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목차
1. 우리나라의 에이즈 환자는 얼마나 되는가?
2. 우리나라의 에이즈환자의 감염요인은 주로 무엇인가?
3. 붉은 리본운동이란 무엇인가?
4. 한국형 에이즈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5. 우리 나라의 헌혈과 혈액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6. 에이즈 검진체계는 어떻게 되어있나?
7. 에이즈 검진 대상은 누구인가?
8. 에이즈 감염자로 판명되면 어떻게 관리되는가?
9. 에이즈 전문진료 기관은 어디인가?
10. 에이즈에 대한 일반시민의 인식정도는?
11. 에이즈 상담안내는?
12. 에이즈 검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3. 에이즈 진단은 어떻게 내려지는가?
14. HIV감염사실을 확인하려면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하는가?
15 . 에이즈 노이로제란 무엇인가?
16 . 감염이 의심될 때 즉시 검사를 하면 알 수 있나?
17 . 에이즈 감염자와 에이즈 환자의 차이는 무엇인가?
18. 감염자와 성접촉을 한 번 가졌을 때 감염될 확률은?
19. 검사시 상담을 받는 이유는?
20. 검사전과 검사후에 상담을 받는 이유는?
21. 검사결과가 양성이다. 이것이 뜻하는 바는?
22. 검사결과가 양성이라면 곧 사망하게 되는 걸까?
23. 위양성이란?
24. 검사결과가 양성이라도 건강해 보이고 또 그렇게 느낄 수 있나?
25. 검사결과가 음성이다. 이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26.위음성이란?
27. 언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은가?
28. 항체혈액검사는 얼마나 우수한가?
29. 그밖에 가능한 다른 검사법이 있는가?
...
2. 우리나라의 에이즈환자의 감염요인은 주로 무엇인가?
3. 붉은 리본운동이란 무엇인가?
4. 한국형 에이즈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5. 우리 나라의 헌혈과 혈액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6. 에이즈 검진체계는 어떻게 되어있나?
7. 에이즈 검진 대상은 누구인가?
8. 에이즈 감염자로 판명되면 어떻게 관리되는가?
9. 에이즈 전문진료 기관은 어디인가?
10. 에이즈에 대한 일반시민의 인식정도는?
11. 에이즈 상담안내는?
12. 에이즈 검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3. 에이즈 진단은 어떻게 내려지는가?
14. HIV감염사실을 확인하려면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하는가?
15 . 에이즈 노이로제란 무엇인가?
16 . 감염이 의심될 때 즉시 검사를 하면 알 수 있나?
17 . 에이즈 감염자와 에이즈 환자의 차이는 무엇인가?
18. 감염자와 성접촉을 한 번 가졌을 때 감염될 확률은?
19. 검사시 상담을 받는 이유는?
20. 검사전과 검사후에 상담을 받는 이유는?
21. 검사결과가 양성이다. 이것이 뜻하는 바는?
22. 검사결과가 양성이라면 곧 사망하게 되는 걸까?
23. 위양성이란?
24. 검사결과가 양성이라도 건강해 보이고 또 그렇게 느낄 수 있나?
25. 검사결과가 음성이다. 이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26.위음성이란?
27. 언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은가?
28. 항체혈액검사는 얼마나 우수한가?
29. 그밖에 가능한 다른 검사법이 있는가?
...
본문내용
감염에서 발병까지의 기간을 말하며,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평균 8∼10년 만에 에이즈로 발병한다고 한다. 발병까지의 기간은 일정하지 않고, CD4양성 임파구 수, 치료, 다른 미생물의 감염이나 영양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달라진다. 에이즈는 우연한 감염증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나 금후에는 치료법의 발전등으로 이 잠복기간은 달라질 것이다.
급성기 증상까지의 기간 : 감염자의 일부는 발열, 인두통, 발진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나 2∼3주안에 없어진다. 이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은 감염후 2∼8주로 보고 있다. (http://aids.hallym.ac.kr)
- HIV에 감염된 지 10년 이내에 감염자의 절반정도가 에이즈환자로 진행된다. HIV에 감염된 사람이 에이즈증상을 보이기 전까지의 기간을 에이즈의 '무증상기'라고 한다. 감염된 후 에이즈증상을 보이기 전까지 감염자들은 건강하다고 스스로 느끼는 것은 물론 남들에게도 건강하게 보인다. 따라서 감염자들은 자신이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을 수 있다. 감염자는 수혈이나 성접촉을 통해 자신의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http://aids.or.kr)
58. 에이즈의 잠복기간은?
감염후 최초로 증상이 나타날때까지의 기간을 잠복기라고 하는데 지금까지의 보고된 것으로 미국의 경우 5년 이상을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감염된 상태로 있었다는 보고들도 있다.
