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마케팅 실패사례-부닷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1. 부닷컴의 초기 현황
Ⅱ-2. 'boo.com'의 전략
Ⅱ-3. 'boo.com' 전략 실패의 원인
Ⅱ-5. 그 외의 실패 원인
Ⅱ-5. 'boo.com' 파산이 주는 교훈
Ⅱ-6. 'boo.com'과 성격이 비슷한 인터넷 업체의 성공사례와 비교

Ⅲ. 결론

본문내용

걸숍닷컴은 99년 약 100만달러 라는 놀라운 매출액을 기록했다. 현재도 하루평균 60개 주문에 주문 당 평균단가는 100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광고를 늘려 고객의 범위도 넓힐 방침이다. 처음부터 많은 광고비를 쏟아 부었던 'boo.com'과 극명하게 차이 나는 부분이다.
이 회사의 짧은 사례는 참으로 많은 것을 느끼게 해 준다. 앞서 나가는 전략이 무조건 적으로 좋은 것만은 아니며, 획기적이고 창의적인 시스템들이 오히려 대중성이란 것에 밀려 때를 기다려야 하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글을 다 읽고 현재 800만 화소급 카메라가 달린 휴대폰을 개발해 놓고도 출시하기를 기다리고만 있다고 하는 한국의 휴대폰 업체와 300만 화소급 카메라가 달린 카메라가 시중에 유통됨에도 개발은 마쳤지만 시장성이 없다거나 대중적이지 못하단 이유로 발표조차 하지 않는 다른 휴대폰 업체의 기사내용이 생각이 났다. 또한 과거 경쟁사보다 훨씬 월등한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대중들의 선택에 비디오테이프의 표준논쟁에 밀린 Sony의 사례도 뇌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Ⅲ. 결론
지금까지 'boo.com'의 사업전략과 인터넷 시장에 진출하는데 있어서 실패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boo.com' 은 인터넷 사업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대표적 사례였다.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웹사이트, 과도한 지출, 경영의 미숙, 주고객에 대한 몰이해, 사업 계획의 근본적 결함은 당시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사업에 대한 무지함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었다. 요즘에도 'boo.com'처럼 지금-이미 'boo.com' 과 비슷한 웹 환경을 가지고 영업을 하고 있는 업체들도 있을 것이다. 그것도 우리나라나 인터넷 환경이 잘 발달되어진 나라에서 이 같은 사업을 시작했다면 실패사례로 남겨질 지는 의문이다. 최근 몇몇 수강하는 과목을 통해서라든지 인터넷에 대한 글들을 보면 상당히 인터넷의 장점만을 맹신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 인터넷의 폐해는 단지 개인적인 문제라든지 보안상의 문제 등에 대해서만 다루어지고 있는 듯 한 느낌도 많이 든다. 참으로 걱정되는 것은 이러한 얘기만 들은 어린 아이들이 나중에 'boo.com'의 실패에서 볼 수 있는 같은 실수를 하지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한다.이글은 상당히 외부환경 분석에 실패한 것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내가 볼 때에는 이들의 내부의 문제가 더 컸던 것 같다. 특히 공동 작업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잘 안 이루어지고 있다는 부분에서는 아무리 좋은 보검이라도 요리사가 들면 식칼에 지나지 않는다는 그런 얘기가 생각났다. 겉만 따라한다고 속까지 변하지는 않는다는 단순한 사실을 잊고 있었던 것 같다.
떼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속에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던 닷컴 기업들이 자금줄이 막히면서 도산의 길로 빠져들고 있다. 월 스트리트 저널은 닷컴 기업주가의 거품이 급격히 빠지면서 그동안 앞 다투어 자금을 대던 에인절들도 닷컴 기업을 외면, 닷컴 기업들의 자금심화와 함께 도산하는 기업수가 갈수록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때 '엘도라도'로 여겨졌던 닷컴 세계가 '킬링필드'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닷컴 기업들도 매출 확대보다는 다른곳에 더 신경 써 왔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모든 업체는 아니지만 많은 업체들이 기술적 요소를 총동원해 사이트를 화려하게 꾸미는데 총력을 기울였다. 또 사이트를 알려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마케팅 활동에 막대한 비용을 들였다. 자신만의 독특한 사업 아이디어보다는 경쟁업체의 사이트 베끼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 온 업체들도 적지 않았다. 여기서 우린 'boo.com' 의 파산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Boo.com은 한 마디로 껍데기 뿐인 기업이었다. 내실을 다지기 보다는 외적인 면을 부풀리는데 더욱 치중했고, 그것은 결국 Boo.com을 지금까지 가장 빨리, 그리고 가장 크게 망해버린 인터넷 기업 중 하나로 기록되게 했다. 이러한 고객의 수요 및 욕구에 대한 정확한 분석 없이 부실한 가설과 그럴듯한 화려한 사이트의 포장만을 가지고 시장에 진입했던 Boo.com은 고객으로부터 무서운 외면을 당해 고객이 인터넷시대의 주인임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 좋은 예가 되었다.
또 향후 국내 쇼핑몰 업체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후에 우리 닷컴 업체들이 나름대로 자신의 사업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모자라는 부문을 보완하면서 경쟁력을 갖춰 나가는 계기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우리 닷컴 기업들이 성공의 길을 걸을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2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