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1)혈구 용적비 (Hct 값)
2)혈색소량의 측정
3)굴절계를 이용한 혈장 단백질량의 측정
2. Materials & Methods
1)PCV 측정 (by micro-hematocrit 법)
2) 혈색소량 측정 (by cyanomet-hemoglobin 법)
3)혈색소량 측정 (by Sahli 법)
4)굴절계를 이용한 혈장 단백질과 Fibrinogen 양 측정
-굴절계 사용 방법-
3. Result
4. Discussion
※조교 실험- ESR : 적혈구 침강 속도
5.reference
△문제 풀이
1. Body PCV를 구하려면 어떠한 것들을 알아야 하는가?
2. 동맥혈과 정맥혈의 PCV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 이유는?
3. 이 실험에서 얻은 Hb의 값으로 혈액 100ml에 포화될 수 있는 산소의 양은?
4. Hct값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질병을 조사하여 보자.
5. 혈장 단백질의 분획에 따른 기능을 조사하여 보자.
6. A/G ratio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떠한 경우에 감소하는가를 조사하여 보자.
7.측정한 혈장단백질의 값으로 삼투압을 계산하여 보자.
1)혈구 용적비 (Hct 값)
2)혈색소량의 측정
3)굴절계를 이용한 혈장 단백질량의 측정
2. Materials & Methods
1)PCV 측정 (by micro-hematocrit 법)
2) 혈색소량 측정 (by cyanomet-hemoglobin 법)
3)혈색소량 측정 (by Sahli 법)
4)굴절계를 이용한 혈장 단백질과 Fibrinogen 양 측정
-굴절계 사용 방법-
3. Result
4. Discussion
※조교 실험- ESR : 적혈구 침강 속도
5.reference
△문제 풀이
1. Body PCV를 구하려면 어떠한 것들을 알아야 하는가?
2. 동맥혈과 정맥혈의 PCV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 이유는?
3. 이 실험에서 얻은 Hb의 값으로 혈액 100ml에 포화될 수 있는 산소의 양은?
4. Hct값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질병을 조사하여 보자.
5. 혈장 단백질의 분획에 따른 기능을 조사하여 보자.
6. A/G ratio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떠한 경우에 감소하는가를 조사하여 보자.
7.측정한 혈장단백질의 값으로 삼투압을 계산하여 보자.
본문내용
㎜Hg정도의 교질 삼투압을 이루어 혈관 내 수분 보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질의 운반, 혈액의 응고, 항체형성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이중 알부민은 혈장단백질 중에서 분자량이 적고 양적으로 많아 교질 삼투압의 70~80%를 이루고 있어서 수분 이동 양상에 영향을 주며(즉 교질 삼투압 유지시킨다.) 칼슘이나 인등의 이온, 지방산, 아미노산, 빌리루빈 등과 결합하여 혈중으로 운반하여 필요로 하는 작용부위에 공급함과 동시에 그것들이 신장에서 여과되어 몸밖으로 배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일부분의 칼슘, 마그네슘과 결합하여 이들을 비확산형 상태로 잡아두기도 한다.
글로불린은 α1α2β1β2γ으로 되어있다. 글로불린은 호르몬(티록신, 인슐린,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나 기타의 물질(철, 지질 등)과 결합해서 혈중으로 운반하여 필요로 하는 작용 부위에 공급함과 동시에 그것들이 신장에서 여과되어 몸밖으로 배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혈장중의 모든 γ글로불린과 α및 β글로불린의 일부는 항원에 대한 항체를 형성하여 체액성 면역의 주체가 된다. 그리고 β글로불린은 혈청 중의 인지질,콜레스테린, 카로티노이드의 대부분과 결합해서 리포프로테이드의 형태로 용존하고 있다. 그외 섬유소원, 프로트롬빈, 기타 혈액응고에 관계하는 인자의 대부분이 혈장단백질 안에 들어있으며 한편 안티트롬빈 등 항응혈 작용을 하는 혈장단백질도 들어있어서 순환 혈액의 응고를 방지한다.