다른 보고에는 연구대상자의 2/3에서 잠복기가 1.5-5.0년 이었으며 나머지 1/3은 같은 기간내에 증상이 나타났거나 AISD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59. 에이즈 virus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감염자 본인이 알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감염된 사람들 중 대부분은 증상이 없으며 따라서 자신이 균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HIV감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혈액검사를 받아 보아야 한다. 몇 개월 심지어는 몇 년이 지나도 HIV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증상들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HIV의 감염과 관계없이 나타나는 증상들도 있기 때문에 신체에 나타난 증상만으로 감염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ELISA와 Western blot과 같은 혈액검사들은 HIV에 대한 항체가 인체에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만일 혈액 내에 이 항체가 존재한다면 이것은 그 사람이 HIV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혈액검사방법이 현재 바이러스를 발견하기 위한 주된 검사방법이다.
HIV에 감염된 후 현재의 검사방법에 의해 발견될 수 있는 항체가 형성되기까지는 보통 4∼8주가 소요된다. 따라서 자신이 HIV에 노출되었다고 생각되면 전염시킬 수 있는 위험한 행동들을 삼가면서 검사를 받고 검사결과가 음성이면 3개월 후에 재검사를 받아본다. 그 후 검사결과가 양성이라면 즉시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 보아야만 한다. 현재 의사에게는 HIV감염자들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많은 치료법들이 있다. 만일 검사결과가 음성이라면 HIV감염에 대한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60. 누군가가 에이즈 환자라는 것을 외관으로 알아볼수 있는가?
보통 에이즈 감염자를 알아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HIV에 감염된 사람이 어떠한 증상을 보이게 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HIV에 감염된 사람의 외형적인 증상으로 이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HIV에 감염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감염자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Kaposi-육종이나 결핵, 혹은 일반적인 감염으로 고통받는 중이 아니라면, 에이즈 감염자라도 보통 사람처럼 건강해 보일 수 있다.
61. 인체밖에서 HIV 생존기간은?
에이즈 바이러스(HIV) 는 침입한 임파구 속에서는 물론, 임파구 주위의 혈청이나 체액 속에서도 감염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공기가 건조하여 혈액이나 체액이 바싹 말라버린 상태에서는 활성이 급속도로 떨어진다고 생각되며, 공기 감염은 전혀 있을 수 없다. 보통의 수도물에는 소독을 위한 염소가 용해되어 있으므로 차아염소산에 약한(0.5%에서 10분) HIV는 단시간에 활성을 잃는다고 보며, 또 수영장이나 욕조에서는 대량의 물로 희석되기 때문에 B형 간염 바이러스보다 감염력보다 감염력이 약한 HIV는 감염력이 없다. 또 입을 통한 음식물에 의한 감염도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20∼30℃의 실온에서 혈청이나 체액이 건조되지 않는 조건에서는, 그 속에 있는 HIV가 수일간 생존해 있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몸에 묻은 혈액이나 체액을 제거하지 않으면 감염 가능성이 있다. 즉시 대량의 흐르는 물로 강력하게 씻어 내리면 감염에 이르는 일은 없으며 비누나 소독액을 사용하면 더욱 좋다.
미국질병관리예방기구(CDC)의 과학자들은 HIV가 존재하는 체액이라도 말라있을 때에는 바이러스의 90-99%가 활동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HIV는 인체 밖에서 오랫동안 생존하지 못한다. 이 바이러스는 인체 내에 직접 침입하지 못하면 감염되지 않는다. 공기흡입에 의해 전파된다는 증거는 없다.
62. 기회감염이란?
기회감염이란 면역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에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HIV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면역체계에 손상을 가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저항능력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건강한 면역체계를 가진 경우라면 쉽게 치료가 되지만, 에이즈환자일 경우에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균이 인체에 침입했을 때 면역체계가 저항하지 못하여 생명에 위협을 받게 된다. 여러 가지 약품들이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에이즈환자들은 반복되는 감염으로 신체의 약화가 가속화됨으로써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증을 잘 일으키지 않으면서 면역 기능이 감소된 사람에서는 심각한 감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함. 즉, 기회를 보아 감염증을 일으킨다는 의미. '2차 감염' 이라는 말과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함.
ㆍㆍㆍ♧참고자료♧ㆍㆍㆍ
파스퇴르 연구소-뤽 몽따니에
http://aids.or.kr
http://aids.hallym.ac.kr
http://aids.webmdb.com/aids/
급성기 증상까지의 기간 : 감염자의 일부는 발열, 인두통, 발진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나 2∼3주안에 없어진다. 이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은 감염후 2∼8주로 보고 있다. (http://aids.hallym.ac.kr)
- HIV에 감염된 지 10년 이내에 감염자의 절반정도가 에이즈환자로 진행된다. HIV에 감염된 사람이 에이즈증상을 보이기 전까지의 기간을 에이즈의 '무증상기'라고 한다. 감염된 후 에이즈증상을 보이기 전까지 감염자들은 건강하다고 스스로 느끼는 것은 물론 남들에게도 건강하게 보인다. 따라서 감염자들은 자신이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을 수 있다. 감염자는 수혈이나 성접촉을 통해 자신의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http://aids.or.kr)
58. 에이즈의 잠복기간은?
감염후 최초로 증상이 나타날때까지의 기간을 잠복기라고 하는데 지금까지의 보고된 것으로 미국의 경우 5년 이상을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감염된 상태로 있었다는 보고들도 있다.
