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대적 배경
2. 전반적 특징
(1) 사설 시조의 성행
(2) 가곡창에서 시조창으로의 변환
(3) 전문 가객들의 등장과 가단의 형성
(4) 전문 가객들의 시조집 편찬
3. 대표적 작가와 작품
Ⅲ. 결론
Ⅱ. 본론
1. 시대적 배경
2. 전반적 특징
(1) 사설 시조의 성행
(2) 가곡창에서 시조창으로의 변환
(3) 전문 가객들의 등장과 가단의 형성
(4) 전문 가객들의 시조집 편찬
3. 대표적 작가와 작품
Ⅲ. 결론
본문내용
양이면
내 힘과 내 분수로 어찌 얻을 수 있겠느냐
진실로 금할 사람이 없으므로 나도 두고 노니노라
(2) 김수장(金壽長)
<해동가요>를 편찬하였으며 자작 시조 117수를 수록하였다. 작품 수가 남달리 많은 만큼 인생무상·충효·안빈낙도 등 유가적인 것과 남녀 애정·서민생활 등 다양한 주제를 보여주고 있다.
한식寒食 비 갠 후에 국화 움이 반가왜라
곳도 보련이와 일일신日日新 더 죠해라
풍상이 섯것칠 제 군자절君子絶을 픗온다
한식날에 비가 갠 뒤 국화 움이 돋아나니 반갑구나
꽃도 보겠거니와 날마다 새롭게 피어나는 모습이 더 보기가 좋구나
바람과 서리가 함께 뒤섞여 칠 때 군자의 절개를 꽃피우노라
(3) 황진이
조선 중종 시대의 개성 기생. 정확한 생존 시기는 알 수 없다. 6수의 시조와 4수의 한시를 남겼으며 기생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동지冬至ㅅ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춘풍春風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한 가운데)를 베어내어
봄바람 같이 따뜻한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어 두었다가
정든 임이 오시는 밤이면 굽이굽이 펼쳐 내리라
(4) 작자 미상
두터비 하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딪라 안자
것넌 산山 빛라보니 백송골白松骨이 잇거다 가슴이
금즉힝여 풀덕 여 내딪다가 두험 아래 쟘바지거고
모쳐라 다낸 낼승만졍 에헐질 번힝괘라
두꺼비가 파리를 물고 두엄위에 뛰어 올라가 앉아
건너편 산을 바라보니 흰 송골매가 떠있기에 가슴이
섬뜩하여 펄쩍 뛰어 내닫다가 두엄 아래 자빠졌구나
마침 날랜 나였기에 망정이지 하마터면 다쳐서 멍들 뻔 했구나
Ⅲ. 결론
우리 시조 문학의 역사 중 4기 시조 문학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설 시조의 등장과 성행, 가객과 가단의 등장, 가집 편찬 등이 특징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것들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까지 이해하고 시조를 본다면 말할 나위없이 좋을 것이다. 딱딱한 평시조에만 머물지 않고 우리네 생활상을 진솔하게 담아내는 재미난 사설시조 한 수 접할 수 있는 여유를 가졌으면 한다.
<참고문헌>
元容文, 『古典文學論解』, 백산출판사, 1992.
李泰極, 『時調의 史的硏究』, 二友出版社, 1987.
張德順, 『國文學通論』, 도서출판 박이정, 1995.
張德順, 『韓國文學史』, 도서출판 박이정,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
허문섭, 『조선고전문학사』, 圖書出版 泰東, 1989.
내 힘과 내 분수로 어찌 얻을 수 있겠느냐
진실로 금할 사람이 없으므로 나도 두고 노니노라
(2) 김수장(金壽長)
<해동가요>를 편찬하였으며 자작 시조 117수를 수록하였다. 작품 수가 남달리 많은 만큼 인생무상·충효·안빈낙도 등 유가적인 것과 남녀 애정·서민생활 등 다양한 주제를 보여주고 있다.
한식寒食 비 갠 후에 국화 움이 반가왜라
곳도 보련이와 일일신日日新 더 죠해라
풍상이 섯것칠 제 군자절君子絶을 픗온다
한식날에 비가 갠 뒤 국화 움이 돋아나니 반갑구나
꽃도 보겠거니와 날마다 새롭게 피어나는 모습이 더 보기가 좋구나
바람과 서리가 함께 뒤섞여 칠 때 군자의 절개를 꽃피우노라
(3) 황진이
조선 중종 시대의 개성 기생. 정확한 생존 시기는 알 수 없다. 6수의 시조와 4수의 한시를 남겼으며 기생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동지冬至ㅅ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춘풍春風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한 가운데)를 베어내어
봄바람 같이 따뜻한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어 두었다가
정든 임이 오시는 밤이면 굽이굽이 펼쳐 내리라
(4) 작자 미상
두터비 하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딪라 안자
것넌 산山 빛라보니 백송골白松骨이 잇거다 가슴이
금즉힝여 풀덕 여 내딪다가 두험 아래 쟘바지거고
모쳐라 다낸 낼승만졍 에헐질 번힝괘라
두꺼비가 파리를 물고 두엄위에 뛰어 올라가 앉아
건너편 산을 바라보니 흰 송골매가 떠있기에 가슴이
섬뜩하여 펄쩍 뛰어 내닫다가 두엄 아래 자빠졌구나
마침 날랜 나였기에 망정이지 하마터면 다쳐서 멍들 뻔 했구나
Ⅲ. 결론
우리 시조 문학의 역사 중 4기 시조 문학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설 시조의 등장과 성행, 가객과 가단의 등장, 가집 편찬 등이 특징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것들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까지 이해하고 시조를 본다면 말할 나위없이 좋을 것이다. 딱딱한 평시조에만 머물지 않고 우리네 생활상을 진솔하게 담아내는 재미난 사설시조 한 수 접할 수 있는 여유를 가졌으면 한다.
<참고문헌>
元容文, 『古典文學論解』, 백산출판사, 1992.
李泰極, 『時調의 史的硏究』, 二友出版社, 1987.
張德順, 『國文學通論』, 도서출판 박이정, 1995.
張德順, 『韓國文學史』, 도서출판 박이정,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
허문섭, 『조선고전문학사』, 圖書出版 泰東, 198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