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평준화를 둘러싼 쟁점 - 폐지론과 유지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교평준화를 둘러싼 쟁점 - 폐지론과 유지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기본이념
1) 폐지론 -‘획일적 평등주의는 곤란하다.’
2) 유지론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보장해야 한다.’

ꊲ 과열 과외 문제
1) 폐지론-평준화로 교육의 질이 저하됨에 따라
사교육에 의존하는 것이 더 가중
2) 유지론- 중학교부터 고입 과외가 생겨나 학부모 부담 더 가중

ꊳ 학력 저하 교육 경쟁력 약화
1) 폐지론-수재 둔재 뒤섞여 수준별 수업 불가-->학력의 하향 평준화
2) 유지론-수준별 이동 수업, 특기 적성교육 강화 등 다른 대안을
통해 극복 가능

ꊴ 학교 선택권, 사학 자율권
1) 폐지론-사학의 규제 풀어 공립에 집중 지원
2) 유지론-명문학교 입학 경쟁 치열 -->사회적 위화감 조성

ꊵ 학교간 지역 간 격차
1) 폐지론: 고교간 학력 차 무시, 우수학교에게 상대적인 불이익
2) 유지론: 학교 서열화 등 부작용 발생

ꊶ 결론

본문내용

에 앞서, 근본적인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비정상적인 교육열과 획일화된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에 있는 것 같다. 일류대학에만 들어가야 성공하는 것으로 믿고 있고 있는 우리현실에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같이 잘 살기보다는 나 혼자 잘 살자는 심리가 이런 교육풍토에 완연히 깔려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등교육의 개혁과 학력학벌구조를 먼저 해결해야 할 것이다. 국공립대학부터라도 현행 입시제도에서 비롯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입시제도의 개선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대학입시가 특기, 적성과는 상관없이 소위 주요과목 (국, 영, 수) 교과 성적으로만 이뤄지고 있는 데, 좀더 폭 넓은 방향으로 학생들을 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간판을 따기 위해서 가는 대학이 아니라, 진정한 학문을 하기 위해 대학에 갈 수 있도록 현행 제도를 개선해 나가야 할것이다. 또한 교육 예산 투자를 증가시켜 교육환경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양의 지식을 습득하느냐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진정한 교육이 이뤄질 수 있는 학습 여건이 마련되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다. 또한 학벌 지상주의를 철폐하고, 여러 가지 특성화된 고등학교를 설립해야 할 것이다.
지식습득만이 교육의 역할이 아니다. 지금 입시위주의 교육 환경에서 이뤄지고 있는 지식은 박락성 지식에 불과하다. 이런 순간의 암기력에 의존하는 지식습득이 아닌, 진정한 지식, 진정한 교육이 이뤄 질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마련되고, 사람들의 의식이 전환된다면, 우리가 앞에서 언급한 평준화유지와 폐지는 문제시 될 만한 사안이 아닐 것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4.2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