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면역학] 면역 글로블린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상면역학] 면역 글로블린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임상면역학)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항체(Antibody)
1. 항체(Antibody)
2.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3. 항체의 구조
3-1. 기능적 부분
3-2. 효소에 의한 항체 구조 연구
4. 5가지 면역글로불린
5. 관련 질병질환이다.

본문내용

심하게 반응하여 심각한 조직 손상을 유 발하고, 심지어는 사망에 이르게까지 하는 경우를 말한다.
-항체 또는 항원-항체 복합체에 의해 매개되는 즉시과민면역반응과 대식세포와 T 세포에 의해 매개되며 항원 노출 후 며칠이 지나서 반응이 나타나는 지연성과민 면역반응으로 나뉜다.
-즉시관민면역반응 ; 이를 매개하는 주된 인자는 다섯 가지의 면역글로불린 아형 중에서도 IgE아형이다. IgE는 과민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비만세포의 표면에 존재 하는 IgE수용체에 강하게 결합하고 Allergen 항원이 결합될 경우 비만세포로부터 과립이 분비된다. 꽃가루, 진드기 등이 이런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사람에 따라서 주변 환경의 화학물질을 포함한 모든 물질이 Allergen으로 작용할 수 있다. 천식 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②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말 그대로 우리 몸에는 반응하지 않고 외래항원 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만 반응을 보여야 하는 면역체계가 우리 몸속의 장기 또는 조직상에 표현되어 있 는 자가항원(Autoantigen)의 자극을 받아 해당 장기와 조직을 공격하고 손상을 유발함으로써 일어나는 질환을 말한다.
-면역세포는 골수에서 조혈작용을 통해 생성되고 골수 또는 흉선을 거쳐 말초로 나오게 되는데, 이때 세포들 중 자가항원에 반응할 수 있는 일부가 제거되지 않 은 체로 말초로 나오게 되거나 자가항원에 반응하지 못하는 세포들 중 자기관용 이 깨짐으로써 자가항원에 반응을 하게 되는 경우에 의해서 자가면역질환이 유발 된다.
-국지적 조직 손상과 증상유발을 동반하는 ‘조직 특이 자가면역 질환’과 신체 전 반에 걸쳐 증상을 동반하는 ‘전신성 자가면역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사구체 신염이 동반되는 전신성 홍반성 낭창이 전신성 자가면역 질환의 대표적 질환이다.
③면역결핍(Immunodeficiency)
-선청성 면역 결핍 질환(1차 면역 결핍질환)과 후천성 면역 결집증(2차 면역 결핍 질환이 있다.
-선청성 면역 결핍 질환의 대부분은 면역세포의 발달이나 활성에 관여하는 물질이 유전자 수준에서 이상이 생기게 되어 발생되는 것이다.
-2차 면역 결핍 질환의 경우 AIDS와 같이 HIV의 감염과 같은 특정 요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면역체계를 유지하던 T세포의 숫자가 급격히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바이러스 매개 질환이나 폐렴 또는 종양과 같은 질환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나 지 않게 됨으로써 일어나는 질환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3.12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4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