다른 보고에는 연구대상자의 2/3에서 잠복기가 1.5-5.0년 이었으며 나머지 1/3은 같은 기간내에 증상이 나타났거나 AISD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59. 에이즈 virus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감염자 본인이 알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감염된 사람들 중 대부분은 증상이 없으며 따라서 자신이 균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HIV감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혈액검사를 받아 보아야 한다. 몇 개월 심지어는 몇 년이 지나도 HIV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증상들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HIV의 감염과 관계없이 나타나는 증상들도 있기 때문에 신체에 나타난 증상만으로 감염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ELISA와 Western blot과 같은 혈액검사들은 HIV에 대한 항체가 인체에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만일 혈액 내에 이 항체가 존재한다면 이것은 그 사람이 HIV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혈액검사방법이 현재 바이러스를 발견하기 위한 주된 검사방법이다.
HIV에 감염된 후 현재의 검사방법에 의해 발견될 수 있는 항체가 형성되기까지는 보통 4∼8주가 소요된다. 따라서 자신이 HIV에 노출되었다고 생각되면 전염시킬 수 있는 위험한 행동들을 삼가면서 검사를 받고 검사결과가 음성이면 3개월 후에 재검사를 받아본다. 그 후 검사결과가 양성이라면 즉시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 보아야만 한다. 현재 의사에게는 HIV감염자들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많은 치료법들이 있다. 만일 검사결과가 음성이라면 HIV감염에 대한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60. 누군가가 에이즈 환자라는 것을 외관으로 알아볼수 있는가?
보통 에이즈 감염자를 알아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HIV에 감염된 사람이 어떠한 증상을 보이게 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HIV에 감염된 사람의 외형적인 증상으로 이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HIV에 감염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감염자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Kaposi-육종이나 결핵, 혹은 일반적인 감염으로 고통받는 중이 아니라면, 에이즈 감염자라도 보통 사람처럼 건강해 보일 수 있다.
61. 인체밖에서 HIV 생존기간은?
에이즈 바이러스(HIV) 는 침입한 임파구 속에서는 물론, 임파구 주위의 혈청이나 체액 속에서도 감염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공기가 건조하여 혈액이나 체액이 바싹 말라버린 상태에서는 활성이 급속도로 떨어진다고 생각되며, 공기 감염은 전혀 있을 수 없다. 보통의 수도물에는 소독을 위한 염소가 용해되어 있으므로 차아염소산에 약한(0.5%에서 10분) HIV는 단시간에 활성을 잃는다고 보며, 또 수영장이나 욕조에서는 대량의 물로 희석되기 때문에 B형 간염 바이러스보다 감염력보다 감염력이 약한 HIV는 감염력이 없다. 또 입을 통한 음식물에 의한 감염도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20∼30℃의 실온에서 혈청이나 체액이 건조되지 않는 조건에서는, 그 속에 있는 HIV가 수일간 생존해 있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몸에 묻은 혈액이나 체액을 제거하지 않으면 감염 가능성이 있다. 즉시 대량의 흐르는 물로 강력하게 씻어 내리면 감염에 이르는 일은 없으며 비누나 소독액을 사용하면 더욱 좋다.
미국질병관리예방기구(CDC)의 과학자들은 HIV가 존재하는 체액이라도 말라있을 때에는 바이러스의 90-99%가 활동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HIV는 인체 밖에서 오랫동안 생존하지 못한다. 이 바이러스는 인체 내에 직접 침입하지 못하면 감염되지 않는다. 공기흡입에 의해 전파된다는 증거는 없다.
62. 기회감염이란?
기회감염이란 면역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에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HIV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면역체계에 손상을 가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저항능력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건강한 면역체계를 가진 경우라면 쉽게 치료가 되지만, 에이즈환자일 경우에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균이 인체에 침입했을 때 면역체계가 저항하지 못하여 생명에 위협을 받게 된다. 여러 가지 약품들이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에이즈환자들은 반복되는 감염으로 신체의 약화가 가속화됨으로써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증을 잘 일으키지 않으면서 면역 기능이 감소된 사람에서는 심각한 감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함. 즉, 기회를 보아 감염증을 일으킨다는 의미. '2차 감염' 이라는 말과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함.
ㆍㆍㆍ♧참고자료♧ㆍㆍㆍ
파스퇴르 연구소-뤽 몽따니에
http://aids.or.kr
http://aids.hallym.ac.kr
http://aids.webmdb.com/aids/
추천자료
면역(Immunity) 에 대한 이해 (Immunity)
면역과 NK세포의 면역 요법
면역이야기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면역계질환에 대해서
[면역학] antinuclear antibodies, rheumatoid factor TEST, horse anti-tetanus antiserum
[면역학] 면역체계, 신체의 면역 반응
간호법규 총정리 - 의료법, 지역보건법,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국...
[임상면역학] 면역 글로블린에 대해서
성인 간호학 - 염증, 감염, 면역반응 요약
병리학 - 면역계 질환
[접근권, 보편적 서비스, 의약품, 태국 에이즈치료제]보편적 서비스의 접근권, 의약품의 접근...
기초간호과학3학년레포트 (면역,종양,D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