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존의 연구들에 대한 개관
1.1. 전통적인 통사적 논점들
1.2. 재검토를 필요로 하는 세 가지 가정들
1.2.1. “상보 분포” 논증의 타당성
1.2.2. 복문 가설
1.2.3. 전통적인 가정들에 대한 대안과 대안이 전통적인 논점들에 대해 가지는 암시
2. 장형 부정 구문의 구조
2.1. D-structure branching X0-structure를 위한 세 가지 논증
2.1.1. 단문 가설
2.1.2. 한정사(delimiter)의 출현
2.2.3. 격 현상
2.3. D-structure branching X0-structure의 이론적 의의
2.3.1. X-bar 이론
2.3.2. 하위 범주화 이론
2.3.3. 핵의 위치: “핵 상관성 원리”
2.4. 마무리
3. M.-Y. Kang (1988)의 동사구-껍질 분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3.1. 동사구-보어/동사구-껍질
3.2. ‘-지’의 도입
1.1. 전통적인 통사적 논점들
1.2. 재검토를 필요로 하는 세 가지 가정들
1.2.1. “상보 분포” 논증의 타당성
1.2.2. 복문 가설
1.2.3. 전통적인 가정들에 대한 대안과 대안이 전통적인 논점들에 대해 가지는 암시
2. 장형 부정 구문의 구조
2.1. D-structure branching X0-structure를 위한 세 가지 논증
2.1.1. 단문 가설
2.1.2. 한정사(delimiter)의 출현
2.2.3. 격 현상
2.3. D-structure branching X0-structure의 이론적 의의
2.3.1. X-bar 이론
2.3.2. 하위 범주화 이론
2.3.3. 핵의 위치: “핵 상관성 원리”
2.4. 마무리
3. M.-Y. Kang (1988)의 동사구-껍질 분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3.1. 동사구-보어/동사구-껍질
3.2. ‘-지’의 도입
본문내용
있다.
(8) 철수가 [영이가 성욱이를 만났다고] 믿는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강명윤은 Stowell의 "격 저항 원리"에 의거, 문장은 A-bar 위치로 이동한다고 본다. 하지만 필자는 원리적 설명이 없기 때문에 정당한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3.3. LF-이동
구의 구조에 있어 핵을 제외하고는 오로지 최대 투사만을 인정하는 기존의 X-bar 이론에 입각하여 (그리고 한국어의 핵의 위치는 맨 오른쪽이라는 원리도 함께) 장형 부정 구문의 구조를 설정하려 할 때, 가능한 방안은 '하-'를 핵으로 하고 그 앞에 오는 성분을 문장이나 동사구 (혹은 명사구)로 보는 두 가지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장형 부정 구문이 단문임을 들어 전자의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그리고 남은 것은 강명윤이 제시한 "동사구-껍질" 가설인데 우리는 그 가능성도 여러 가지 문제가 많음을 보았다. 이는 기존의 X-bar 이론하에서는 장형 부정 구문을 만족스럽게 다룰 수 있는 방도가 없는 한편 새로운 이론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필자는 2.3.에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 개념적 내용은 극히 간단하고 또한 기존의 이론들과의 연관성도 아주 자연스러운 것이었다고 말한다.
(8) 철수가 [영이가 성욱이를 만났다고] 믿는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강명윤은 Stowell의 "격 저항 원리"에 의거, 문장은 A-bar 위치로 이동한다고 본다. 하지만 필자는 원리적 설명이 없기 때문에 정당한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3.3. LF-이동
구의 구조에 있어 핵을 제외하고는 오로지 최대 투사만을 인정하는 기존의 X-bar 이론에 입각하여 (그리고 한국어의 핵의 위치는 맨 오른쪽이라는 원리도 함께) 장형 부정 구문의 구조를 설정하려 할 때, 가능한 방안은 '하-'를 핵으로 하고 그 앞에 오는 성분을 문장이나 동사구 (혹은 명사구)로 보는 두 가지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장형 부정 구문이 단문임을 들어 전자의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그리고 남은 것은 강명윤이 제시한 "동사구-껍질" 가설인데 우리는 그 가능성도 여러 가지 문제가 많음을 보았다. 이는 기존의 X-bar 이론하에서는 장형 부정 구문을 만족스럽게 다룰 수 있는 방도가 없는 한편 새로운 이론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필자는 2.3.에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 개념적 내용은 극히 간단하고 또한 기존의 이론들과의 연관성도 아주 자연스러운 것이었다고 말한다.
추천자료
[토론과 국어교육][토론과 문학교육][토론과 사회교육][토론과 과학교육][토론과 인터넷교육]...
[교육평가][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국어과교육평가(국어교육평가), 영어과교육평가(영...
[교육평가][초등교육평가]초등학교1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
영어과교육평가(영어평가),국어과교육평가(국어평가),수학과교육평가(수학평가),과학과교육평...
[국어과 가치탐구학습][가치탐구학습][국어과교육]국어과 가치탐구학습의 개념, 국어과 가치...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열린교육과 국어과 수업(국어교육), 영어과 수업(영어교육), 열린교육과 수학과 수업(수학교...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3...
열린교육의 국어과 지도(국어교육), 열린교육의 영어과 지도(영어교육), 열린교육의 수학과 ...
제7차교육과정 국어과(제7차국어과교육과정), 제7차교육과정 영어과(제7차영어과교육과정), ...
영어과교육 노래와 챈트수업지도, 국어과교육 말하기듣기수업지도, 국어과교육 쓰기수업지도,...
[국어교육평가][사회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체육교육평가][바른생활교육평가][음악교육평가...
[평가기준][국어과교육][영어과교육][공통사회과교육][공통과학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과교...
[교육평가][국어과교육][수학과교육][사회과교육][과학과교육][도덕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