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액검사
2. 소변검사
3. 대변배양
4. 동맥혈액 가스분석
5. 혈청 아밀라제 검사
6. 혈청 리파아제 검사
7. 역행성 요도 조영술
8. 배뇨 방광 요도 조영술
9. 복부/대동맥 초음파
10.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검사
11. 복부 자기공명 영상
12. 요역동학적 검사
13. 심전도
2. 소변검사
3. 대변배양
4. 동맥혈액 가스분석
5. 혈청 아밀라제 검사
6. 혈청 리파아제 검사
7. 역행성 요도 조영술
8. 배뇨 방광 요도 조영술
9. 복부/대동맥 초음파
10.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검사
11. 복부 자기공명 영상
12. 요역동학적 검사
13. 심전도
본문내용
뿐 아니라, 당겨 꿰맨 근육과 인대가 터지지 않고 잘 낫게 하기 위해서 오랜 회복기간이 필요하고 일상생활 복귀도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근육과 인대 사이의 장력 때문에 꿰매놓은 인대와 근육이 벌여져 탈장이 재발할 수도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한 것이 무장력 인공막 탈장수술이다.
- 인공막 탈장수술
인공막 탈장수술은 인대와 근육이 장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술로, 인공막을 이용하기 때문에 근육을 당겨 꿰매지 않아도 되므로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일상생활로 빨리 복귀할 수 있으며, 재발도 적다. 인공막이란 수 십년간 인체의 수술에 사용되어 안전성이 확인된 섬유로 만든 인공 천으로, 복강 내에서 탈장구멍을 막는 역할을 한다.
1)Mesh plug 수술 ; 탈장낭을 주변 조직에서 분리하여 원래 위치인 복막 바로 위층으로 넣어준다. 탈장 내공을 통해서 원추모양의 인공막 plug를 넣은 후 고정시켜서 탈장이 나왔던 내공을 막아주는 방법이다. 경우에 따라서 약해진 후복벽을 보강해 주기도 한다. 20여 년 전부터 많이 시행되고 있는 방법으로 통증이 가장 적고 간단하면서도 회복이 빠른 수술이다.
2)Lichitenstein수술 ; 탈장낭을 기존의 수술 방법으로 묶어서 처리한 후 복막을 덮고 있는 근육층을 인공막으로 덮어 꿰매줌으로써 튼튼하게 보강하여 봉합해주는 수술이다.
- 소아탈장 수술
소아탈장은 수술시 후복막을 보강할 필요가 없다. 탈장낭을 주변 조직에서 박리하여 고위결찰을 해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소아탈장에서는 인공막을 사용하는 수술은 필요치 않을 뿐 아니라 부적절하다. 이와 같이 소아탈장은 탈장낭을 고위 결찰 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1.5cm 정도의 피부절개로 수술이 가능하며, 수술 당일 오후부터 활동이 가능하다.
4.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
radical total gastrectomy ; 근치전체위절제술
국소적인 위암의 경우 위의 기능을 조금이라도 유지하기 위해 부분적 위절제술을 선호하나 위암이나 Zollinger-Ellison 질환시는 위를 완전히 제거하기도 한다. 전이가 의심될 때에는 주위의 림프절까지 모두 제거하는 근치 위절제술을 시행한다. 이때 식도는 십이지장이나 공장과 문합하거나 결장의 일부분이나 공장을 식도와 소장 사이에 연결하여 위장관을 연결한다.
5. fracture of nasal bones ; 비골골절 /
closed reduction of nasal bone fracture ; 비골골절의 비관헐적교정(폐쇄정복)
뼈가 재배열되도록 손으로 위치를 바로 잡는 비수술적 정복이다.
6. Crohn's disease ; 크론병 /
explorative Laparotomy ; 진단적 개복술
개복하여 복강내 상태를 검사하는 수술이다.
7. Acute appendicitis; 충수돌기염 /
Apeendectomy ; 충수절제술, 맹장수술
가장 흔한 적응증은 충수돌기염이다. 합병증으로 천공이 발생하면 복막염이 되므로 시행된다. 수술과정은 복강경이나 또 복부 절개를 통해 맹장에서 충수돌기를 절제한다. 충수염의 주 합병증이 파열로 인한 복막염이기 때문에 수술하는 동안 염증을 일으킨 충수를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8. Hperplasia of prostate; 전립선 비대증 /
TURP(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ruddy도 전립샘절제술
요도로 내시경을 넣어서 요도를 막고 있는 전립샘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이다. 전립성 비대증을 내과적으로 더 이상 관리할 수 없을 때 척수마취나 전신마취 후 수술한다.
