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안식일의 근원
Ⅲ. 계명들
Ⅳ. 나가는 말
Ⅱ. 안식일의 근원
Ⅲ. 계명들
Ⅳ. 나가는 말
본문내용
는데 그에 관한 규칙들은 많기 때문이다.
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아주 다른 그림을 그려 준다.
Ⅳ. 나가는 말
안식일이라는 주제가 광범위 하고 포괄적인 문제임에 틀림없는데 짧은 기간의 연구로 인해 구약의 다른 부분과 신약을 다루지 못한 점, 그리고 구성과 편집에 있어서 완성도가 떨어짐에 아쉬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도 학부에서 신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우들에게 방향과 초점을 맞추지 못해서 죄송스런 마음이다.
그럼 지금까지 논의한 바로부터 몇 가지 결론들을 제시하며 보고서를 마치고자 한다.
안식일의 근원 연구 결과 일곱째 날 하나님의 안식은 모든 피조물에게 영향을 미치게 될 리듬을 만들어 내었고 따라서 그의 안식은 안식일의 근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일곱째 날 하나님의 안식의 의미와 범위는 안식일 제도에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창세기 2:1-3에서의 (‘끝내다’, ‘쉬다’)의 의미와 일곱째 날에 대한 기술의 문학적 틀의 독특성에 근거해서, 필자는 일곱째 날이 종말론적 측면을 갖는다고 조심스럽게 제안하였다. 일곱째 날은 또한 ‘복되고’ ‘거룩한’ 날로 특징지어진다. 우리는 일곱째 날의 이러한 특징들이 안식일에 반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러면서도 일곱째 날의 그 축복과 성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안식일의 범위를 넘어서 있음도 주목하였다.
모세오경에 나타난 안식일 계명들에 대한 연구는 그 계명들의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드러내 보여준다.
① 대부분의 계명들은 안식일의 거룩성을 전제하며, 때로는 그 날이 거룩하게 지켜져야 할 것을 명시적으로 명령하기도 한다(특히 출 20:8-11; 31:12-17; 신 5:12-15).
② 대부분의 계명들은 안식일에 대한 하나님의 소유권도 전제하며, 때로는 명시적으로 ‘나 의 안식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참조. 특히 출 31:12-17; 레 19:3, 30; 26:2).
③ 대부분의 계명들은 엿새 동안 하나님의 창조와 일곱째 날 하나님의 안식 모형을 따르 며, 두 경우들에서는 창조 동기 구절이 명확하게 진술되고 있다(출 20:8-11; 31:12-17).
④ 한 곳에서는 (신 5:12-15) 출애굽 사건이 안식일에 대한 동인으로 사용되고 있다.
⑤ 한 곳에서는(출31:12-17) 안식일이 영원한 언약의 표라고 묘사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킴으로써 모든 세대를 통하여 하나님과 그들 사이의 영원한 언약 관계를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이 언약 관계로 말미암아 궁극적으로 거룩하게 될 것이다.
⑥ 비록 몇몇 구절들은 인간애적 관심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지만(예. 출 23:12; 신 5:12-15), 모든 경우들에 있어서 그 주된 관심은 인간애적이거나 사회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신학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⑦ 대부분의 경우들에 있어서 안식일의 거룩성과 그 날에 대한 하나님의 소유권은 이스라 엘 백성의 안식일 안식 가운데서 표현된다. 하지만 세곳에서는(레23:3; 24:5-9; 민 28:9-10) 그와는 좀 다른 형태의 표현이 발견된다. 즉, 축제적인 회합으로 함께 모여 서, 온 세상을 창조하셨고 자신들을 이집트로부터 구출해 내셨으며 언약의 표로서의 안 식일을 주신 주님께 감사와 믿음을 나타내기 위해 특별한 희생 제물을 드리는 예배 형 태의 표현인 것이다.
⑧ 마지막으로 세 구절들(출 16:22-30; 35:3; 민 15:32-36)은 ‘절대적 유형으로부터 결의 론적 유형으로 넘어가는 변천의 과정’을 증거 해 주는 형태의 규례들을 제공한다. 하지 만 이러한 경우들이 매우 드물게 밖에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지극히 세부적인 결의 론적 규례들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후대의 경향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아주 다른 그림을 제안해 준다.
참 고 문 헌
양용의, 예수와 안식일 그리고 주일, (서울: 이레서원, 2000).
한정배, 안식일에서 주의 날까지, (서울: 도서출판 선교, 1992)
Westermann, C., Genesis 1-11(trans. J.J. scullion; SPCK, 1984)
Andreasen, N.-E.A., The Old Testament Sabbath, (SBLDS, 7; Missoula: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Budd, P.J., Numbers(WBC, 5; Waco: Word Books, 1984).
Westermann, C., Genesis 1-11(trans. J.J. scullion; SPCK, 1984)
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아주 다른 그림을 그려 준다.
Ⅳ. 나가는 말
안식일이라는 주제가 광범위 하고 포괄적인 문제임에 틀림없는데 짧은 기간의 연구로 인해 구약의 다른 부분과 신약을 다루지 못한 점, 그리고 구성과 편집에 있어서 완성도가 떨어짐에 아쉬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도 학부에서 신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우들에게 방향과 초점을 맞추지 못해서 죄송스런 마음이다.
