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xocrine
◆Exocrine의 종류◆
◆Exocrine의 기능◆
2. Endocrine
◆Endocrine의 종류와 기능◆
3. Ectocrine
◆Ectocrine의 종류와 기능◆
4. Autocrine
◆Autocrine의 종류와 기능◆
5. Paracrine
◆Paracrine의 종류와 기능◆
6. Intracrine
◆Intracrine의 종류와 기능◆
참고문헌
◆Exocrine의 종류◆
◆Exocrine의 기능◆
2. Endocrine
◆Endocrine의 종류와 기능◆
3. Ectocrine
◆Ectocrine의 종류와 기능◆
4. Autocrine
◆Autocrine의 종류와 기능◆
5. Paracrine
◆Paracrine의 종류와 기능◆
6. Intracrine
◆Intracrine의 종류와 기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만세포) 내에 커다란 과립형태로 저장된다. 이 유주세포는 그 과립의 일부를 방출하여 상처나 자극에 대응한다. 이렇게 나오는 히스타민은 이물질에 의한 상처나 이들의 침입에 대한 신체의 방어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직
histamine 효과
임상증상
폐
기관지수축
천식양 증상
혈관민무늬근
모세혈관후 세정맥 확장
말단 세동맥 확장
정맥수축
발적
혈관내피세포
혈관내피세포의 수축과 분리
부종, 구진반응
신경
구심성 신경말단의 감작
소양, 동통
심장
심장박동수와 심수축의 미세한 증가
미미함
위장
위산분비의 증가
소화성궤양질환, 속쓰림
중추신경계
신경전달 물질
24시간 주기의 생활리듬, 각성
히스타민을 내피주사하면 삼중반응이라고 알려진 연쇄반응을 유발시킨다.
이 삼중반응은 피부를 긁을 때 일어나는 반응으로 처음에는 피부발적이 생기고, 그 다음에는 주변으로 피부발적이 번지고, 이어 긁은 부위에 담마진이 생긴다.
이 현상은 혈관에 미치는 히스타민의 영향 때문에 생기는데 염증·알레르기·아나필락시 등의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면역반응에서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활성이 더 큰 면역계 성분이 혈관벽을 통과해서 상처를 입거나 감염된 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혈관벽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이있다.
▷사이토카인(cytokine)
은 언제나 한가지의 세포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보통 여러 가지의 세포 (cell type)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하나의 세포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 가지의 사이토카인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많은 종류의 사이토카인들이 세포의 성장이나 분화를 촉진하는 단백질로 작용하지만, 하나의 사이토카인이 언제나 한가지의 세포에 작용하여 한가지의 작용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세포에 작용하여 서로 다른 여러 가지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심지어, 사이토카인들은 그 활성이 중복될(redundancy in activity) 수 있어서, 여러 가지의 다른 사이토카인이 같은 세포에 작용하여 같은 종류의 변화를 유도하기도 한다. 종종 사이토카인은 다른 사이토카인과 같이 작용하여 서로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어떤 사이토카인들은 서로 같이 작용하면 그 효과가 상승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상승작용), 반대로 그 효과가 상쇄되는 경우도 있다.(길항작용)
또한 하나의 사이토카인은 다른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연쇄반응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작용은 그 분비가 분비는 일시적으로 일어나고 곧 자연히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특정한 사이토카인의 작용은 그 생성 원인이 사라지면 같이 사라지게 된다.
1) 사이토카인의 특성
사이토카인의 작용은 특정한 세포에 의하여 분비되어, 특정한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그 사이토카인의 수용체(receptor)에 결합하여, 그 세포의 작용을 변화시킨다.
2) 사이토카인의 작용방법
대부분의 사이토카인은 면역 반응에 의하여 특정한 세포로부터 만들어지며, 자신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이웃해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대부분의 사이토카인들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작용하며, 이렇게 작용하는 사이토카인을 paracrine factor라고 한다. 예를 들어, Macrophage가 T cell에 항원을 보여줄 때, 자신이 제시한 MHC-항원을 인식한 T cell에 IL-1을 만들어 T cell의 증식을 도와주는데, 이 경우의 IL-1은 paracrine factor로 작용한 것이다.
