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및 제주국제자유도시 내 외국교육기관 설립법안에 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교육부의 입장

2. 재정경제부의 의견

3. 의견

본문내용

인력, 통화, 정치의 통합을 향해 나가고 있는 유럽연합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 에디슨 스쿨 등 미국의 프로젝트 학교들이 최근 겪고 있는 심각한 실패경험과 위기를 상기하라.
-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충격'이 아니라 '토양의 변화'이다. 그 토양의 변화는 교육부의 교육과정 개편 시스템을 전격적으로 바꾸고 교과서를 혁신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교육부'와 함께 '교육청'이 변해야 '학교'가 변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교육개혁의 가장 큰 걸림돌은 교육부가 아니라 무기력한 교육청이다. 외국학교가 우리 교육개혁의 모델이 될 수는 없다. 외국의 교육이 우리에 비해서 훨씬 잘해 나가고 있다고 믿는가? 토론자는 우리나라 교육의 잠재력을 믿으며, 학교를 책임지고 있는 교사들의 잠재적 능력을 믿는다. 문제는 현재의 학교 운영 시스템이 이들의 잠재력을 '잠자도록' 억누르고 있다는 것이다.
- 한국의 초·중등교육은 분명히 변혁의 대상이다. 그러나 그 씨앗은 교사의 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교육도 하나의 생태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다. 외국의 이질적 생명체들이 우리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일은 비단 자연 생태계만의 문제는 아니다. 학습생태계도 이런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4.2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