6. A/G ratio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떠한 경우에 감소하는가를 조사하여 보자.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유을 A/G ratio라 하며 동물의 종류에 따라 거의 일정하다.간장의 단백질 대사 장애나 영양 실조시에는 알부민이 감소하므로 A/G ratio는 적어지며 또 세균성 질환일 때에는 γ글로불린이 증가하므로 A/G ratio가 적어진다.
7.측정한 혈장단백질의 값으로 삼투압을 계산하여 보자.
albumin에 의한 삼투압 계산
8.1*10 : plasma protein mass in 1 liter of water
0.75 : average albumin mass percentage in plasma protein ( 70~80% )
65000 : albumin 분자량
∴(8.5*10)*0.75/65000=0.98mOsm/L
fibrinogen에 의한 삼투압 계산
1*10 : fibrinogen mass in 1 liter of water
340000 : fibrinogen molecular weight
∴1*10/340000=0.029mOsm/L
3) globulin에 의한 삼투압 계산
(8.5*0.25-1)*10 : globulin mass in 1 liter of water
120000 : globulin molecular weight
∴(8.5*0.25-1)*10/120000=0.09mOsm/L
⇒이 세 단백질에 의한 삼투압의 합은 1.099 mOsm/L
전체 혈장 단백질이 6~8g/% 일 때 1.5mOsm/LH20를 보인다고 한다. 이는 단백질 농도가
16mEq/L 일때의 삼투압이다.
글로불린은 α1α2β1β2γ으로 되어있다. 글로불린은 호르몬(티록신, 인슐린,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나 기타의 물질(철, 지질 등)과 결합해서 혈중으로 운반하여 필요로 하는 작용 부위에 공급함과 동시에 그것들이 신장에서 여과되어 몸밖으로 배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혈장중의 모든 γ글로불린과 α및 β글로불린의 일부는 항원에 대한 항체를 형성하여 체액성 면역의 주체가 된다. 그리고 β글로불린은 혈청 중의 인지질,콜레스테린, 카로티노이드의 대부분과 결합해서 리포프로테이드의 형태로 용존하고 있다. 그외 섬유소원, 프로트롬빈, 기타 혈액응고에 관계하는 인자의 대부분이 혈장단백질 안에 들어있으며 한편 안티트롬빈 등 항응혈 작용을 하는 혈장단백질도 들어있어서 순환 혈액의 응고를 방지한다.
6. A/G ratio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떠한 경우에 감소하는가를 조사하여 보자.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유을 A/G ratio라 하며 동물의 종류에 따라 거의 일정하다.간장의 단백질 대사 장애나 영양 실조시에는 알부민이 감소하므로 A/G ratio는 적어지며 또 세균성 질환일 때에는 γ글로불린이 증가하므로 A/G ratio가 적어진다.
7.측정한 혈장단백질의 값으로 삼투압을 계산하여 보자.
albumin에 의한 삼투압 계산
8.1*10 : plasma protein mass in 1 liter of water
0.75 : average albumin mass percentage in plasma protein ( 70~80% )
65000 : albumin 분자량
∴(8.5*10)*0.75/65000=0.98mOsm/L
fibrinogen에 의한 삼투압 계산
1*10 : fibrinogen mass in 1 liter of water
340000 : fibrinogen molecular weight
∴1*10/340000=0.029mOsm/L
3) globulin에 의한 삼투압 계산
(8.5*0.25-1)*10 : globulin mass in 1 liter of water
120000 : globulin molecular weight
∴(8.5*0.25-1)*10/120000=0.09mOsm/L
⇒이 세 단백질에 의한 삼투압의 합은 1.099 mOsm/L
전체 혈장 단백질이 6~8g/% 일 때 1.5mOsm/LH20를 보인다고 한다. 이는 단백질 농도가
16mEq/L 일때의 삼투압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