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tep 1: 평가정보의 수집 및 조직화
A. 평가자료의 출처
B. 내담자의 기능적 영역
1. 신체적 특징
2. 지적인 특성
3. 정서적 특징
4. 직업흥미
5. 가치(관)
6. 주위환경적 요소
7. 특수한 고려사항
Step 2 : 평가결과에 초점
A. 클라이언트 흥미
B. 특정한 직업적 흥미
C. 흥미와 관련된 직업적 정보
Step3. 재활의 선택/ 직업적/ 훈련적/ 독립적 생활 목표
Step 4. 재활계획의 문서화
A. 주목표
소감
A. 평가자료의 출처
B. 내담자의 기능적 영역
1. 신체적 특징
2. 지적인 특성
3. 정서적 특징
4. 직업흥미
5. 가치(관)
6. 주위환경적 요소
7. 특수한 고려사항
Step 2 : 평가결과에 초점
A. 클라이언트 흥미
B. 특정한 직업적 흥미
C. 흥미와 관련된 직업적 정보
Step3. 재활의 선택/ 직업적/ 훈련적/ 독립적 생활 목표
Step 4. 재활계획의 문서화
A. 주목표
소감
본문내용
관련된 직업적 정보
1. 활용가능한 직무/직업기회
컴퓨터를 이용한 그래픽작업, 프로그래밍, 게임제작 등 소프트웨어관련 직종
2. 직업적/배치 수준 요구 정도
컴퓨터 조작 능력, 간단한 수리능력, 디자인 감각, 창의력, 논리력
3. 필요한 훈련과 훈련기회
체계적인 컴퓨터교육이 필요하며 졸업후 샛길직업전문학교 등 장애인 컴퓨터 전문교육기관의 훈련기회가 있다.
Step3. 재활의 선택/ 직업적/ 훈련적/ 독립적 생활 목표
A. 두 가지 확인된 흥미와 관련된 능력과 가치를 다시 검사한다. 주위환경적 요소와 재활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제한점을 고려한다.
B. 내담자의 능력과 제한점 그리고 각각의 두가지 우선순위의 흥미와 관련된 직업의 유용성과 특히 직업적 요구사항을 조사한다.
C. 선택된 목표 : 적절한 직업태도 향상, 대인관계기술 활용, 독립생활 목표 등을 주목표로 삼았다.
Step 4. 재활계획의 문서화
A. 주목표: 적절한 직업태도 향상, 대인관계기술 활용, 독립생활 목표 등 을 주목표로 삼았다.
◎ 주목표 도달을 위한 하위 목표 1. 혼자 컴퓨터 조작하고 운용하기
·실시날짜 9월 14일
·성취·완성한 날짜 9월 26일
·자원 컴퓨터, 프로그램, 내담자
·훈련자 전문가
◎ 주목표 도달을 위한 하위목표 2. 직장에서 자연스럽게 도움을 요
청하고 받을수 있는가
·실시날짜 9월 29일
·성취·완성한 날짜 10월 5일
·자원 내담자, 친구, 사무용품
·훈련자 전문가
◎ 주목표 도달을 위한 하위목표 3. 혼자서 필요한 물건을 살 수 있는가
·실시날짜 10월 10일
·성취·완성한 날짜 10월 16일
·자원 내담자, 구입물품목록, 돈
·훈련자 이정호
◎ 소감
내담자는 컴퓨터를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그 분야에서 성공하길 원했다. 그가 가장 아쉬워 하는 것은 전문적으로 장애인에게 컴퓨터를 교육해주는 곳이 너무 부족하고 자기가 생각하는 만큼의 교육을 해줄 교사가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중증지체장애인은 전동이나 수동의 휠체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마음놓고 다닐만한 학원이나 교육기관이 거의 없다. 따라서 자기가 사는 지역에 장애인을 위한 전문 컴퓨터 교육기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담자가 컴퓨터를 전문적으로 교육받아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여러 제한점을 극복하고 한 사람의 어엿한 사회인으로 이 사회에 우뚝서길 진심으로 바란다. 그러한 일에 직업재활을 공부하는 한 사람으로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1. 활용가능한 직무/직업기회
컴퓨터를 이용한 그래픽작업, 프로그래밍, 게임제작 등 소프트웨어관련 직종
2. 직업적/배치 수준 요구 정도
컴퓨터 조작 능력, 간단한 수리능력, 디자인 감각, 창의력, 논리력
3. 필요한 훈련과 훈련기회
체계적인 컴퓨터교육이 필요하며 졸업후 샛길직업전문학교 등 장애인 컴퓨터 전문교육기관의 훈련기회가 있다.
Step3. 재활의 선택/ 직업적/ 훈련적/ 독립적 생활 목표
A. 두 가지 확인된 흥미와 관련된 능력과 가치를 다시 검사한다. 주위환경적 요소와 재활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제한점을 고려한다.
B. 내담자의 능력과 제한점 그리고 각각의 두가지 우선순위의 흥미와 관련된 직업의 유용성과 특히 직업적 요구사항을 조사한다.
C. 선택된 목표 : 적절한 직업태도 향상, 대인관계기술 활용, 독립생활 목표 등을 주목표로 삼았다.
Step 4. 재활계획의 문서화
A. 주목표: 적절한 직업태도 향상, 대인관계기술 활용, 독립생활 목표 등 을 주목표로 삼았다.
◎ 주목표 도달을 위한 하위 목표 1. 혼자 컴퓨터 조작하고 운용하기
·실시날짜 9월 14일
·성취·완성한 날짜 9월 26일
·자원 컴퓨터, 프로그램, 내담자
·훈련자 전문가
◎ 주목표 도달을 위한 하위목표 2. 직장에서 자연스럽게 도움을 요
청하고 받을수 있는가
·실시날짜 9월 29일
·성취·완성한 날짜 10월 5일
·자원 내담자, 친구, 사무용품
·훈련자 전문가
◎ 주목표 도달을 위한 하위목표 3. 혼자서 필요한 물건을 살 수 있는가
·실시날짜 10월 10일
·성취·완성한 날짜 10월 16일
·자원 내담자, 구입물품목록, 돈
·훈련자 이정호
◎ 소감
내담자는 컴퓨터를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그 분야에서 성공하길 원했다. 그가 가장 아쉬워 하는 것은 전문적으로 장애인에게 컴퓨터를 교육해주는 곳이 너무 부족하고 자기가 생각하는 만큼의 교육을 해줄 교사가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중증지체장애인은 전동이나 수동의 휠체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마음놓고 다닐만한 학원이나 교육기관이 거의 없다. 따라서 자기가 사는 지역에 장애인을 위한 전문 컴퓨터 교육기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담자가 컴퓨터를 전문적으로 교육받아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여러 제한점을 극복하고 한 사람의 어엿한 사회인으로 이 사회에 우뚝서길 진심으로 바란다. 그러한 일에 직업재활을 공부하는 한 사람으로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