요도를 통해 전립샘의 일부를 제거할 때 2가지 수술방법이 사용된다. 첫째, 방광경과 유사한 절제경을 삽입하여 증식된 조직을 작은 조각으로 잘라내고 그 부위를 전기소작하는 방법이다. 시술 동안 계속적으로 방광과 요도를 세척한다. 둘째, vaportrode라는 기계를 사용하여 증식 부위를 전자파로 태우면 그 부위가 허물어져 구경이 넓어지는 방법이다. 시술 후 출혈도 적고 시간도 적게 소요되며 방광세척도 불필요하다.
TURP는 수술시 쇄석위를 취해야 하기 때문에 고관절이나 그 주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실시할 수 없다. TURP 후 방광 경부의 손상으로 사정액이 방광으로 역행되면 사정 후 소변이 혼탁해질 수 있다. 어떤 형태의 전립샘절제술이든 수술 후 출혈, 요도폐쇄와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9. Alcoholic cirrhosis of Liver /
TACE(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 경동맥 화학 색전술
경동맥화학색전술은 경피적에탄올 주입술이나 고주파치료술보다 진행된 간암에서 많이 시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주문맥 등 굵은 간문맥이 종양 등에 의해 폐쇄되어 있거나 전체 간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큰 간암이 있으면서 간기능이 좋지 않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간기능의 장애가 이 시술을 견디지 못할 만큼 나쁘다면 시행할 수 없다.
시술은 방사선 투시하에서 시행되며 다리의 대퇴동맥에 길고 가느다란 도관을 삽입한 후 대동맥을 지나 간암에 가까운 간동맥에 위치하게 한다. 그 다음 이 도관을 통해 미리 계산된 양의 항암제(Adriamycin, Mitomycin, Cisplantin)와 gelform 이라는 색전 물질 및 Lipiodol이라는 유성 조영제를 섞은 용액을 서서히 주입한다. 이때 Lipiodol이라는 용액이 간암에 축적되는 것을 투시하면서 볼 수 있다.
치료 효과는 전신 화학요법만으로 치료하는 경우보다는 생존률이 훨씬 높기 때문에 그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이 시술도 3 cm 이하의 소간암일때는 간암 주위 조직같이 괴사시키는 기술을 이용하면 수술보다 성적이 우월하다는 보고도 있다.
경동맥화학색전술은 광범위하게 이용되지만 시술 자체는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시술 후에도 대부분 환자가 통증이나 발열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 색전물질이 다른 장기의 혈관을 폐쇄시켜 괴사를 일으키거나 항암제가 간 조직에 손상을 주게 되어 간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한 것이 무장력 인공막 탈장수술이다.
- 인공막 탈장수술
인공막 탈장수술은 인대와 근육이 장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술로, 인공막을 이용하기 때문에 근육을 당겨 꿰매지 않아도 되므로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일상생활로 빨리 복귀할 수 있으며, 재발도 적다. 인공막이란 수 십년간 인체의 수술에 사용되어 안전성이 확인된 섬유로 만든 인공 천으로, 복강 내에서 탈장구멍을 막는 역할을 한다.
1)Mesh plug 수술 ; 탈장낭을 주변 조직에서 분리하여 원래 위치인 복막 바로 위층으로 넣어준다. 탈장 내공을 통해서 원추모양의 인공막 plug를 넣은 후 고정시켜서 탈장이 나왔던 내공을 막아주는 방법이다. 경우에 따라서 약해진 후복벽을 보강해 주기도 한다. 20여 년 전부터 많이 시행되고 있는 방법으로 통증이 가장 적고 간단하면서도 회복이 빠른 수술이다.
2)Lichitenstein수술 ; 탈장낭을 기존의 수술 방법으로 묶어서 처리한 후 복막을 덮고 있는 근육층을 인공막으로 덮어 꿰매줌으로써 튼튼하게 보강하여 봉합해주는 수술이다.
- 소아탈장 수술
소아탈장은 수술시 후복막을 보강할 필요가 없다. 탈장낭을 주변 조직에서 박리하여 고위결찰을 해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소아탈장에서는 인공막을 사용하는 수술은 필요치 않을 뿐 아니라 부적절하다. 이와 같이 소아탈장은 탈장낭을 고위 결찰 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1.5cm 정도의 피부절개로 수술이 가능하며, 수술 당일 오후부터 활동이 가능하다.
4.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
radical total gastrectomy ; 근치전체위절제술
국소적인 위암의 경우 위의 기능을 조금이라도 유지하기 위해 부분적 위절제술을 선호하나 위암이나 Zollinger-Ellison 질환시는 위를 완전히 제거하기도 한다. 전이가 의심될 때에는 주위의 림프절까지 모두 제거하는 근치 위절제술을 시행한다. 이때 식도는 십이지장이나 공장과 문합하거나 결장의 일부분이나 공장을 식도와 소장 사이에 연결하여 위장관을 연결한다.
