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구독자를 확보했다. 물론 이같은 추세들이 경제의 활성화 및 침체에 따라 변하는 부침(浮沈) 사이클의 한 회전에 불과할지도 모르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지속성의 문화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미래의 삶은 전세계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부유한 계층과 지금껏 물질적 욕구를 충분히 채워온 우리가 비물질적인 것을 통해 만족을 얻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또한 세계 발전의 목표를 명확히 물질적인 것으로 규정해온 우리 자신이 검소하면서도 만족이 큰, 새로운 삶의 방식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가? 자동차와 비행기를 발명한 우리가 자전거와 버스, 열차로 되돌아갈 수 있을까? 도시를 볼품없이 확산시키고 수많은 쇼핑단지를 세워온 우리가 상업행위조차 그 자체의 목적보다는 시민생활에 부속되는 인간적인 지역사회를 다시 만들 수 있을까? 고지방 및 인스턴트류 식품을 유행시켜온 우리가 지역에서 재배된 건강한 식품으로 옮겨갈 수 있을까?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무한정한 포장, 사용하기가 무섭게 곧 폐기해버리도록 이끄는 생산방식을 고안해낸 우리가 내구성 있는 제품과 물자를 아끼는 경제를 설계할 수 있을까?
3. 결론
만약 우리의 후손들에게 우리가 누렸던 만큼의 풍요하고 아름다운 지구를 남겨주려면, 소비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식사, 여행, 에너지 및 자원 사용 등에 있어서 중간소득계층을 따라야 한다. 만약 이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는 좀 더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소비사회의 풍요는 우리로 하여금 매우 낯선 위기에 부닥치게 했기 때문이다.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문명이 자가용과 쇼핑단지, 일회용 경제에 지배된 개발의 오염 자국으로 메워질 줄이야 한 세기 전 그 누가 예측했겠는가? 그러나 이것은 분명히 우리 운명의 최종적인 실현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과도함보다 적절함을 받아들이고 또한 그렇게 살아가는 것은 <인간적 가정>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 가족과 공동체, 만족스런 노동, 양질의 삶의 옛 질서로, 숙련 기능과 생산적 능력, 창조에 대한 존경으로, 일몰을 보며 물가를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여유있는 일상으로, 평생 살아갈 만한 가치가 있는 공동체로, 그리고 많은 세대의 소중한 기억이 배어있는 곳으로 회귀할 수 있게 해준다. 아마도 소로우(Henry David Thoreau)가 월든 호숫가에 앉아 노트에 썼던 다음과 같은 말이 옳을 것이다. "사람은 물건을 적게 가진 만큼 풍요하다."
미래의 삶은 전세계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부유한 계층과 지금껏 물질적 욕구를 충분히 채워온 우리가 비물질적인 것을 통해 만족을 얻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또한 세계 발전의 목표를 명확히 물질적인 것으로 규정해온 우리 자신이 검소하면서도 만족이 큰, 새로운 삶의 방식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가? 자동차와 비행기를 발명한 우리가 자전거와 버스, 열차로 되돌아갈 수 있을까? 도시를 볼품없이 확산시키고 수많은 쇼핑단지를 세워온 우리가 상업행위조차 그 자체의 목적보다는 시민생활에 부속되는 인간적인 지역사회를 다시 만들 수 있을까? 고지방 및 인스턴트류 식품을 유행시켜온 우리가 지역에서 재배된 건강한 식품으로 옮겨갈 수 있을까?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무한정한 포장, 사용하기가 무섭게 곧 폐기해버리도록 이끄는 생산방식을 고안해낸 우리가 내구성 있는 제품과 물자를 아끼는 경제를 설계할 수 있을까?
3. 결론
만약 우리의 후손들에게 우리가 누렸던 만큼의 풍요하고 아름다운 지구를 남겨주려면, 소비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식사, 여행, 에너지 및 자원 사용 등에 있어서 중간소득계층을 따라야 한다. 만약 이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는 좀 더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소비사회의 풍요는 우리로 하여금 매우 낯선 위기에 부닥치게 했기 때문이다.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문명이 자가용과 쇼핑단지, 일회용 경제에 지배된 개발의 오염 자국으로 메워질 줄이야 한 세기 전 그 누가 예측했겠는가? 그러나 이것은 분명히 우리 운명의 최종적인 실현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과도함보다 적절함을 받아들이고 또한 그렇게 살아가는 것은 <인간적 가정>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 가족과 공동체, 만족스런 노동, 양질의 삶의 옛 질서로, 숙련 기능과 생산적 능력, 창조에 대한 존경으로, 일몰을 보며 물가를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여유있는 일상으로, 평생 살아갈 만한 가치가 있는 공동체로, 그리고 많은 세대의 소중한 기억이 배어있는 곳으로 회귀할 수 있게 해준다. 아마도 소로우(Henry David Thoreau)가 월든 호숫가에 앉아 노트에 썼던 다음과 같은 말이 옳을 것이다. "사람은 물건을 적게 가진 만큼 풍요하다."
추천자료
인류의 기원과 각 시대의 문화(구석기,신석기시대)
[심리인류학]개인인성이 문화변동에 미치는 영향
[투자][문화][관광][환경][산재예방][교육][문화산업 투자][관광산업 투자][환경산업 투자][...
[체코][체코문화][체코의 도시][체코의 자연환경][체코의 문화][체코의 생활상][체코의 인형...
[괌][괌의 역사][괌의 자연환경][괌의 의식주][괌의 문화][괌의 교통][괌의 문화]괌의 역사,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가족ㆍ집단ㆍ조직ㆍ지역사회ㆍ문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가족ㆍ집단ㆍ조직ㆍ지역사회ㆍ문화 ppt
[도시공간][도시공간의 변화][도시공간의 환경미술][도시공간의 도시문화][도시공간의 사례]...
가족환경의 변화특성 중 다문화 가족의 증가현상에 대해 원인, 현상 및 당면한 문제점에 대해...
강원도 태백 위치,문화관광, 강원도 태백 환경,산업쇠퇴,탄광업(탄광산업), 강원도 영월 영월...
[동북아지역]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경제협력, 안보협력,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
문화지체 : 한국사회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문화지체(Cultural lag)현상의 개념을 설명하고 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다문화 시대가 되고 나서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A+ 레포트,시험대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문화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