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량사구성의 속성
2. 수량사구성의 통사구조
2.1. 통사구조의 설정
2.2. 수량사구성은 속격구성과 어떻게 다른가?
3. 격중출구문과 수량사구성
3.1. 기저구조는 같은가?
3.2. [두 명]이 명사구가 되려면
3.3. 부가소절의 가능성
4. 결론 및 남은 문제
4.1. 구조적 설명력의 한계와 표지의 기능
2. 수량사구성의 통사구조
2.1. 통사구조의 설정
2.2. 수량사구성은 속격구성과 어떻게 다른가?
3. 격중출구문과 수량사구성
3.1. 기저구조는 같은가?
3.2. [두 명]이 명사구가 되려면
3.3. 부가소절의 가능성
4. 결론 및 남은 문제
4.1. 구조적 설명력의 한계와 표지의 기능
본문내용
문장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9) 가. *학생이 맥주를 [세 명] 마시고 있다.
나. 학생이 맥주를 [세 명]이 마시고 있다.
이 논문의 가정에 따르면 (9)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10) 가. *학생i이 맥주를 [PROi [세 명]] 마시고 있다.
나. 학생i이 맥주를 [PROi [세 명]]이 마시고 있다.
하지만 (10)에서 두 '학생'은 모두 'PRO'를 통제하는 구조이므로, 이 논문의 가정도 (9)의 두 문장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는 셈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의 가정은 무엇인가가 바로 인접한 상위 명사구가 통제자가 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깨고, 멀리 있는 명사구를 PRO의 통제자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 요소는 표지 '이'로 가정한다.
(9) 가. *학생이 맥주를 [세 명] 마시고 있다.
나. 학생이 맥주를 [세 명]이 마시고 있다.
이 논문의 가정에 따르면 (9)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10) 가. *학생i이 맥주를 [PROi [세 명]] 마시고 있다.
나. 학생i이 맥주를 [PROi [세 명]]이 마시고 있다.
하지만 (10)에서 두 '학생'은 모두 'PRO'를 통제하는 구조이므로, 이 논문의 가정도 (9)의 두 문장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는 셈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의 가정은 무엇인가가 바로 인접한 상위 명사구가 통제자가 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깨고, 멀리 있는 명사구를 PRO의 통제자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 요소는 표지 '이'로 가정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