5. fracture of nasal bones ; 비골골절 /
closed reduction of nasal bone fracture ; 비골골절의 비관헐적교정(폐쇄정복)
뼈가 재배열되도록 손으로 위치를 바로 잡는 비수술적 정복이다.
6. Crohn's disease ; 크론병 /
explorative Laparotomy ; 진단적 개복술
개복하여 복강내 상태를 검사하는 수술이다.
7. Acute appendicitis; 충수돌기염 /
Apeendectomy ; 충수절제술, 맹장수술
가장 흔한 적응증은 충수돌기염이다. 합병증으로 천공이 발생하면 복막염이 되므로 시행된다. 수술과정은 복강경이나 또 복부 절개를 통해 맹장에서 충수돌기를 절제한다. 충수염의 주 합병증이 파열로 인한 복막염이기 때문에 수술하는 동안 염증을 일으킨 충수를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8. Hperplasia of prostate; 전립선 비대증 /
TURP(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ruddy도 전립샘절제술
요도로 내시경을 넣어서 요도를 막고 있는 전립샘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이다. 전립성 비대증을 내과적으로 더 이상 관리할 수 없을 때 척수마취나 전신마취 후 수술한다.
요도를 통해 전립샘의 일부를 제거할 때 2가지 수술방법이 사용된다. 첫째, 방광경과 유사한 절제경을 삽입하여 증식된 조직을 작은 조각으로 잘라내고 그 부위를 전기소작하는 방법이다. 시술 동안 계속적으로 방광과 요도를 세척한다. 둘째, vaportrode라는 기계를 사용하여 증식 부위를 전자파로 태우면 그 부위가 허물어져 구경이 넓어지는 방법이다. 시술 후 출혈도 적고 시간도 적게 소요되며 방광세척도 불필요하다.
TURP는 수술시 쇄석위를 취해야 하기 때문에 고관절이나 그 주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실시할 수 없다. TURP 후 방광 경부의 손상으로 사정액이 방광으로 역행되면 사정 후 소변이 혼탁해질 수 있다. 어떤 형태의 전립샘절제술이든 수술 후 출혈, 요도폐쇄와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9. Alcoholic cirrhosis of Liver /
TACE(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 경동맥 화학 색전술
경동맥화학색전술은 경피적에탄올 주입술이나 고주파치료술보다 진행된 간암에서 많이 시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주문맥 등 굵은 간문맥이 종양 등에 의해 폐쇄되어 있거나 전체 간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큰 간암이 있으면서 간기능이 좋지 않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간기능의 장애가 이 시술을 견디지 못할 만큼 나쁘다면 시행할 수 없다.
시술은 방사선 투시하에서 시행되며 다리의 대퇴동맥에 길고 가느다란 도관을 삽입한 후 대동맥을 지나 간암에 가까운 간동맥에 위치하게 한다. 그 다음 이 도관을 통해 미리 계산된 양의 항암제(Adriamycin, Mitomycin, Cisplantin)와 gelform 이라는 색전 물질 및 Lipiodol이라는 유성 조영제를 섞은 용액을 서서히 주입한다. 이때 Lipiodol이라는 용액이 간암에 축적되는 것을 투시하면서 볼 수 있다.
치료 효과는 전신 화학요법만으로 치료하는 경우보다는 생존률이 훨씬 높기 때문에 그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이 시술도 3 cm 이하의 소간암일때는 간암 주위 조직같이 괴사시키는 기술을 이용하면 수술보다 성적이 우월하다는 보고도 있다.
경동맥화학색전술은 광범위하게 이용되지만 시술 자체는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시술 후에도 대부분 환자가 통증이나 발열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 색전물질이 다른 장기의 혈관을 폐쇄시켜 괴사를 일으키거나 항암제가 간 조직에 손상을 주게 되어 간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추천자료
노화에 따른 소화기계 변화와 간호중재
뇌질환의 진단적 검사
간의 진단적 검사
마취방법에 따른 수술 전 후 간호
Buerger's disease 환자 케이스 간호 진단 간호 중재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근골격계 특수검사 및 처치
진단적 검사의 정상, 비정상의 결과 해석
copd 대상자 케이스 간호진단 2개
[위선암(위암), 위선암(위암) 정의, 위선암(위암) 발생원인, 위선암(위암) 진단방법]위선암(...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자궁근종 케이스,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간호과정, 자궁...
치질 Hemorrhoid - 치질 케이스 스터디, 치질 case study, 치질 간호과정, 치질 간호진단, He...
폐렴 케이스 스터디 (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
소아당뇨 시나리오 및 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