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용영(국왕 친위 부대) 설치: 왕권을 뒷받침하는 군사 기반화
(3) 정조의 치적
① 서얼, 노비 차별 완화, 통공정책(금난전권 폐지), 대전통편 편찬, 화성건설
② 지방 통치 개편: 수령의 권한 강화(향약 주관)→ 지방 사림의 영향력 약화→ 국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용영의 설치
정조의 왕권 강화를 위한 장치로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 기관은 정조의 경호부대로 시작된 壯勇衛를 모태로 하여 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설치한 壯勇營이다. 정조는 문반의 핵심 관료군을 규장각에 모아 두뇌 집단으로 삼고 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용영으로 격상시켰다. 장용영의 설치를 통해 친위대 설치는 물론 각 군영의 독립적 성격을 약화시키고 군사권을 장악함으로써 임금의 최고 통수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장용영 설치는 군대를 장악한 노론을 견제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용영으로 호칭되면서 17년 내영ㆍ외영제로 제도적 정비를 갖추게 된다.
숙위체제를 비롯한 궁성 호위군의 체제를 새롭게 모색한 것은 금군 자체가 질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한계 때문이기도 했다. 그래서 무과출신자로 임용함으로써 그 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용영을 발족시켜 군사 기반을 구축하는 동시에 왕권을 강화시킨다.
장용영은 이제 국왕의 숙위 군영에서 친위 부대로 격상됨과 동시에 장용대장 제도(정조 15)를 두고 국왕이 직접 대장을 임명함으로써 다른 군영과 동급의 군으로까지 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