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오메트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시오메트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시오메트리의 개념

2. 소시오메트리의 특징

3. 소시오메트리목적

4. 소시오메트리의 기본가정 및 원리

5. 소시오메트리의 종류

6. 소시오메트리의 절차

7. 소시오메트리에 대한 논의

본문내용

못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든지, 응답자 개개인에게 고유번호를 주어 그 번호를 기입하도록 할 수 있다.
4) 결과 분석
오늘날 다양한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조사자료를 분석하기도 하지만 주로 소시오메트릭스(socio-matrix)나 소시오그램(sociogram)에 의해 분석한다.
(1) 소시오메트릭스(socio-matrix)
소시오메트릭스는 소시오메트리행렬표라고도 한다. 행렬표란 여러 가지 기호의 장방형 배열로서 소시오메트릭스는 집단 구성원의 수를 나타내는 n을 제곱한 n×n으로 만들어지고 행(row)은 i로 그리고 열(column)은 j로 명명된다.
만약 집단의 한 구성원이 집단의 다른 구성원을 선택한다면 소시오메트릭스에 1로 기록되고 선택하지 않는다면 0으로 기록된다. 다섯명으로 구성된 집단에서 두 명을 선택하라고 요구한 경우의 가상적 소시오메트릭스를 그리면 다음의 표와 같다.
소시오메트릭스 분석은 누가 누구를 선택하였는가를 알아보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표>소시오메트릭스

j
a b c d e
a 0 1 0 0 1
b 1 0 0 0 1
c 0 0 0 1 1
d 0 1 0 0 1
e 1 1 0 0 0
∑: 2 3 0 1 4
(2) 소시오그램(sociogram)
소시오그램은 Moreno가 처음으로 소시오그램이라 하여 사용한 방법으로, 소시오메트릭스에 비해 쉽게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방향 그래프라고도 불리우는 소시오그램은 집단 구성원들 사이의 선택과 배척을 나타내는 도형으로 집단 구성원을 표시한 기하학적 도형과 이 도형을 연결하는 여러 종류의 선으로 구성된다.
<소시오그램>
소시오그램에서 한 개인이 선택되는 수를 소시오메트리 지위(sociometric status)', '사회적 지위(group status)'라고 부른다.
앞에서 설명한 소시오메트리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더욱 보충하여 조사하였다.
스타(star): 우연 이상으로 많이 선택되는 사람
고립자(isolate): 전혀 선택되지 못하는 사람, 고립자는 명신, 상균과 같이 원이나 삼각형 의 형태가 점선으로 그려진다.
무시당하는 사람(neglectee): 대부분의 집단 구성원들에 의해 선택되지 못하는 사람
거부당하는 사람(rejectee): 가장 싫어하는 사람으로 지적된 사람(그러나 부정적 선택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상호 선택(mutual choice): 두 사람이 동일한 사회성 측정 범주에서 서로를 선택할 때를 의미한다.
소시오메트리 도당(sociometric clique) : 동일한 사회성 측정범주에서 서로를 선택한 소 집단의 사람들. 그들은 그들의 소집단 외의 다른 구성원들을 거의 선택하지 않는다.
소시오메트리 분열(sociometric cleavage) :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하위 집단들 사이에서 선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예: 초등학교 수준에서 소년들을 소녀를 선택하지 않고 소녀들은 소년을 선택하지 않는다.)
5) 소시오메트리를 이용하여 측정 가능한 사항
(1) 개인의 지위
소시오메트리는 개개의 성원들이 그 집단에서 어떤 지위를 차지하는가를 파악하게 해준다.
① 선택 당하는 관계에서의 개인 i의 지위(index of choice status) : 피선택지수
Ci는 개인 i를 호의적으로 선택한 사람의 수
CSi=Ci/N-1 N은 집단구성원의 수
따라서 N-1은 본인을 제외한 집단구성원 수임
② 배척 당하는 관계에서의 개인 i의 지위(index of rejection status) : 피배척지수
RSi=Ri/N-1 Ri는 개인 i를 배척한 사람의 수
③ 개인 i의 지위(index of choice-rejection status)
CSi-RSi 피선택지수에서 피배척지수를 뺀 수
④ 개인 i의 외향성(index of positive expansiveness)
PEi=Ei/N-1 Ei는 개인 i가 호의적으로 선택한 사람의 수
(2) 전체집단의 특성
① 집단의 확장성(index of group expansiveness)
GE=C/N C는 선택의 총수, N은 집단구성원 수
따라서 GE는 개인 당 평균 선택 당한 수를 의미한다.
② 긴밀도(index of group coherence)
GC=상호선택의 총수/일방적선택의 총수
③ 결합도(index of group integration)
GI=1/I I는 고립자 수
따라서 집단의 결합도는 고립자의 수에 반비례한다.
(3) 집단구조 분석
대부분의 소시메트리는 집단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학교에서 실용적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며 인기자, 권력자, 고립자, 짝, 삼각관계 및 연쇄관계 등 도당, 의사소통의 통로, 집단결속력 등을 파악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7. 소시오메트리에 대한 논의
소시오메트리를 이용할 때에는 집단의 형성시기?연령수준?집단의 크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활동을 통하여 반응을 측정해야 하며 무엇보다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적합한 집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시오메트리는 제작과 시행이 단순하기 때문에 측정결과를 잘못 해석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소시오메트리를 사용하는 사람의 이해와 숙달정도가 가장 중요한 관건이 된다.
소시오메트리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모든 집단성원들이 선택상황이나 활동에 친숙해야 한다.
둘째, 모든 집단성원들이 자유롭게 참여해야 한다.
셋째, 사회성 측정 질문이 학생들의 연령수준과 집단의 성질에 맞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선택하는데 있어 제한을 주어서는 안 된다.
다섯째, 집단성원들은 검사시행 전 서로 친숙해질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가져야 한다.
여섯째, 각 집단성원들이 선택한 내용의 비밀이 철저히 보장되어야 한다.
박도순(1995)
※참고문헌
● 김병성 (1996). 교육연구방법. 학지사.
● 김석우 (1998). 교육연구법. 학지사.
● 김종서 (1995). 교육연구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박도순 (1995). 교육연구방법론. 문음사.
● 장휘숙 (2002). 아동연구방법. 창지사.
● 채구묵 (2003).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4.1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