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성격과 구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기본 성격
1.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2.국민교육의 보편성과 특수교육의 특수성을 연관 조정하는 교육과정
3. 특수아동의 다양한 교육배치 상황에 따른 열린 교육과정
4. 장애영역의 벽을 탈피한 비범주적 특수성(special needs)에 기초한 교육과정
5. 학습자의 선택권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6.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 자율성 확대
7.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질관리 체제의 강조
Ⅱ. 전체구조와 영역별 개정의 중점
1. 교육과정의 전체구조
2.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기본교육과정
3.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설정
4. 치료교육활동 교육과정
5. 직업교육과정
Ⅲ. 운영상의 주요쟁점
1. 교육개혁의 구현으로서 교육과정 운영
2.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자이자 교육과정 의식인으로서의 교사
3. 교육과정의 질적 운영체제 확립
◐ 참고문헌 ◑

본문내용

해양과학⑹ 가정과학⑹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기본성격을 규제하고있는 기본정신은 문민정부가 주도해 온 교육개혁안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교육개혁의 기본지표는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 에 대처하기 위해, 언제. 어디서. 누구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열린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교육개혁의 이념적 기반 위에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은 단위학교와 학급에서 `살아있는'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신자유주 의적 물결에 따라 우리 나라의 교육개혁이 위로부터 선언적 의미로 강조될 때, 밑으로부터 구현되는 개혁이 되기는 어렵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2.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자이자 교육과정 의식인으로서의 교사
모든 특수교육교사는 교육과정 운영의 일차적 담당자로서 역할과 책무가 주어져 있다 . 그러나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이 또 한차례의 정례적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형식 적 문서로 존재할 때, 이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질적 개혁을 위한 `장식품'에 불과한 것이 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나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와 애정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그 교육과정은 현장 교육활동을 개혁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따라 서 모든 특수교육 교사들은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대해 자기나름의 `교육과정 의 식인'이 되어야 하며, 그 의식은 자신의 모든 교육행위를 규제하는 기준으로서 철저화 되어야 한다.
3. 교육과정의 질적 운영체제 확립
이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질적 운영과 관리를 위해 종래의 결과 중심 평가체제보다 `과정중심'의 질적 교육과정 평가체제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개개 장애학생의 특수한 교육적 요구에 상응한 개별화된 열린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종래의 계량적인 상대 평가에서 질적인 준거지향평가 체제를 수행평가 중심으로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1. `학습자 중심의 열린 교육과정'이 특수교육의 개혁을 위해 갖는 교육적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토의해 보자.
2. 기본교육과정,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치료교육과정, 직업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주요과제를 각자의 관심영역 중심으로 토의해 보자.
3.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중요 쟁점을 자신이 수행해야 할 역할에 비추어 다
양하게 토의해 보자.
◐ 참고문헌 ◑
교육개혁위원회(1996). 신교육체제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제3차 대통령보고서(19 96. 2. 9).교육부(1998). 특수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1998-11호. 교육부.
김병하(1998).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운영방안".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 1998년도 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심포지움, 35-46.
Pugach, M.C., and Warger, C.L.(1996). Curriculum trends, special education, and reform.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Horner, R.H., Bellamy,G.T., & Colvin, G.T.(1984). Responding in the presence of nontrained stimuli: Implications of generalization error patter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9, 287-295.
Horner, R.H., Bellamy,G.T., & Colvin, G.T.(1984). Responding in the presence of nontrained stimuli: Implications of generalization error patter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9, 287-295.
Jacobs, H.H.(1991). The integrated curriculum. Instructor, 101(2), 22-23.
Jacobs, H.H., hannah, J., Manfredonia, W., Percivalle, J., & Gilbert, J.C.(1989). Descriptions of two existing interdisciplinary programs. In h. Jacobs(E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pp. 39-51).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Johnson, D.W., & Johnson, R.(1982).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instruction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student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8, 257-268.
Johnson, D.W., & Johnson, R.(1987). Learning together and alone : Cooperation., competition, and individualization.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Johnson, D.W., & Johnson, R., Holubec, E., & Roy, P.(1984). Circles of learning: Cooperation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Johnson, D.W., Johnson, R., & Maruyama, G.(1983). Interdependence and interpersonal attraction among heterogeneous and homogeneous individuals : A theoritical formulation and a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 247-252.
  • 가격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4.20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