 아이의 속도에 맞혀 배변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
* 배변지도를 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
①기저귀를 차고 있을 때부터 배변지도를 시작.
예를 들어 기저귀를 갈아줄 때마다 "쉬- "와 같은 말을 반복하여 배변과 연결하도록 함.
②배변지도에서는 영아가 용변 배출의 욕구를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소 변을 적정 시간 동안 참고 올바른 방법으로 용변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일러주어야 함.
③영아가 변기에 앉으면 간단한 이야기나 동요를 부르며 즐거운 마음으로 용변 보도록 함. 영아의 곁에 있다가 용변을 보고 난 후에는 칭찬을 해주며 용변 본 것을 보여줌.
④변기에 앉은 후 5분 정도가 지나도 용변을 보지 않으면 변기에서 내리게 함.
용변을 보지 못 하는 경우 수돗물을 틀어 물이 나오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변기에 앉아 있는 동안 음료수를 마시게 하면 소변보기를 자극할 수 있음.
⑤영아가 변기에 앉는 것에 대해 거부 반응을 보이면 며칠 중지했다가 다시 시작하도록 하 고 꾸짖거나 벌을 주는 일은 삼가.
⑥배변지도는 영아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방법이어야 하고 동시에 흥미로워야함.
인형을 사용하여 영아에게 대소변 가리는 방법을 가르쳐 보는 기회를 주거나 영아가 변 기에 충분히 앉아 있도록 작은 장난감을 줄 수도 있다.
⑦엄격한 훈련과 심리적인 부담감은 좌절과 반항심을 일으킬 뿐 아니라 영아의 자아 개념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영아가 자연스럽게 배변을 조절할 수 있도록 부모는 인내심을 가지고 서서히 지도해야 함.
추천자료
[간호]욕창관리
욕창에 대한 이해
간성혼수 case study
신부전(CRF) 병태생리, 치료 및 투석환자 간호
내과(MED) CASE -만성신부전(CRF)
성인간호와 아동간호
신부전 case
석고붕대 및 견인장치 아동간호
노인병원 conference
성인간호와 아동간호
[정신건강론] 영유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는 인간발달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의 문...
내과중환자실 케이스 - 만성신부전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
crf (chronic renal failure)
CRF(제출용)만성 신부전증-CRF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