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동량으로 키우고, 나아가 자신의 친위세력으로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우문지치의 명분 아래 세손 때부터 추진한 《사고전서 四庫全書》의 수입에 노력하는 동시에 서적의 간행에도 힘을 기울여 새로운 활자를 개발하기도 하였다. 임진자(壬辰字), 정유자(丁酉字), 한구자(韓構字), 생생자(生生字), 정리자(整理字), 춘추관자(春秋館字) 등을 새로 만들어 많은 서적을 편찬하였으니, 사서, 삼경 등의 당판서적(唐版書籍)을 수입하지 못하게까지 조처한 것도 이와같은 자기문화의 축적이 있었던 데서 가능한 것이었다.
이처럼 정조는 힘들게 왕위에 올라서 자신의 포부를 마음껏 펼치고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그 동안 한 일들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했다. 그는 “아직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부족하다.” 할 만큼 자신을 위해서 백성을 위해서 헌신을 다한 임금이었다. 또 거대한 파도가 밀려치는 바다에서도 자신의 키를 놓지 않고 끝까지 나아갈 수 있는 배짱 좋은 임금이었다. 하지만 그도 그 당시의 모든 것을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 정조가 이른 나이에 죽자 정국은 금방 세도정치로 인해서 백성들이 많은 고통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조는 성군이고 조선시대를 다시 반석에 올릴 수 있는 왕이 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포부를 펼치지 못한 것인 후손인 내가 생각 할 때는 정말 아깝지 않을 수 없다. 또 정조가 오래 살아서 수원으로 수도를 옮겼다면 지금과는 다른 삶을 살 질도 그리고 우리가 일본에 식민지 생활을 하지 않아도 될 수 있었던 가능성을 잃었다는 사실 또한 그렇다. 하지만 우리는 정조가 자신의 신념만으로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었던 용기는 잊지 말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앞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정조시대의 여러 개혁이 있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건이 있었는지 현재 정치를 한다고 하는 많은 사람들이 꼭 붕당 정치의 폐단이 보인 시기처럼 자신만이 올다고 믿고 자신의 생각을 관철 시키지 못했던 것과 같다. 그 당시 사대부들이 조금만더 개혁적인 생각을 하고 있었다면 조국을 일본에 빼앗기지 않았을 것이고 우리는 분단이 되지 않을 수도 잇었다는 생각마저 든다. 역사는 돌고 돈다. 우리도 옛것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미래를 측정하여 미국이라는 강대국과 급속한 발전을 하고 있는 중국, 우리의 독도를 침탈해가려고 하는 일본에대한 우리의 자세를 배울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이처럼 정조는 힘들게 왕위에 올라서 자신의 포부를 마음껏 펼치고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그 동안 한 일들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했다. 그는 “아직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부족하다.” 할 만큼 자신을 위해서 백성을 위해서 헌신을 다한 임금이었다. 또 거대한 파도가 밀려치는 바다에서도 자신의 키를 놓지 않고 끝까지 나아갈 수 있는 배짱 좋은 임금이었다. 하지만 그도 그 당시의 모든 것을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 정조가 이른 나이에 죽자 정국은 금방 세도정치로 인해서 백성들이 많은 고통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조는 성군이고 조선시대를 다시 반석에 올릴 수 있는 왕이 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포부를 펼치지 못한 것인 후손인 내가 생각 할 때는 정말 아깝지 않을 수 없다. 또 정조가 오래 살아서 수원으로 수도를 옮겼다면 지금과는 다른 삶을 살 질도 그리고 우리가 일본에 식민지 생활을 하지 않아도 될 수 있었던 가능성을 잃었다는 사실 또한 그렇다. 하지만 우리는 정조가 자신의 신념만으로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었던 용기는 잊지 말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앞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정조시대의 여러 개혁이 있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건이 있었는지 현재 정치를 한다고 하는 많은 사람들이 꼭 붕당 정치의 폐단이 보인 시기처럼 자신만이 올다고 믿고 자신의 생각을 관철 시키지 못했던 것과 같다. 그 당시 사대부들이 조금만더 개혁적인 생각을 하고 있었다면 조국을 일본에 빼앗기지 않았을 것이고 우리는 분단이 되지 않을 수도 잇었다는 생각마저 든다. 역사는 돌고 돈다. 우리도 옛것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미래를 측정하여 미국이라는 강대국과 급속한 발전을 하고 있는 중국, 우리의 독도를 침탈해가려고 하는 일본에대한 우리의 자세를 배울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추천자료
제 4기 시조문학의 전반적 특성
정약용에 대한 연구 고찰
다산 정약용의 문학
영원한 제국을 읽고난후..
김홍도의 씨름도
[다산 정약용]다산 정약용(다산 정약용의 생애, 다산 정약용의 정치사상, 다산 정약용의 경제...
연암 박지원의 연보와 사상 및 작품활동
실학사상가 다산 정약용의 업적과 우리에게 끼친 영향
동사강목은 어떤 책인가 / 강목체 / 강목체로 쓰여진 역사서
다산 정약용 (茶山 丁若鏞) (약력 , 실학 세계, 정약용의 사상-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십팔기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생애와...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 정약용 생애, 정약용 교육사상의 현대적 시사점 분석 - 다산 정약용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