6. Intracrine
intracrine은 그 세포 내부에서 물질이 분비되어 신호가 전달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세포내(주로 핵)수용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intracrine으로 분류되어진다. 일반적으로 펩티드 또는 단백질 호르몬은 endocrine, autocrine 또는 paracrine으로 작동하지만, 몇몇 펩티드 또는 단백질 호르몬은 다른 기계적 장치에 의해 세포내에서 작용한다.
Inatracrine의 예로는 인체의 혈관에 존재하는 Angiotensin II가 있다.
◆Intracrine의 종류와 기능◆
▷Angiotensin II
Angiotensin은 혈관벽에 존재하는 혈관 확장물질이다.
Angiotensin I는 폐의 모세혈관에서 많이 있는 Angiotensin 개조 효소(ACE, kinase)의 말단 잔류물의 제거를 통해 앤지오텐신 II로 변환된다. ACE는 인체의 전신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모세혈관에 고밀도로 있기 때문에 폐에도 높은 밀도로 존재한다. Angiotensin Ⅱ는 endocrine, autocrine/paracrine 및 intracrine 호르몬으로 작동한다.
ACE는 Angiotensin Ⅱ 생산의 비율을 줄이는 ACE 억제제에 의해 비활성화를 위한 표적이다. Angiotensin Ⅱ는 vascular smooth muscle cells(IP3의존장치에 의하여 수축하는)에 있는 Gq protein을 자극함으로써 혈압을 증가시킨다. ACE억제제는 고혈압에 있어 중요한 약물이다.
정확한 역할이 아직도 불분명하지만 ACE, 7 또는 9 아미노산의 다른 분열 물질 또한 Angiotensin 수용체를 위한 차별 친화력이 있다고 알려진다. Angiotensin II 의 활동 자체는 직접 Angiotensin II AT1 수용체를 막는 Angiotensin II 수용체 길항근에 의해 표적으로 작용한다.
Angiotensin II는 대부분의 조직의 적혈구 그리고 혈관 벽에 있는 angiotensinases에 의해 Angiotensin Ⅲ에 저하된다. 그것의 순환에는 약 30초의 반감기가 있으나, 조직에서는 약15-30분 정도이다.
참고문헌
<생리학> - 정담미디어, 2005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위키디피아 자유백과사전) 번역
타바타-켄이찌 외<일상의 생물사전>동경당출판, 1998
박상대 <분자세포생물학>아카데미서적
Postlethwait·Hopson <생명과학> 광림사
전성학, campbell등 7명 <생명과학 8판> 바이오사이언스
이우윤 역, <의학 세포 생물학> 월드사이언스
조직
histamine 효과
임상증상
폐
기관지수축
천식양 증상
혈관민무늬근
모세혈관후 세정맥 확장
말단 세동맥 확장
정맥수축
발적
혈관내피세포
혈관내피세포의 수축과 분리
부종, 구진반응
신경
구심성 신경말단의 감작
소양, 동통
심장
심장박동수와 심수축의 미세한 증가
미미함
위장
위산분비의 증가
소화성궤양질환, 속쓰림
중추신경계
신경전달 물질
24시간 주기의 생활리듬, 각성
히스타민을 내피주사하면 삼중반응이라고 알려진 연쇄반응을 유발시킨다.
이 삼중반응은 피부를 긁을 때 일어나는 반응으로 처음에는 피부발적이 생기고, 그 다음에는 주변으로 피부발적이 번지고, 이어 긁은 부위에 담마진이 생긴다.
이 현상은 혈관에 미치는 히스타민의 영향 때문에 생기는데 염증·알레르기·아나필락시 등의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면역반응에서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활성이 더 큰 면역계 성분이 혈관벽을 통과해서 상처를 입거나 감염된 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혈관벽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이있다.
