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에 관한 포인트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에 관한 포인트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혈액의 성분, 특성 및 기능

Ⅱ. 지혈

Ⅲ. 혈액형

본문내용

) : 20만~50만개
생성장소 : 골수
기능 : 출혈이 있을 때 혈액 응고의 초기작용에 관여
Ⅱ. 지혈
혈관 벽이 손상되면 그 부위에서 혈액이 계속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인 혈액응고를 일으켜 출혈을 멎게 하는 일련의 현상
1. 1단계 - 국소적 혈관수축
손상된 혈관 벽에 부착된 혈소판에서 유리되어 나온 serotonin과 기타 혈관수축물질에 의한 혈관 수축으로 수축의 정도는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2. 2단계 - 일시적 지혈전색
혈관이 손상을 입으면 혈관 벽의 내피세포가 파괴되고, 교원질하층이 노출된다. 이로인하여 일시적 혈소판 전색이 만들어지며, 전색의 형성은 손상된 부위를 축소시켜 지혈에 도움을 준다
.
3. 3단계 - 혈액응고
일시적 지혈전색의 혈소판에 적혈구가 엉성한 응집을 일으켜 서로 결합하고, 섬유소에 의해 응고물로 변하여 혈액응고가 이루어지면서 지혈이 완결된다.
Ⅲ. 혈액형
사람의 혈액을 수혈할 경우, 어떤 개체끼리는 응집을 일으키지 않아서 아무 반응이 없지만, 어떤 개체에서는 응집이 일어나서 치명상을 입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혈액에 있는 혈액형과 여러 인자들이 서로 부합되지 않을 경우 응집이 일어나기 때문인데, 이를 주의하기 위한 혈액의 분류는 ABO형과 Rh인자의 유무로 판정하고 있다.
1. ABO형
사람의 적혈구 막에는 응집원(=항원)이 있고, 혈장에는 응집소(=항체)가 있다.
응집원
응집소
A형
A
anti-B(β)
B형
B
anti-A(α)
O형
A, B
없음
AB형
없음
anti-A(α), anti-B(β)
혈액 내에 있는 응집원과 응집소의 종류와 그 유무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람의 혈액을 네 가지 형(A, B. O, AB)으로 나눈다.
2. Rh인자
Rh인자는 반복 수혈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인자이다
평생에 단 한 번만 수혈을 받는다면 ABO 혈액형으로만 분류하여 같은 혈액형을 수혈하기만 하면 별 문제가 없다.그러나 두 번 이상 수혈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ABO 혈액형만 고려하면 위험이 따르게 된다. 왜냐하면 Rh+형 혈액과 Rh-형 혈액이 처음으로 만나게 되었을 경우에는 응집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나 두번째로 만나게 되면 응집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는 Rh-형인 사람이 Rh+형의 혈액을 반복해서 수혈 받으면 혈액 내에 항Rh 물질(anti-Rh substance)이 만들어져서 매우 작은 양의 Rh+ 혈액을 수혈 받아도 응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23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