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필요성
Ⅱ. 목적
Ⅲ. 기대효과
Ⅳ. 프로그램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절차
2. 준비시 고려사항
3. 메뉴 구성 및 서비스 내용
4. 수행인력
5. 준비시스템
6. 자료입수 방법
7. 추진일정
8. 이용 방법
9. 향후 계획
10. 실적
Ⅱ. 목적
Ⅲ. 기대효과
Ⅳ. 프로그램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절차
2. 준비시 고려사항
3. 메뉴 구성 및 서비스 내용
4. 수행인력
5. 준비시스템
6. 자료입수 방법
7. 추진일정
8. 이용 방법
9. 향후 계획
10. 실적
본문내용
한국장애인재활공학센터
12. 직장전화번호 : 02-579-3091
13. 등급 : 20000
14. 편지수진 : 허용
15. 접속횟수 : 1347회 *
16. 총 이용시간 : 1072376초 *
17. 소개 :
18. 화면표시 : 일반 *
('*' 표시가 있는 것은 비공개입니다.)
15) 가입하는 곳
신규회원이 가입신청을 하는 곳이다.
16) 인터넷
인터넷 전용선을 통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곳이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이미지가 음성으로 지원되지 못하므로, 전용 웹브라우저나 링스를 이용한 텍스트로의 접속이 제공되며, 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1. 인터넷 이용안내
2. 인터넷 PPP 연결
11. 텔넷(Telnet) 접속
1. 계정 서비스 : mail. rtech.or.kr
2. 나우누리 : nownuri.net
3. 우리넷 : www.wenet.co.kr
4. 유니텔 : uniwin.unitel.co.kr
5. 천리안 : chollian.net
6. 하이텔 : home.hitel.net
7. 키텔 : kitel.kitel.co.kr
8. 신천지 : 203.251.6.3
9. Edunet : 210.120.14.133
(p.896)
10. 곰두리 : ns.ksrd.or.kr
11. 흰지팡이 여행 : pusan.white.or.kr
12. 링스(Lynx) 연결
17) 텔레마케팅
시각장애인의 직업 개발을 위하여 장애인 복지매장을 운영하는 곳이다. 판매 이익금은 상담을 맡고 있는 개인에게 지급된다.
1. 상품 안내
2. 판매 상담
3. 상품 주문
18) 시각장애인 전화번호부
전국 시각장애인의 전화번호를 찾아볼 수 있는 곳이다. 그러나, 일부 개인 정보는 개인의 사생활보호를 위하여 비공개하고, 복지관 서비스 대상자로서 자료로만 이용된다.
19) 운영자에게
운영자에게 건의하고 싶은 내용이나 묻고 싶은 내용 등을 받아두는 곳이다.
4. 수행 인력
1) 프로그램 관리자와 데이터 관리자 각1명
2) 자료 입력 자원봉사자 연인원 2천 여명
3) 입력 자원봉사자는 대학의 사회봉사 학점제와 연계하고 있다.
4) 이용자가 자료입력 자원봉사자로도 활동 가능하다.
5. 준비시스템
1) 시각장애인 서버-워크스테이션 SUN 10
2) 메일서버와 게임서버, 시샵을 위한 서버 등 기능에 따라 메인과 연결
3) HUB와 LAN : 50회선으로 관내 그룹웨어로 모든 직원 컴퓨터와 연결
(p.897)
4) CSU, 라우터 : 인터넷 텔넷과 연결하여 세계 각 통신망과 연결
5) 집합 모뎀 32회선 : 직접 다이얼을 통해 접속
6) 백업 드라이브 : 저장된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업용
7) 시각장애인용 통신망 소프트웨어 : OS-유닉스, 유틸리티-넓은 마을
6. 자료 입수 방법
1) 자원봉사자들의 자료 입력 : 연 600여권의 도서
2) 각 출판사 제공 자료
3) 각 언론사 자료 제공
4) 학회 및 각 기관들의 자료 제공
5) 회원들의 자료 공유
6) 점자도서관간의 자료 공유
7) 직접 자료 생산
7. 추진일정
1) 회원가입 신청 접수
2) 회원가입 허가
3) 월간 사용횟수 조회
4) 이용률 낮을 경우 사용자 교육 실시
5) 2개월 이상 무 사용시 회원삭제
6) 인터넷 등 통신강좌 실시로 활용 촉진
7) 각종 공지를 통하여 참여의식 강화
8. 이용 방법
1) 통신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 atdt33912010으로 접속한다.
(p.898)
※ 시각장애인인 경우, 가라사대라는 음성합성기가 필요하다.
2) 한글과 음성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음성지원이 가능한 TELIX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3) 사용 명령어는 하이텔과 동일하다.