▷사이토카인(cytokine)
은 언제나 한가지의 세포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보통 여러 가지의 세포 (cell type)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하나의 세포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 가지의 사이토카인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많은 종류의 사이토카인들이 세포의 성장이나 분화를 촉진하는 단백질로 작용하지만, 하나의 사이토카인이 언제나 한가지의 세포에 작용하여 한가지의 작용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세포에 작용하여 서로 다른 여러 가지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심지어, 사이토카인들은 그 활성이 중복될(redundancy in activity) 수 있어서, 여러 가지의 다른 사이토카인이 같은 세포에 작용하여 같은 종류의 변화를 유도하기도 한다. 종종 사이토카인은 다른 사이토카인과 같이 작용하여 서로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어떤 사이토카인들은 서로 같이 작용하면 그 효과가 상승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상승작용), 반대로 그 효과가 상쇄되는 경우도 있다.(길항작용)
또한 하나의 사이토카인은 다른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연쇄반응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작용은 그 분비가 분비는 일시적으로 일어나고 곧 자연히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특정한 사이토카인의 작용은 그 생성 원인이 사라지면 같이 사라지게 된다.
1) 사이토카인의 특성
사이토카인의 작용은 특정한 세포에 의하여 분비되어, 특정한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그 사이토카인의 수용체(receptor)에 결합하여, 그 세포의 작용을 변화시킨다.
2) 사이토카인의 작용방법
대부분의 사이토카인은 면역 반응에 의하여 특정한 세포로부터 만들어지며, 자신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이웃해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대부분의 사이토카인들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작용하며, 이렇게 작용하는 사이토카인을 paracrine factor라고 한다. 예를 들어, Macrophage가 T cell에 항원을 보여줄 때, 자신이 제시한 MHC-항원을 인식한 T cell에 IL-1을 만들어 T cell의 증식을 도와주는데, 이 경우의 IL-1은 paracrine factor로 작용한 것이다.
6. Intracrine
intracrine은 그 세포 내부에서 물질이 분비되어 신호가 전달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세포내(주로 핵)수용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intracrine으로 분류되어진다. 일반적으로 펩티드 또는 단백질 호르몬은 endocrine, autocrine 또는 paracrine으로 작동하지만, 몇몇 펩티드 또는 단백질 호르몬은 다른 기계적 장치에 의해 세포내에서 작용한다.
Inatracrine의 예로는 인체의 혈관에 존재하는 Angiotensin II가 있다.
◆Intracrine의 종류와 기능◆
▷Angiotensin II
Angiotensin은 혈관벽에 존재하는 혈관 확장물질이다.
Angiotensin I는 폐의 모세혈관에서 많이 있는 Angiotensin 개조 효소(ACE, kinase)의 말단 잔류물의 제거를 통해 앤지오텐신 II로 변환된다. ACE는 인체의 전신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모세혈관에 고밀도로 있기 때문에 폐에도 높은 밀도로 존재한다. Angiotensin Ⅱ는 endocrine, autocrine/paracrine 및 intracrine 호르몬으로 작동한다.
ACE는 Angiotensin Ⅱ 생산의 비율을 줄이는 ACE 억제제에 의해 비활성화를 위한 표적이다. Angiotensin Ⅱ는 vascular smooth muscle cells(IP3의존장치에 의하여 수축하는)에 있는 Gq protein을 자극함으로써 혈압을 증가시킨다. ACE억제제는 고혈압에 있어 중요한 약물이다.
정확한 역할이 아직도 불분명하지만 ACE, 7 또는 9 아미노산의 다른 분열 물질 또한 Angiotensin 수용체를 위한 차별 친화력이 있다고 알려진다. Angiotensin II 의 활동 자체는 직접 Angiotensin II AT1 수용체를 막는 Angiotensin II 수용체 길항근에 의해 표적으로 작용한다.
Angiotensin II는 대부분의 조직의 적혈구 그리고 혈관 벽에 있는 angiotensinases에 의해 Angiotensin Ⅲ에 저하된다. 그것의 순환에는 약 30초의 반감기가 있으나, 조직에서는 약15-30분 정도이다.
참고문헌
<생리학> - 정담미디어, 2005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위키디피아 자유백과사전) 번역
타바타-켄이찌 외<일상의 생물사전>동경당출판, 1998
박상대 <분자세포생물학>아카데미서적
Postlethwait·Hopson <생명과학> 광림사
전성학, campbell등 7명 <생명과학 8판> 바이오사이언스
이우윤 역, <의학 세포 생물학> 월드사이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