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 론
2.본 론
4.결 론
2.본 론
4.결 론
본문내용
무 착해서 많은 사람들이 순희씨를 알게 되면 좋아할 거예요. 저 역시 지금 순희씨가 친구처럼 편하고 좋아요.
치료자 : 그럴까요? 잘 모르겠어요...
상담자 : 다시 공부를 하고 싶진 않나요?
치료자 : 아니요. 공부하고 싶은 생각은 없어요.
상담자 : 순희씨가 특별히 하고 싶은 일이나 직업이 있나요?
(잠시 침묵으로 일관하다가 조용히 말문을 열었다.)
내담자 : 종이가방 접고 만드는 거 같은 일 할만해요..
상담자 : 그래요....일이 쉽고 간단해서 순희씨 하는데 별로 어렵진 않을 거예요.
상담자: 그럼 열심히 재활훈련 받아서 빠른시일내에 순희씨가 직업을 갖기를 바래요..
저도 힘닿는데까지 도울께요..
순희씨 열심히 노력할거죠?
치료자 : 네.
상담자 : 그럼 다음주에 또 봐요.. 안녕...
- 결 론 -
내담자와 대화를 하는데 있어서 내담자에게 특별히 인지적인 지능이 낮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사회성 역시 원만하진 않았으나 훈련이 되고 익숙해지면 사람들과 충분히 어울릴 수도 있을 것 같다. 내담자는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을 가졌지만 가까이 오는 사람들에 대해서 거부반응을 보이진 않았다.
단지 자신의 질병의 영향으로 여러 사람들 앞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 같았다. 아무래도 자신의 콤플렉스 인 듯 하다.
그러나 소규모 사업장과 소규모 집단에서 자신의 질병을 이해할 수 있는 몇몇의 사람들과 익숙해지고 친해지는 기회만 있다면 작업을 하는 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을 듯 하다. 다른 사람을 귀찮게 하거나 해롭게 하거나 하는 성질의 질병이 아니며 내담자 역시 자신의 질병을 이해하는 집단에서 일하게 되면 휠씬 더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로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일하는 곳은 적응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내담자가 미비한 경도의 정신지체의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가 났을 때 자제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장의 사람들 모두가 내담자의 질병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순노동이라면 내담자는 거의 대부분의 일을 다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것과 사회성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전체적으로 성격이 우둔하고 느린편이기는 했지만 이런 찬찬한 면을 직업으로 살려도 괜찮을 듯 했다.
내담자는 아무 생각없이 살려하지 않고 일을 하고 싶어하는 그 자체가 직업을 찾는데 가장 큰 힘이 될 것이다.
치료자 : 그럴까요? 잘 모르겠어요...
상담자 : 다시 공부를 하고 싶진 않나요?
치료자 : 아니요. 공부하고 싶은 생각은 없어요.
상담자 : 순희씨가 특별히 하고 싶은 일이나 직업이 있나요?
(잠시 침묵으로 일관하다가 조용히 말문을 열었다.)
내담자 : 종이가방 접고 만드는 거 같은 일 할만해요..
상담자 : 그래요....일이 쉽고 간단해서 순희씨 하는데 별로 어렵진 않을 거예요.
상담자: 그럼 열심히 재활훈련 받아서 빠른시일내에 순희씨가 직업을 갖기를 바래요..
저도 힘닿는데까지 도울께요..
순희씨 열심히 노력할거죠?
치료자 : 네.
상담자 : 그럼 다음주에 또 봐요.. 안녕...
- 결 론 -
내담자와 대화를 하는데 있어서 내담자에게 특별히 인지적인 지능이 낮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사회성 역시 원만하진 않았으나 훈련이 되고 익숙해지면 사람들과 충분히 어울릴 수도 있을 것 같다. 내담자는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을 가졌지만 가까이 오는 사람들에 대해서 거부반응을 보이진 않았다.
단지 자신의 질병의 영향으로 여러 사람들 앞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 같았다. 아무래도 자신의 콤플렉스 인 듯 하다.
그러나 소규모 사업장과 소규모 집단에서 자신의 질병을 이해할 수 있는 몇몇의 사람들과 익숙해지고 친해지는 기회만 있다면 작업을 하는 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을 듯 하다. 다른 사람을 귀찮게 하거나 해롭게 하거나 하는 성질의 질병이 아니며 내담자 역시 자신의 질병을 이해하는 집단에서 일하게 되면 휠씬 더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로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일하는 곳은 적응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내담자가 미비한 경도의 정신지체의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가 났을 때 자제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장의 사람들 모두가 내담자의 질병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순노동이라면 내담자는 거의 대부분의 일을 다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것과 사회성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전체적으로 성격이 우둔하고 느린편이기는 했지만 이런 찬찬한 면을 직업으로 살려도 괜찮을 듯 했다.
내담자는 아무 생각없이 살려하지 않고 일을 하고 싶어하는 그 자체가 직업을 찾는데 가장 큰 힘이 될 것이다.
추천자료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및 프로그램
장애인 직업 재활 프로그램 분석
[직업재활]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의 개념, 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의 원칙, 직업재활서비스...
[직업재활][직업재활 원칙][직업재활 과정][특수교육][직업재활 발전방향]직업재활의 목적, ...
[직업재활 상담사의 바람직한 역할]직업재활 역사, 직업재활프로그램, 직업재활 상담사 일반...
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서 보호고용의 개념과 내용을 간단히 서술하시오
장애인재활의 이해 재활치료, 직업재활, 교육재활
재활분야 (의료재활, 직업재활, 교육재활, 사회재활, 스포츠재활)
외국의 장애인 복지정책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독일의 의료 및 소득보장정책, 교육정책, ...
정신장애인의 정의 및 직업적 특성과 재활과제 (정신장애의 정의, 정신장애의 원인, 정신장애...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 장애인의 직업 재활을 위한 직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장애인복지정책 및 서비스(의료보장, 소득보장, 교육정책, 직업재활정책, 편의시설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