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의 구성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혈액의 구성
(1) 혈장
(2) 혈구
2. 적혈구(Red blood cell(RBC), Erythrocyte)
(1) 적혈구의 생성
(2) 적혈구의 파괴
(3) 적혈구의 기능과 대사
(4) 적혈구의 취약성
(5) 빈혈
3. 백혈구(White blood cell(WBC), leukocyte)
(1) 백혈구의 종류
(2) 백혈구의 수명과 파괴
(3) 백혈구의 기능
(4) 백혈구의 생체방어
4. 혈소판(Platelet thromobocyte)
5. 혈액형 검사법
(1) ABO식 혈액형
(2) Rh식 혈액형

본문내용

이것은 유전성이 있으며 임신, 수혈 등에서 다른 개체의 혈액으로 전도되는 경우도 있다. A형의 개체(적혈구막에 A응집원이 있음)는 유전적으로 그 혈장 내에 B응집원에 대한 항체 β(또는 항 B응집소(혈청))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그 혈장에 B형 적혈구가 혼합되면 항 B 응집소와 B응집원이 항원 항체 반응을 일으켜서 B형 적혈구가 응집되기 때문에 빌로 용혈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B형 혈액은 혈장 내에 α응집소(또는 항 A 응집소(혈청))를 가지고 있으며, O형 혈액은 어느 응집소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항 A 응집소와 항 B 응집소를 판 위에 놓고 피를 떨어뜨리면 응집되는 것을 보고 혈액형을 알 수 있다.
(2) Rh식 혈액형
Rh식 혈액형은 레서스 원숭이의 혈구와 사람의 혈구 사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레서스 원숭이의 혈구로 면역된 토끼의 혈청¹을 사람의 적혈구에 적응시키면 응집하는 경우와 응집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사람의 적혈구에는 레서스 원숭이의 첫 자를 딴 Rh라는 인자가 있는데 만약 사람에게 적용할 경우 응집이 되면 Rh인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Rh(+)라고 하고, 응집이 일어나지 않으면 Rh인자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Rh(-)라고 한다. Rh(-)의 어머니가 Rh(+)의 어린이를 임신할 경우 항 Rh 응집소가 형성되므로 임상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일어난다. 태아성 적아구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첫 아기는 문제가 안 되나 둘째 아이는 응집반응으로 인하여 유산 또는 사산을 한다. Rh혈액형도 마찬가지로 위의 1번 혈청을 판 위에 놓고 응집반응을 보면 알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6.30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