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조선전기의 축성술
조선후기의 축성술
수원 화성 축성의 동기
수원 화성의 여러 시설들
(1)성벽
(2)성문
(3)수문
(4)장대
(5)공심돈
(6)각루
(7)포루
(8)포루
(9)봉돈
수원 화성의 가치
맺음말
조선전기의 축성술
조선후기의 축성술
수원 화성 축성의 동기
수원 화성의 여러 시설들
(1)성벽
(2)성문
(3)수문
(4)장대
(5)공심돈
(6)각루
(7)포루
(8)포루
(9)봉돈
수원 화성의 가치
맺음말
본문내용
을 들어올리는 연장인 거중기(擧重機)와 녹로( )를 만들어 사용한 것은 과학 기술의 도입이라는 점에서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거중기는 오늘날의 기중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며 구성 원리도 같은데, 고정 도르래 4개, 움직 도르래 4개 및 축바퀴 2개로 구성되어있다. 활차(滑車)를 이용한 거중기는 인력에 비해 80배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었다고 한다. 녹로는 자그만한 성돌을 간편하게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 거중기보다 간략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과학 기기의 사용은 정약용이 서양인 조안테렌스의 기기도설을 연구한 점으로 미루어 서양의 근대 과학을 도입했음을 말해 준다.
또 축성의 전 과정을 일지 형식으로 기록한 화성성역의 궤가 간행되어 공사 과정은 물론, 성역의 제도 . 의식 . 사용된 기기에 대한 그림 . 재료 등을 소상히 전하고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맺음말
조선시대의 축성기술과 수원 화성의 축성 동기, 수원 화성의 여러 시설들, 수원 화성의 가치를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것을 통해 수원 화성은 조선시대에 까지 쌓여진 우리 조상들의 성을 쌓는 기술을 집대성한 산물과 서양적인 요소의 만남과 벽돌을 사용하는 조선시대에 없었던 재료를 사용하는 등 획기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이는 우리 조상들의 실학의 정도가 어느 정도 발달하였음을 절실히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원 화성이 유네스코에 채택되어 세계 문화 유산에 하나로 등록 된 것은 결코 수원이 운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고, 수원 화성에 대한 미적 감각과 조상들의 과학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축성의 전 과정을 일지 형식으로 기록한 화성성역의 궤가 간행되어 공사 과정은 물론, 성역의 제도 . 의식 . 사용된 기기에 대한 그림 . 재료 등을 소상히 전하고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맺음말
조선시대의 축성기술과 수원 화성의 축성 동기, 수원 화성의 여러 시설들, 수원 화성의 가치를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것을 통해 수원 화성은 조선시대에 까지 쌓여진 우리 조상들의 성을 쌓는 기술을 집대성한 산물과 서양적인 요소의 만남과 벽돌을 사용하는 조선시대에 없었던 재료를 사용하는 등 획기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이는 우리 조상들의 실학의 정도가 어느 정도 발달하였음을 절실히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원 화성이 유네스코에 채택되어 세계 문화 유산에 하나로 등록 된 것은 결코 수원이 운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고, 수원 화성에 대한 미적 감각과 조상들의 과학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