9. 향후 계획
1) 세계시각장애인 통신망인 DAISY에 연결
2) 장애인 인터넷과 모두 연결
3) 음성 파일을 압축하여 디스켓 녹음 도서관 운영
4) 인터넷 홈페이지와 연동
5) 인터넷 음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원95 환경에서의 인터넷 웹 브라우저 이용 실현
6) 전국 출판사협회와 계약하여 모든 출판물을 디스켓으로 제공
7) 전자백화점을 시각장애인에게 분양하여 신 직업개발
10. 실적
1) 회원 1200명(98년 9월 20일 현재)으로 장애인 통신망 중 최다
2) 장서 5,000여 권 제공으로 자료 최다
3) 장애인용 소프트웨어 600여종 제공
4) 재활용구 900여종 소개 및 매뉴얼 제공
5) 월 3만 여건 이용
6) 1만여 명의 시각장애인 전화번호 제공
7) 시각장애인용 온라인 게임 9종 제공
8) 각종 동호회와 시각장애인관련 기관란 제공
12. 직장전화번호 : 02-579-3091
13. 등급 : 20000
14. 편지수진 : 허용
15. 접속횟수 : 1347회 *
16. 총 이용시간 : 1072376초 *
17. 소개 :
18. 화면표시 : 일반 *
('*' 표시가 있는 것은 비공개입니다.)
15) 가입하는 곳
신규회원이 가입신청을 하는 곳이다.
16) 인터넷
인터넷 전용선을 통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곳이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이미지가 음성으로 지원되지 못하므로, 전용 웹브라우저나 링스를 이용한 텍스트로의 접속이 제공되며, 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1. 인터넷 이용안내
2. 인터넷 PPP 연결
11. 텔넷(Telnet) 접속
1. 계정 서비스 : mail. rtech.or.kr
2. 나우누리 : nownuri.net
3. 우리넷 : www.wenet.co.kr
4. 유니텔 : uniwin.unitel.co.kr
5. 천리안 : chollian.net
6. 하이텔 : home.hitel.net
7. 키텔 : kitel.kitel.co.kr
8. 신천지 : 203.251.6.3
9. Edunet : 210.120.14.133
(p.896)
10. 곰두리 : ns.ksrd.or.kr
11. 흰지팡이 여행 : pusan.white.or.kr
12. 링스(Lynx) 연결
17) 텔레마케팅
시각장애인의 직업 개발을 위하여 장애인 복지매장을 운영하는 곳이다. 판매 이익금은 상담을 맡고 있는 개인에게 지급된다.
1. 상품 안내
2. 판매 상담
3. 상품 주문
18) 시각장애인 전화번호부
전국 시각장애인의 전화번호를 찾아볼 수 있는 곳이다. 그러나, 일부 개인 정보는 개인의 사생활보호를 위하여 비공개하고, 복지관 서비스 대상자로서 자료로만 이용된다.
19) 운영자에게
운영자에게 건의하고 싶은 내용이나 묻고 싶은 내용 등을 받아두는 곳이다.
4. 수행 인력
1) 프로그램 관리자와 데이터 관리자 각1명
2) 자료 입력 자원봉사자 연인원 2천 여명
3) 입력 자원봉사자는 대학의 사회봉사 학점제와 연계하고 있다.
4) 이용자가 자료입력 자원봉사자로도 활동 가능하다.
5. 준비시스템
1) 시각장애인 서버-워크스테이션 SUN 10
2) 메일서버와 게임서버, 시샵을 위한 서버 등 기능에 따라 메인과 연결
3) HUB와 LAN : 50회선으로 관내 그룹웨어로 모든 직원 컴퓨터와 연결
(p.897)
4) CSU, 라우터 : 인터넷 텔넷과 연결하여 세계 각 통신망과 연결
5) 집합 모뎀 32회선 : 직접 다이얼을 통해 접속
6) 백업 드라이브 : 저장된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업용
7) 시각장애인용 통신망 소프트웨어 : OS-유닉스, 유틸리티-넓은 마을
6. 자료 입수 방법
1) 자원봉사자들의 자료 입력 : 연 600여권의 도서
2) 각 출판사 제공 자료
3) 각 언론사 자료 제공
4) 학회 및 각 기관들의 자료 제공
5) 회원들의 자료 공유
6) 점자도서관간의 자료 공유
7) 직접 자료 생산
7. 추진일정
1) 회원가입 신청 접수
2) 회원가입 허가
3) 월간 사용횟수 조회
4) 이용률 낮을 경우 사용자 교육 실시
5) 2개월 이상 무 사용시 회원삭제
6) 인터넷 등 통신강좌 실시로 활용 촉진
7) 각종 공지를 통하여 참여의식 강화
8. 이용 방법
1) 통신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 atdt33912010으로 접속한다.
(p.898)
※ 시각장애인인 경우, 가라사대라는 음성합성기가 필요하다.
2) 한글과 음성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음성지원이 가능한 TELIX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3) 사용 명령어는 하이텔과 동일하다.
9. 향후 계획
1) 세계시각장애인 통신망인 DAISY에 연결
2) 장애인 인터넷과 모두 연결
3) 음성 파일을 압축하여 디스켓 녹음 도서관 운영
4) 인터넷 홈페이지와 연동
5) 인터넷 음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원95 환경에서의 인터넷 웹 브라우저 이용 실현
6) 전국 출판사협회와 계약하여 모든 출판물을 디스켓으로 제공
7) 전자백화점을 시각장애인에게 분양하여 신 직업개발
10. 실적
1) 회원 1200명(98년 9월 20일 현재)으로 장애인 통신망 중 최다
2) 장서 5,000여 권 제공으로 자료 최다
3) 장애인용 소프트웨어 600여종 제공
4) 재활용구 900여종 소개 및 매뉴얼 제공
5) 월 3만 여건 이용
6) 1만여 명의 시각장애인 전화번호 제공
7) 시각장애인용 온라인 게임 9종 제공
8) 각종 동호회와 시각장애인관련 기관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