그럼 지금까지 논의한 바로부터 몇 가지 결론들을 제시하며 보고서를 마치고자 한다.
안식일의 근원 연구 결과 일곱째 날 하나님의 안식은 모든 피조물에게 영향을 미치게 될 리듬을 만들어 내었고 따라서 그의 안식은 안식일의 근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일곱째 날 하나님의 안식의 의미와 범위는 안식일 제도에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창세기 2:1-3에서의 (‘끝내다’, ‘쉬다’)의 의미와 일곱째 날에 대한 기술의 문학적 틀의 독특성에 근거해서, 필자는 일곱째 날이 종말론적 측면을 갖는다고 조심스럽게 제안하였다. 일곱째 날은 또한 ‘복되고’ ‘거룩한’ 날로 특징지어진다. 우리는 일곱째 날의 이러한 특징들이 안식일에 반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러면서도 일곱째 날의 그 축복과 성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안식일의 범위를 넘어서 있음도 주목하였다.
모세오경에 나타난 안식일 계명들에 대한 연구는 그 계명들의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드러내 보여준다.
① 대부분의 계명들은 안식일의 거룩성을 전제하며, 때로는 그 날이 거룩하게 지켜져야 할 것을 명시적으로 명령하기도 한다(특히 출 20:8-11; 31:12-17; 신 5:12-15).
② 대부분의 계명들은 안식일에 대한 하나님의 소유권도 전제하며, 때로는 명시적으로 ‘나 의 안식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참조. 특히 출 31:12-17; 레 19:3, 30; 26:2).
③ 대부분의 계명들은 엿새 동안 하나님의 창조와 일곱째 날 하나님의 안식 모형을 따르 며, 두 경우들에서는 창조 동기 구절이 명확하게 진술되고 있다(출 20:8-11; 31:12-17).
④ 한 곳에서는 (신 5:12-15) 출애굽 사건이 안식일에 대한 동인으로 사용되고 있다.
⑤ 한 곳에서는(출31:12-17) 안식일이 영원한 언약의 표라고 묘사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킴으로써 모든 세대를 통하여 하나님과 그들 사이의 영원한 언약 관계를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이 언약 관계로 말미암아 궁극적으로 거룩하게 될 것이다.
⑥ 비록 몇몇 구절들은 인간애적 관심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지만(예. 출 23:12; 신 5:12-15), 모든 경우들에 있어서 그 주된 관심은 인간애적이거나 사회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신학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⑦ 대부분의 경우들에 있어서 안식일의 거룩성과 그 날에 대한 하나님의 소유권은 이스라 엘 백성의 안식일 안식 가운데서 표현된다. 하지만 세곳에서는(레23:3; 24:5-9; 민 28:9-10) 그와는 좀 다른 형태의 표현이 발견된다. 즉, 축제적인 회합으로 함께 모여 서, 온 세상을 창조하셨고 자신들을 이집트로부터 구출해 내셨으며 언약의 표로서의 안 식일을 주신 주님께 감사와 믿음을 나타내기 위해 특별한 희생 제물을 드리는 예배 형 태의 표현인 것이다.
⑧ 마지막으로 세 구절들(출 16:22-30; 35:3; 민 15:32-36)은 ‘절대적 유형으로부터 결의 론적 유형으로 넘어가는 변천의 과정’을 증거 해 주는 형태의 규례들을 제공한다. 하지 만 이러한 경우들이 매우 드물게 밖에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지극히 세부적인 결의 론적 규례들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후대의 경향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아주 다른 그림을 제안해 준다.
참 고 문 헌
양용의, 예수와 안식일 그리고 주일, (서울: 이레서원, 2000).
한정배, 안식일에서 주의 날까지, (서울: 도서출판 선교, 1992)
Westermann, C., Genesis 1-11(trans. J.J. scullion; SPCK, 1984)
Andreasen, N.-E.A., The Old Testament Sabbath, (SBLDS, 7; Missoula: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Budd, P.J., Numbers(WBC, 5; Waco: Word Books, 1984).
Westermann, C., Genesis 1-11(trans. J.J. scullion; SPCK, 1984)
추천자료
현대신학의 위기와 그 근황
성경에 나타난 지도력 이해
찬양과 교회성장
종교계의 사회복지참여
하나님 나라와 교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십자군 운동의 배경과 영향
시크릿을 읽고 - 부를 쌓는 비밀과 영향, 그리고 대책
[마케팅]마케팅 분석을 통한 전반적인 속옷시장 조사(Yes, 이끌림 등)
[바울신학][교회론][의인론][율법][복음]바울신학의 교회론, 바울신학의 의인론, 바울신학의 ...
[구원론][구원론 소명][구원론 칭의][구원론 중생][구원론 성화][성도 견인][회심][믿음]구원...
최초의 성경 신학자 이레니우스
목회상담학 요점정리
[종교]중세 스콜라신학에 관한 소고
누가복음(LUKE) 해석 - 누가복음 전체의 신학을 개괄, 요약,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